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행정법총론

행정법총론

  • 유상현
  • |
  • 법률출판사
  • |
  • 2012-02-28 출간
  • |
  • 830페이지
  • |
  • 188 X 254 X 40 mm
  • |
  • ISBN 978895821200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4,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행정법이란 국가와 국민 간에 형성되는 행정상 법률관계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학문체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오늘날 행정은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행위형식에 의하여 전개되고 있으므로, 행정법이론 역시 복잡다기하며 끊임없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따라서 행정법의 전체적인 통일된 이론체계를 수립하기가 쉽지 않으며, 또한 행정법의 범위가 방대하여 행정법을 공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그 동안 외국의 이론체계가 우리 행정현실의 타당성 여부도 검증되지 아니한 채 그대로 도입ㆍ적용되는 예도 더러 있었다. 본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방대한 행정법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으며, 이는 앞으로도 본서의 변함없는 기본목표가 될 것이다.
본서의 집필은 다음과 같은 의도 내지 문제의식을 가지고 집필하였다.

첫째, 이해하기 쉬운 기본서가 되고자 하였다.
방대한 행정법의 이론을 추상적 논리로 전개하지 않고, 행정법을 처음 배우는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생활 주변에서 누구나 한두 번쯤 겪었을 만한 사례를 예시하여, 어렵고 추상적인 이론을 쉽게 설명하였다.

둘째, 간결하고 정치한 이론서가 되고 하였다.
대다수의 교과서들이 외국의 이론을 너무 상세히 설명하다 보니 행정법의 분량이 방대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서는 외국의 불필요한 이론을 피하고, 우리 행정법이론의 정립에 필요한 내용에 관해서먼 간략하게 소개함으로써 간결하고, 정치한 기본에 충실한 역할을 하도록 고려하였다.

셋째, 현실에 살아 있는 교과서가 되고자 하였다.
본서는 행정실무사례뿐만 아니라, 판례 및 헌법재판소 결정, 나아가 행정심판 재결례와 행정부 유권해석까지 적절하게 소개하여, 현실로 살아 있는 행정법 교과서가 되고자 하였다.

넷째, 최종 수험서가 되고자 하였다.
본서는 실정법과 학설ㆍ사례ㆍ판례를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독자 스스로가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또한 양적으로 최소한의 필요한 분량으로 하였고, 질적으로는 최고수준의 이론을 전게하여 모든 수험생들에게 훌륭한 길잡이가 되도록 하였다. 이는 각종 고시 및 공무원을 준비하는 수험생뿐만 아니라, 로스쿨을 졸업하여 변호사 자격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에게도 좋은 길잡이가 되도록 최선을 다 하였다.

목차

제1편 행정법 총칙
제1장 행 정 3
제1절 행정의 정의 4
Ⅰ. 행정의 성립 4
Ⅱ. 실질적 의미의 행정 5
Ⅲ. 형식적 의미의 행정 11
제2절 행정의 분류 13
Ⅰ. 주체에 의한 분류 13
Ⅱ. 목적에 의한 분류 15
Ⅲ. 수단에 의한 분류 16
제3절 통치행위 18
Ⅰ. 개 설 18
Ⅱ. 각국의 통치행위 19
Ⅲ. 통치행위에 관한 학설 21
Ⅳ.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통치행위 24
제2장 행정법 29
제1절 행정법의 의의 30
Ⅰ. 『행정주체의 조직ㆍ작용 및 구제』에 관한 법 30
Ⅱ. 행정에 관한 『공법』 31
Ⅲ. 행정에 관한 『국내법』 32
제2절 법치주의 33
Ⅰ. 개 설 33
Ⅱ. 형식적 법치주의 33
Ⅲ. 실질적 법치주의 34
Ⅳ. 법치주의의 한계 40
제3절 행정법의 법원 41
Ⅰ. 개설 41
Ⅱ. 성문법원 42
Ⅲ. 불문법원 47
제4절 행정법의 효력범위 69
Ⅰ. 시간적 효력 69
Ⅱ. 지역적 효력 73
Ⅲ. 대인적 효력 74
제5절 행정법의 기본원리 75
Ⅰ. 민주행정주의 75
Ⅱ. 실질적 법치국가주의 76
Ⅲ. 복리국가주의 77
Ⅳ. 지방분권주의 78
Ⅴ. 사법국가주의 78
Ⅵ. 결어 78
제3장 행정상 법률관계 81
제1절 공법관계와 사법관계(공법과 사법의 구별) 82
Ⅰ. 개설 82
Ⅱ. 공법과 사법의 구별 82
Ⅲ. 우리 실정법상 공법과 사법의 구별 85
Ⅳ. 우리 실정법상 공법과 사법의 관련 87
제2절 행정상 법률관계의 종류 89
Ⅰ. 행정조직법적 관계 89
Ⅱ. 행정작용법적 관계 89
제3절 행정법관계의 당사자 95
Ⅰ. 행정주체 95
Ⅱ. 행정객체(행정의 상대방) 99
제4절 행정법관계의 특질 100
Ⅰ. 적법성 100
Ⅱ. 공정력 101
Ⅲ. 확정력(존속력) 104
Ⅳ. 강제력 108
Ⅴ. 권리ㆍ의무의 특수성 110
Ⅵ. 권리구제의 특수성 110
제5절 행정법관계의 내용 112
Ⅰ. 국가적 공권 112
Ⅱ. 개인적 공권 112
Ⅲ. 개인적 공권의 확장(행정법관계에서의 사인의 권리확장) 118
Ⅳ. 공의무의 특수성 129
제6절 행정법관계에 대한 사법규정의 적용 131
Ⅰ. 개설 131
Ⅱ. 학설 132
Ⅲ. 구체적 적용 134
제7절 특별권력관계 136
Ⅰ. 특별권력관계론 136
Ⅱ. 특별권력관계론의 재검토 140
Ⅲ. 특별권력관계와 법치주의 142
제4장 행정법상의 법률요건과 법률사실 145
제1절 개설 146
Ⅰ. 행정법상의 법률요건과 법률사실 146
Ⅱ. 행정법상의 법률사실의 종류 146

