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용헌의 백가기행

조용헌의 백가기행

  • 조용헌
  • |
  • 디자인하우스
  • |
  • 2010-09-20 출간
  • |
  • 292페이지
  • |
  • 188 X 230 X 20 mm /671g
  • |
  • ISBN 9788970415499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조용헌의 백가기행』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저자는 재산과 신분의 상징으로서의 집이 아니라, 원래 집이 가지고 있어야 할 의미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위로와 휴식을 찾기 위해 ‘집 밖’으로 나가는 사람들을 향해 ‘가내구원(家內救援)’을 이야기한다. ‘집 안에서 구원을 얻으라’는 말이다. 축령산 자락에 자리한 한 칸 오두막집에서부터 차는 풍류가 아니라 혁명이라 말하는 부산 달맞이고개의 다실 이기정까지, 『조용헌의 백가기행』이 주목하는 다양한 집들은 공간이 사람의 생각을 변화시키며, 집 그 자체가 인생철학을 드러낸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실전에서 요구되는 실용적인 동양학인 ‘강호동양학’으로 이름난 학자 조용헌은 그동안 배우고, 보고, 고수들과 토론을 통해서 얻게 된 여러 가지 관점을 ‘우리 시대 집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데 적용하고 있다.

▶ 집이란 무엇인가?
한국인들에게 ‘집’만큼 중요한 문제가 있을까? ‘웬만큼 먹고살만한’ 시대가 되면서 롤렉스나 벤츠 등으로 신분을 과시하던 시대는 이미 지났다. 그러면서 상대적으로 집이 중요해졌다. 어느 지역에 거주하느냐, 어떤 집에 사느냐가 그 사람의 신분을 가늠하는 주요 척도가 된 것이다. 주(住)야말로 의(衣)와 식(食)을 능가하는 위치로 등극했다. 그러다보니 현대인들은 집의 노예가 되어가고 있다. 죽기 살기로 돈을 모아서 집을 산다. 하지만 그렇게 집이 생겨도 하우스 푸어(house poor)가 되기 십상이다. ‘집을 가진 가난뱅이’가 되는 아이러니한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집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의미심장하다. 우리가 그토록 소유하기를 원하는 ‘집’은 과연 어떤 ‘집’일까. 우리가 ‘집’에서 얻고 싶은 것은 무엇일까. 단순히 생존을 위해 필요한 집에서부터 신분을 나타내기 위한 집까지. 집을 통해 각자가 얻고 싶은 것은 매우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집’을 들여다보는 일은 그 집에 사는 사람의 인생관을 들여다보는 일일 뿐만 아니라, ‘집’이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내밀한 곳을 들여다보는 일이다. 집은 실로 찬찬히 뜯어 볼만한 구경거리이다. 이것이 바로 저자가 ‘백가기행(百家紀行)’을 시작하게 된 중요한 계기이다.

▶ 생각이 공간을 지배하기도 하지만, 공간이 사람의 생각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집들은 아주 다양하다. 겉모습은 달라도 ‘돈으로서의 집, 신분으로서의 집’이라는 고정관념을 뒤흔드는 ‘생각을 바꾸는 집’들이 많이 등장한다. 공사비가 단돈 2만 8천원 밖에 들지 않은 장성 축령산 자락에 있는 한 평 반짜리 이름 없는 도공(陶工)의 흙집, 생활비 30만원이면 족하다는 지리산 악양에 있는 시인 박남준의 3칸짜리 초가집처럼 존재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집을 짓고 사는 사람들의 공간이 그 대표적인 예다. 소박하면서도 궁색하지 않고 품격이 느껴지는 오여 선생의 집도 있고, 현대문명 속에서 구하기 어려운 ‘고요함’을 얻기 위해 땅을 파서 지은 건축가의 ‘땅집’도 있다. 물론 부잣집도 소개된다. 하지만 이 책에 소개되는 부잣집은 겉만 번드르르한 집이 아니다. ‘백리 안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는 철학을 가지고 있었던 경주 최 부잣집, 독립운동 자금을 대고 학교를 세운 의로운 부자 효주 허만정의 고택 등 ‘백가기행’이 주목한 만석꾼들의 집은 축적한 부를 남다르게 사용할 줄 아는 사람들이 살았던 곳이다. 집 자체가 집 주인의 인생철학을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 책에서 저자가 주목한 집은 제대로 된 다실(茶室)을 만들어 놓은 집이다. 부산의 조효선씨 집과, 해운대 달맞이 고개에서 다실을 갖추고 문하생들을 양성하고 있는 강수길 선생의 집은 차를 마시는 공간이 왜 가내구원(家內救援)을 위해 꼭 필요한 공간인지를 말해주고 있다. 공간은 거기에 사는 사람의 생각을 지배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 인생에 달관한 사람은 어떤 장소에 살든 상관없지만, 달통하지 못한 범부는 어느 공간에 사느냐에 따라 그 생각이 좌우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 집 안에서 구원을 얻어라
저자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집에 갖추어야 할 장치로 다실(茶室), 정원, 구들장을 꼽는다. 특히 다실은 집 안에서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이상을 실현해줄 수 있는 중요한 장치다. 저자는 “21세기는 과학적 진리에 의해서 종교적 신념이 해체된 시대로 다실은 현대인이 집 안에서 신성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 일상을 초월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규정한다. 그는 또한 ‘구원’을 이렇게 말한다. “현대인에게 구원이란 다름 아닌 릴랙스다. 쉬는 일이다. 쉬어야 구원받는다. 먹고사는 일에 너무나 긴장되어 있다. 문명은 온통 긴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문명은 자연과 멀어질수록 발달하기 때문이다.” 다실은 긴장을 릴랙스시키고 잘 쉬기 위해, ‘집 안’에서 구원받기 위해 꼭 필요한 공간인 것이다. 집이 ‘쉴 수 있는 공간’이 되기 위해 또 필요한 것이 바로 자연이다. 인간은 자연 속에 있을 때 긴장이 이완되기 때문이다. 집안에 자연을 들여놓을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 바로 정원이다. 나주 죽설헌의 주인처럼 본격적으로 정원을 가꿀 수고 있고, 실내에 조그만 연못을 만들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아파트가 대세가 되면서 사라져가는 구들장이다. 현대인의 직업은 대부분 머리를 쓰는 직업인데, 머리를 쓰면 긴장하기 마련이다. 긴장하면 등짝이 굳는다. 척추 뒤쪽의 기혈이 흐르는 경락이 굳는 것인데, 이 경락이 굳으면 만병이 깃든다. 긴장된 등쪽의 경락을 푸는 가장 좋은 방법은 뜨거운 구들장에 등짝을 대고 지지는 것이다. 저자는 장성 축령산 자락에 황토집을 집고 구들장을 깔았다. 그는 자신의 글방인 휴휴산방 뒤에 있는 편백 숲을 산책하고, 구들장에 등을 대고 누워 있으면 세상사 부러운 것이 없어진다고 말한다. 몸과 마음이 건강해지고 영성이 밝아지는 집, 그래서 ‘구원’받을 수 있는 집. 『조용헌의 백가기행』이 주목하는 집에는 자신이 바라는 집에서 살고 싶다는 한국인들의 숨겨진 로망이 담겨 있다. 『조용헌의 백가기행』은 우리 시대 ‘집’의 의미를 진지하고 열린 시각으로 바라보게 한다.

