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를 대신하여/저자의 말… 015
*주요 등장인물 약전… 665
제1부 성장
제1장 출신과 출생
01 동방의 예루살렘, 평양에서 태어나다 … 025
02 아버지 김형직과‘ 조선국민회’ … 032
03 보통강의 복음 … 037
04 우린 항상 눈물로 기도하였다” … 042
05 김형직의 체포 … 044
06 장일환의 부탁 … 046
07 송암 오동진 … 047
08 ‘3·1운동’과‘ 조선독립만세’ … 049
2장 만주 망명
01 중강진 … 056
02 순천의원과 백산무사단 … 060
03 팔도구 개구쟁이 … 063
04 ‘배움의 천릿길’ … 068
05 포평 탈출 … 070
06 동상(凍傷) … 073
07 장백현의 악동 … 076
제3장. 정의부의 품속에서 … 080
01 화성의숙 … 080
02 김창민과의 만남 … 085
03 ‘ㅌㄷ’의 불꽃 … 087
04 한별과 함께 … 091
05 부탕평에서 … 094
06 공청인도자 송무선 … 098
07 손정도와의 인연 … 100
08 육문중학교 … 102
09 오동진과 현익철, 그리고 김찬 … 106
10 ‘3부 통합’ … 108
11 김덕기의 음모 … 109
제4장 남만(南滿) 참변
01 남만 청총 … 115
02 김학규와 오광심 … 119
03 왕청문 사건 … 121
04 현익철과 양세봉, 그리고 고이허 … 123
05 ‘반국민부’파의 몰락 … 127
06 ‘중동철로사건’ … 130
07 길림감옥 … 136
08 축옥성의 이야기 … 139
제5장 ‘붉은 5월 투쟁’
01 ‘후생가외’(後生可畏) … 142
02 화요파와 엠엘파 … 146
03 조선혁명군 길강성 지휘부 … 149
04 세금징수 분대장 … 153
05 ‘5·30폭동’과 중국 공산당 예비 입당 … 156
06 김명균과 만나다 … 158
07 강반석의 개가 … 163
08 이광의 출현 … 167
09 김일성(星)과 김일성(成) … 170
10 이종락의 체포 … 178
11 조선혁명군에서 탈출 … 182
12 고동뢰의 피살 … 186
제2부 혁명
제6장 소사하 기슭에서
01 차광수와 세화군(世火軍) … 191
02 “아, 혁명은 가까워온다” …196
03 김일룡과 대사하 … 200
04 반일적위대 대장 … 202
05 종성으로 가다 … 205
06 양림과 료여원 … 212
07 동만 특위와‘ 외눈깔 왕가’ … 214
08 공청단 특파원 … 216
09 세화군의 몰락 … 219
10 ‘노3영’(老三營) … 220
11 “안도현장 쯤은 시켜주겠지” … 221
12 푸르허에서 피신 … 225
13 ‘추수폭동’과 정식 입당 … 228
14 ‘콧대’ 안정룡 … 229
제7장 만주 사변
01 진한장의 휴서(休書) … 234
02 “모든 책임은 내가 안고 갈 것이오.” … 236
03 옹성라자 회의 … 239
04 옹성라자 사건 … 240
05 ‘노3영’의 반란 … 243
06 이광과 별동대 … 247
07 초무영의 주선 … 251
08 우 사령관을 설득하다 … 253
09 안도유격대 … 260
10 어머니와 영별 … 261
제8장 남만 원정
01 노수하(露水河) 습격 전 … 268
02 ‘금비석비’(今非昔比) … 273
03 옛 친구와의 상봉 … 275
04 진심과 진정 … 278
05 양세봉의 분노 … 279
06 조선혁명군과 결렬 … 283
07 이홍광의‘ 개잡이대’를 찾아 … 287
08 바람둥이 오성륜 … 290
09 ‘개잡이대’의 몰락 … 293
10 최창걸의 죽음 … 298
11 차광수의 조난 … 301
제9장 노흑산의 겨울
01 영안으로 가다 … 305
02 유한흥과 김성주 … 309
03 소만국경 … 314
04 개털모자 … 317
05 18명 … 320
06 구국군의 패퇴 … 321
제3부 시련
제10장 동만주의 봄
01 ‘관보전사건’ … 327
02 정치위원에 임명되다 … 334
03 한옥봉(韓玉峰) … 342
04 요영구 방어전투 … 353
05 ‘월선의 노래’ … 357
06 ‘따거우재’ 이용국 … 362
07 “내 성은 공씨요” … 365
08 허호림과 최상동 … 367
09 혁명일가 … 368
10 동만 특위 마영 … 371
제11장 반민생단 투쟁
01 ‘송노톨 사건’ … 378
02 연길 헌병대장과 김동한 … 381
03 한인권의 변절 … 385
04 김명균의 탈출 … 387
05 반경유가 동만주에 오다 … 393
06 “유령이야, 유령” … 399
07 왕덕태와 만나다 … 403
08 연합부대 참모장에 임명 … 406
09 팔도구 전투 … 410
10 도문지주 납치사건 … 413
11 온성으로 가다 … 418
제12장 동녕현성 전투
01 제1차 면직 … 421
02 ‘작탄대’ 대장을 맡다 … 428
03 작전회의 … 430
04 오의성과 이청천을 이간하다 … 434
05 ‘승전후구전, 패전후구승’(勝戰後求戰, 敗戰後求勝) … 441
06 서산포대 … 444
07 사충항을 구하다 … 446
08 독립군의 해체 … 448
09 구국군의 몰락 … 449
제13장 불타는 근거지
01 십리평 박 과부 … 455
02 오빈을 잃다 … 457
03 한옥봉의 공술 … 459
04 적후교란작전 … 463
05 “성룡이는 못 죽이오”… 468
06 제2차 면직 … 472
07 동장영의 공과 죄 … 480
08 독립사 출범 … 483
09 윤창범과‘ 장강호’ … 486
10 주운광의 출현 … 488
11 아동단선전대와 소년의용대 … 494
12 삼도하자에서 … 496
13 나자구 전투 … 509
14 장택민 … 513
제4부 붉은 군인
제14장 불요불굴
01 길청령 … 516
02 태문천의 구국군과 함께 … 522
03 엄호 … 528
04 ‘만록총중 홍일점’ … 532
05 체포와 석방 … 534
06 윤창범의 도주 … 541
07 노송령 … 546
08 동구에서 탈출 … 549
09 종자운의 비호(庇護) … 557
10 이상묵의 공개편지 … 559
11 ‘사방대사건’ … 561
제15장 제1차 북만원정
01 양광화와 만주성위원회 … 567
02 모스크바에서 억류된‘ 노마 ’… 569
03 이연록의 곤경 … 573
04 오평의 출현 … 578
05 오평과 민생단 문제 … 582
06 오평의 구상 … 586
07 ‘평남양’과 강신태 … 588
08 ‘동맹군’과‘ 연합군’ … 590
09 ‘연합전선’ 구축 … 594
10 별명의 연대성 … 596
11 강신태와 박낙권, 그리고 오대성 … 599
12 “일구난설(一口難說)입니다” … 605
제16장 동틀 무렵
01 동만주 소식 … 614
02 정안군의 토벌과 신안진 전투 … 618
03 김 노인과 조 노인 … 626
04 해산된 만주성위원회 … 630
05 ‘대흥왜 회의’에 참가 … 643
06 동헌장의 운명 … 647
07 동만주에 왔던 이광림 … 648
08 “과연 환영이란 말인가” … 655
09 ‘요영구의 논쟁’… 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