제2절 행정법상의 사건 148
Ⅰ. 기간 148
Ⅱ. 시효 150
Ⅲ. 주소ㆍ거소 154
제3절 행정법상의 사무관리ㆍ부당이득 156
Ⅰ. 사무관리 156
Ⅱ. 부당이득 157
제4절 공법행위 163
Ⅰ. 개설 163
Ⅱ. 사인의 공법행위 163
Ⅲ. 사인의 공법행위로서의 신고 170

제2편 행정작용
제1장 행정상 입법 175
제1절 개설 176
Ⅰ. 의의 176
Ⅱ. 필요성 176
Ⅲ. 문제점 177
제2절 법규명령 178
Ⅰ. 의의 및 성질 178
Ⅱ. 종류 178
Ⅲ. 근거 182
Ⅳ. 한계 182
Ⅴ. 성립 및 발효요건 188
Ⅵ. 소멸 189
Ⅶ. 법규명령에 대한 통제 190
Ⅷ. 행정입법부작위와 권리구제 192

제3절 행정규칙 194
Ⅰ. 의의 194
Ⅱ. 성립배경 및 기능 194
Ⅲ. 종류 195
Ⅳ. 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과 행정규칙 형식의 법규명령 198
Ⅴ. 성질 및 효력 202
Ⅵ. 근거와 한계 207
Ⅶ. 성립 및 발효요건 207
Ⅷ. 행정규칙에 대한 통제 209
제2장 행정행위 211
제1절 행정행위의 개념 및 특질 212
Ⅰ. 행정행위의 개념 212
Ⅱ. 행정행위의 특질 218
제2절 행정행위의 종류 220
Ⅰ. 법률행위적 행정행위ㆍ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220
Ⅱ. 수익적 행위ㆍ부담적 행위ㆍ복효적 행위 221
Ⅲ. 기속행위ㆍ재량행위 224
Ⅳ. 대인적 행위ㆍ대물적 행위ㆍ혼합적 행위 225
Ⅴ. 쌍방적 행정행위ㆍ독립적 행정행위 226
Ⅵ. 수령을 요하는 행정행위와 수령을 요하지 아니하는 행정행위 227
Ⅶ. 요식행위ㆍ불요식행위 228
Ⅷ. 적극적 행정행위ㆍ소극적 행정행위 229
제3절 복효적 행정행위 230
Ⅰ. 의의 230
Ⅱ. 복효적 행정행위에 대한 제3자의 권리구제 231
Ⅲ. 복효적 행정행위에 대한 제3자의 절차적 보호 234
Ⅳ. 복효적 행정행위의 철회 및 직권취소 236
제4절 기속행위와 재량행위 238
Ⅰ. 개념 238
Ⅱ. 기속행위와 재량행위의 구별실익 240
Ⅲ. 기속행위와 재량행위의 구별기준 242
Ⅳ. 재량권의 한계 249
Ⅴ. 재량행위에 대한 통제 253
제5절 행정행위의 내용 255
제1항 명령적 행위 255
Ⅰ. 하 명 255
Ⅱ. 허가 258
Ⅲ. 면제 268
제2항 형성적 행위 268
Ⅰ. 특허(광의) 269
Ⅱ. 인가 274
Ⅲ. 대리 280
제3항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280
Ⅰ. 확인 281
Ⅱ. 공증 283
Ⅲ. 통지 285
Ⅳ. 수리 287
제6절 행정행위의 부관 289
Ⅰ. 개념 289
Ⅱ. 종류 291
Ⅲ. 한계 297
Ⅳ. 위법한 부관과 행정행위의 효력 301
Ⅴ. 위법한 부관과 행정쟁송 302
제7절 행정행위의 성립과 효력 305
Ⅰ. 행정행위의 성립요건 305
Ⅱ. 행정행위의 발효요건 307
Ⅲ. 행정행위의 효력 309