목차

부산 달맞이고개의 다실, 이기정(二旗亭)
- 차는 풍류가 아닌 혁명이다

논산 명재고택(明齋古宅)
- 풍류와 실용이 가득한 집

나주 죽설헌(竹雪軒)
- 보통 사람의 토종 정원

진주 석가헌(夕佳軒)
- 소박하되 품격이 있는 선비의 집

서울 창덕궁 옆 은덕문화원(隱德文化院)
- 서울의 살롱

담양 무월리 도예가 송일근 씨의 방외한옥(方外韓屋)
- “사람이 자식도 만드는데 어찌 집 하나 못 짓겠소”

경주 교동 최씨 고택
-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조선 팔도 최고의 부잣집

해남 두륜산 대흥사 앞 유선여관(遊仙旅館)
- 계곡의 물소리에 번뇌가 사라지는 집

장성 축령산에 도공이 지은 한 칸 오두막집
- 생각이 커지는 작은 집

전주 학인당(學忍堂)
- 구한말 조선 판소리의 메카

양평 건축가 조병수 씨의 땅 집
- 내 안의 나를 만나는 집

구례 쌍산재(雙山齋)
- 명당에 인품이 더해져 명가를 이루다

하동 시인 박남준 씨의 악양산방(岳陽山房)
- 홀로 있어도 두렵지 않고 세상에 나가지 않아도 근심이 없다

나주 박장흥(朴長興) 고택
- 나주의 역사를 담고 있는 집

진주 효주 허만정(曉洲 許萬正) 고택
- 손꼽히는 풍수 명당에 지은 의로운 부잣집

장성 휴휴산방(休休山房)
- 문필가의 글방

서울 성북동의 전망 좋은 집
- 만 가지 경치를 안고 사는 집

하동 악양면 조씨 고택
- 자연이라는 명원(名園)을 품은 지리산의 럭셔리 저택

광주 의재 허백련(毅齊 許百鍊) 선생의 무등산 춘설헌(春雪軒)
- 예인의 풍류와 정신이 살아 숨 쉬는 집

서울 계동 낙고재(樂古齋)
- 한옥 풍류 전도사

부산 조효선 씨의 아파트 다실
- 다실을 통해 가내구원(家內救援)을 실현하다

서울 평창동의 홍지웅 사장 자택
- 문필봉 文筆峰을 앞에 둔 문사 文士의 집

저자소개

동양학자이자 칼럼니스트인 청운(靑雲) 조용헌(趙龍憲)은 보이는 것을 통해 보이지 않는 것을 감지하는 혜안을 지닌 이 시대의 이야기꾼이다. 그는 강호(江湖)를 좋아한다. 강호가 그를 키웠다. 강호의 바람을 먹으면서 천지를 종잡을 수 없이 돌아다녔으며, 이름모를 바위 옆에서 이슬을 덮고 자며 별을 보았다. 그래서 터득한 분야가 강호동양학(江湖東洋學)이다. 젊은 시절부터 한국, 중국, 일본을 두루 돌아다니며 수많은 장소와 공간, 사람들을 만나온 조용헌 은 강호동양학의 3대 과목으로 불리는 사주, 풍수, 한의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수식어를 찾아보기 힘든 직설법을 사용해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풀어내고 있다. 조용헌은 특히 이번 책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집’의 의미와 ‘위로와 휴식은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집 안에 있다는’ 가내구원(家內救援)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는 현재 전라남도 장성의 편백나무 숲 속에 있는 자신의 글방인 휴휴산방에 머물면서 동아시아의 도가적 전통을 계승하며, 한국의 문화적 미와 전통을 복원하는 작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의 인기 칼럼인 ‘조용헌 살롱’을 오랜 기간 연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조용헌의 동양학 강의』『조용헌의 사찰기행』『조용헌의 소설 1·2』『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조용헌의 사주명리학 이야기』『방외지사』『조용헌의 고수기행』『조용헌 살롱』『그림과 함께 보는 조용헌의 담화』『조용헌의 명문가』 등이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