제8절 행정행위의 하자(흠) 312
Ⅰ. 개설 312
Ⅱ. 행정행위의 부존재 313
Ⅲ. 행정행위의 무효와 취소의 구별 315
Ⅳ. 하자의 승계 322
Ⅴ. 하자 있는 행정행위의 치유와 전환 326
제9절 행정행위의 무효 332
Ⅰ. 의의 332
Ⅱ. 무효원인 332
Ⅲ. 무효의 효과 341
Ⅳ. 무효를 주장하는 방법 342
제10절 행정행위의 취소 345
Ⅰ. 의의 345
Ⅱ. 종류 346
Ⅲ. 취소권자 349
Ⅳ. 취소권의 근거 350
Ⅴ. 취소사유 351
Ⅵ. 취소권의 제한 352
Ⅶ. 취소의 절차 356
Ⅷ. 취소의 효과 356
Ⅸ. 취소의 취소 358
제11절 행정행위의 철회 360
Ⅰ. 개설 360
Ⅱ. 철회권자 361
Ⅲ. 철회사유 362
Ⅳ. 철회권의 근거 365
Ⅴ. 철회권의 제한 367
Ⅵ. 철회의 절차 369
Ⅶ. 철회의 효과 370
Ⅷ. 철회의 취소(하자있는 철회의 효력) 371

제12절 행정행위의 실효 372
Ⅰ. 의의 372
Ⅱ. 무효ㆍ부존재 및 취소ㆍ철회와의 구별 372
Ⅲ. 실효사유 373
Ⅳ. 실효의 효과 374
Ⅴ. 실효의 주장 374
제3장 기타의 행정작용 375
제1절 행정법상의 확약(확언) 376
Ⅰ. 개설 376
Ⅱ. 법적 성질 379
Ⅲ. 허용성 및 한계 380
Ⅳ. 요건 382
Ⅴ. 효과 382
Ⅵ. 확약과 권리구제 384
제2절 행정계획 385
Ⅰ. 개설 385
Ⅱ. 종류 386
Ⅲ. 수립절차 387
Ⅳ. 법적 효력 및 성질 391
Ⅴ. 계획재량 395
Ⅵ. 계획보장청구권(행정계획과 신뢰보호) 396
Ⅶ. 구제수단 401
제3절 공법상 계약 및 합동행위 404
Ⅰ. 공법상 계약 404
Ⅱ. 공법상 합동행위 412
제4절 행정상의 사실행위 413
Ⅰ. 개설 413
Ⅱ. 법적 근거와 한계 414
Ⅲ. 행정상의 사실행위에 대한 구제 415
제5절 행정지도 418
Ⅰ. 개설 418
Ⅱ. 기능과 문제점 419
Ⅲ. 종류 421
Ⅳ. 행정지도와 법치주의 422
Ⅴ. 행정지도의 방식 및 절차 425
Ⅵ. 행정지도에 대한 구제 426
제6절 행정절차 430
Ⅰ. 개념 430
Ⅱ. 필요성 431
Ⅲ. 각국의 행정절차제도 432
Ⅳ. 우리나라의 행정절차 435
Ⅴ. 행정절차의 내용 437
Ⅵ. 행정절차의 하자 443
제7절 행정정보공개와 개인정보보호 449
Ⅰ. 개설 449
Ⅱ. 행정정보공개 450
Ⅲ. 개인정보보호 458

제3편 행정법상 의무이행확보수단
제1장 행정강제 465
제1절 개설 466
Ⅰ. 행정강제의 의의 466
Ⅱ. 행정강제의 종류 467
제2절 행정상 강제집행 469
Ⅰ. 의의 469
Ⅱ. 근거 469
Ⅲ. 수단 470
제3절 행정상 즉시강제 488
Ⅰ. 개설 488
Ⅱ. 근거 489
Ⅲ. 종류 490
Ⅳ. 한계 492
Ⅴ. 영장주의와의 관계 492
Ⅵ. 행정상 즉시강제에 대한 구제 494
제4절 행정조사 496
Ⅰ. 개설 496
Ⅱ. 근거 497
Ⅲ. 종류 498
Ⅳ. 한계 499
Ⅴ. 행정조사에 대한 구제 501
Ⅵ. 행정조사로 얻은 개인정보의 관리ㆍ이용 503
제2장 행정벌 505
Ⅰ. 의의 506
Ⅱ. 성질 506
Ⅲ. 근거 508
Ⅳ. 종류 509
Ⅴ. 행정형벌의 특수성 510
Ⅵ. 행정질서벌의 특수성 517
Ⅶ. 행정벌에 대한 구제 520
제3장 새로운 의무이행확보수단 521
Ⅰ. 개 설 522
Ⅱ. 과징금ㆍ가산금ㆍ가산세ㆍ부당이득세 523
Ⅲ. 공급거부 525
Ⅳ. 위반사실의 공표 527
Ⅴ. 관허사업의 제한 529
Ⅵ. 운전면허 취소 및 자동차 사용정지 530
Ⅶ. 취업제한 530

제4편 행정구제
제1장 행정상 손해배상 533
제1절 개설 534
Ⅰ. 의의 534
Ⅱ. 행정상 손실보상과의 구별 534
Ⅲ. 각국의 손해배상제도 536
Ⅳ. 우리나라의 행정상 손해배상제도 539
제2절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집행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543
Ⅰ. 배상책임의 요건 543
Ⅱ. 배상책임 555
Ⅲ. 배상청구의 절차 561
제3절 영조물설치ㆍ관리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564
Ⅱ. 배상책임의 요건 565
Ⅲ. 배상책임 570
제4절 공법상의 위험책임 572
Ⅰ. 의의 572
Ⅱ. 인정 여부에 관한 학설 572
Ⅲ. 실정법상의 위험책임 573
제5절 공법상의 결과제거청구권 575
Ⅰ. 개설 575
Ⅱ. 근거 577
Ⅲ. 요건 578
Ⅳ. 효과 579
Ⅴ. 쟁송절차 580

제2장 행정상 손실보상 583
제1절 개설 584
Ⅰ. 의의 584
Ⅱ. 근거 585
Ⅲ. 손실보상청구권의 성질 588
제2절 손실보상의 요건(원인) 591
Ⅰ.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ㆍ사용ㆍ제한 591
Ⅱ. 특별한 희생 591
제3절 손실보상의 기준 595
Ⅰ. 보상기준 595
Ⅱ. 구체적 보상기준 598
제4절 손실보상의 방법 및 절차 606
Ⅰ. 손실보상의 방법 606
Ⅱ. 손실보상의 지급방법 608
Ⅲ. 보상액의 결정방법 및 불복절차 608
제5절 수용유사침해ㆍ수용적 침해 및 희생보상청구권 611
Ⅰ. 손실보상의 확장 611
Ⅱ. 수용유사침해에 대한 보상 611
Ⅲ. 수용적 침해에 대한 보상 614
Ⅳ. 희생보상청구권 616
제3장 행정심판 619
제1절 행정쟁송제도 개관 620
Ⅰ. 행정쟁송의 의의 620
Ⅱ. 행정쟁송제도의 발달 620
Ⅲ. 행정쟁송제도의 기능 621
Ⅳ. 행정쟁송의 종류 622
제2절 행정심판의 의의 626
Ⅰ. 행정심판의 의의 626
Ⅱ. 행정심판의 기능 629
제3절 행정심판의 종류 631
Ⅰ. 항고쟁송과 당사자쟁송 631
Ⅱ. 행정심판법상의 행정심판의 종류 634
제4절 행정심판의 대상 641
Ⅰ. 개설 641
Ⅱ. 행정청 641
Ⅲ. 처분 642
Ⅳ. 부작위 645
Ⅴ. 위법 또는 부당한 처분ㆍ부작위 647
제5절 행정심판기관 650
Ⅰ. 의의 650
Ⅱ. 행정심판위원회 650
제6절 당사자와 관계인 656
Ⅰ. 당사자 656
Ⅱ. 행정심판의 관계인 660
제7절 행정심판의 청구 662
Ⅰ. 심판청구의 요건 662
Ⅱ. 심판청구의 변경 666
Ⅲ. 심판청구의 효과 667
제8절 행정심판의 심리 671
Ⅰ. 심리의 내용 671
Ⅱ. 심리의 범위 672
Ⅲ. 심리의 절차 673
제9절 행정심판의 재결 677
Ⅰ. 의의 677
Ⅱ. 재결기간ㆍ방식 등 677
Ⅲ. 종류 679
Ⅳ. 재결의 효력 683
Ⅴ. 재결에 대한 불복 685
제10절 행정심판청구의 고지제도 686
Ⅰ. 개설 686
Ⅱ. 종류 687
Ⅲ. 불고지 및 잘못된 고지의 효과 690
제4장 행정소송 693
제1절 개설 694
Ⅰ. 행정소송의 의의 694
Ⅱ. 행정소송(항고소송)의 특수성 695
Ⅲ. 현행 행정소송법의 특징 700
Ⅳ. 현행 행정소송법의 문제점 704
제2절 행정소송의 한계 706
Ⅰ. 개설 706
Ⅱ. 사법의 본질에서 오는 한계 706
Ⅲ. 권력분립에서 오는 한계 710
제3절 행정소송의 종류 715
Ⅰ. 내용에 따른 분류 715
Ⅱ. 성질에 따른 분류 718
제4절 취소소송 720
Ⅰ. 재판관할 720
Ⅱ. 당사자 723
Ⅲ. 취소소송의 소익(원고적격) 726
Ⅳ. 취소소송의 대상 737
Ⅴ. 취소소송의 제기요건 746
Ⅵ. 취소소송의 제기효과-집행부정지 753
Ⅶ. 예외적 행정심판전치주의 760
Ⅷ. 취소소송의 심리 769
Ⅸ. 취소소송의 판결 775

제5절 무효등확인소송 787
Ⅰ. 개설 787
Ⅱ. 재판관할 788
Ⅲ. 당사자 789
Ⅳ. 소송제기 791
Ⅴ. 심리 793
Ⅵ. 판결 794
Ⅶ. 선결문제 795
제6절 부작위위법확인소송 798
Ⅰ. 개설 798
Ⅱ. 재판관할 799
Ⅲ. 당사자 799
Ⅳ. 소송제기 801
Ⅴ. 심리 803
Ⅵ. 판결 804
제7절 당사자소송 806
Ⅰ. 개설 806
Ⅱ. 종류 808
Ⅲ. 특수성 811
제8절 객관적 소송 815
Ⅰ. 개설 815
Ⅱ. 민중소송 815
Ⅲ. 기관소송 818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동 행정대학원 졸업, 경희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행정법), 제14회 행정고시 합격(1973), 법제처 법제관, 행정심판국장, 행정법제국장 역임,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법과대학원(Law School) 및 일본 독협대학(獨協大學) 법학부 객원연구원, 영국 캐임브리지대학교 방문교수, 사법시험, 행정고시, 외무고시, 지방고시 행정법 출제위원, 7급 국가 및 지방 공무원 공채시험 행정법 출제위원,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 및 부산,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서울특별시 입법고문, 영산대학교 법무대학원장, 법경대학 교수. 주요 논저로는 \'행벙법총론(공저)\', \'조례의 법칙 한계에 관한 연구\', \'제3자의 원고적격\', \'항고소송의 대상인 행정처분\', \'행정부에서 보는 행정규칙론\' 등이 있다.

도서소개

『행정법총론』은 행정법을 처음 배우는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생활 주변에서 겪을 수 있는 사례를 예시하여 정리한 기본서이다. 어렵고 추상적인 이론을 쉽게 설명하였고, 행정실무사례뿐만 아니라 판례 및 헌법재판소 결정, 행정심판 재결례와 행정부 유권해석까지 소개하였다. 실정법과 학설ㆍ사례ㆍ판례를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독자가 스스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