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인만 모르는 일본과 중국

한국인만 모르는 일본과 중국

  • 미치가미 히사시
  • |
  • 중앙북스
  • |
  • 2016-07-29 출간
  • |
  • 264페이지
  • |
  • 152 X 216 X 19 mm /468g
  • |
  • ISBN 9788927807858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3,000원

즉시할인가

11,7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1,7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은 이웃나라를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는가?
일본 외교관의 한국의 미래를 위한 제언


이 책은 32년간 한국을 지켜봐 온 일본 외교관이 한국의 발전적 미래를 생각하며 건네는 ‘쓴소리’다. 저자 미치가미 히사시는 동아시아 문제와 국제 경제 문제에 정통한 외교관으로, 자타가 공인하는 일본 외무성의 한국통이다. 이웃나라인 한국에 대해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저자는 국내 언론 및 외교 관계자들로부터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깊이 이해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4년 한국 생활을 마무리하고 주두바이 총영사로 근무지를 옮긴 저자는 이 책에서 30년 이상 자신이 지켜본 한국 사회를 회상하며, 한국의 본질적인 문제를 진단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주중일본대사관 근무 시절의 경험을 근거로, 한ㆍ중ㆍ일 삼국의 외교 실상과 한국이 가진 문제점, 실질적인 국익을 위해 한국이 직시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도 논하고 있다.
책에서 밝혔듯, 그는 이 책에서 한국에 대한 칭찬보다는 한국인이 가진 본질적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한국은 선진국 대열에 올랐지만 국민 정서나 분위기, 즉 ‘공기(空氣)’에 휩쓸리는 경향이 강하며 이것이 한국의 발전적 미래에 장애가 될 것이라 지적한다. 또한 가까운 이웃인 일본과 중국의 실상조차 정확히 파악 못하고 있음을 피력하며, 한국의 국익을 위해 균형 감각을 갖춰야 한다고 제언한다.
책을 통해 우리가 모르는 일본과 중국의 한국관, 한ㆍ중ㆍ일 삼국 관계를 비롯한 국제무대에서의 한국의 지향점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볼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제3자의 눈에 비친 한국 사회, 한국인의 실상
한국 근무 시절 미치가미 히사시 공사는 언론으로부터 독특한 외교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는 일본인이 한국인 못지않게 솔직하다는 점’, ‘상대국에 좋은 말을 가려서 하는 것을 업으로 삼는 직업 외교관과 달리 상대국에 대해 애정 어린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는다는 점’ 등이다. 미치가미 공사와 친분이 있는 언론 및 정치외교 관계자들은 그의 직선적이고 어법이 불편하게 느껴진다고도 말한다.
미치가미 공사 역시 자신에 대한 그런 평가를 알고 있다. 하지만 그는 30년간 세 차례에 걸쳐 한국에 머물렀던 인연을 떠올리며, ‘한국은 멋진 나라’라는 칭찬 대신 한국인 입장에서 듣기 거북할 수 있는 쓴소리를 택했다. 그런 쓴소리에 대해 한 추천자는 ‘일부의 지적은 동의할 수 없어도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진단에 대해서는 한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점점 좁아지는 세계화 시대를 사는 우리들이 어떤 태도로 이웃나라를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해 냉정하게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가 제시한 해법이 옳고 그른지 여부를 떠나, 이 책은 한국인이 모르는 한국에 대해 돌이켜보게 하고, 한국의 실질적인 국익을 위해 무엇을 취하고 무엇을 버려야 할지에 대해 자문해볼 기회를 갖게 한다.

무엇이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가? -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공기(空氣)’

저자는 책에서 어느 나라에나 그 사회를 지배하는 국민 정서, 즉 공기가 존재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급격한 성장을 이룬 한국은 그 정도가 심해, 냉정한 국익 분석에 근거해야 할 외교에까지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일본 역시 과거에 공기에 휩쓸린 나머지 뼈아픈 실패(미ㆍ일전쟁 등)를 경험했으며, 한국이 일본과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조언한다.
그는 특히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공기 중 특히 한국이 단골로 내세우는 역사 인식 문제에 대해 직언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역사’란 ‘민족의 스토리’가 아니며, 올바른 외교를 위해 이 두 가지가 항상 긴장관계에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여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과거의 기억에 사로잡혀있기보다는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자국의 장래를 생각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 자국(한국)의 관점에서 벗어나 이웃나라가 과연 한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또 공기에 휩쓸린 나머지 정작 챙겨야 할 외교적 이슈를 놓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한ㆍ중ㆍ일 외교 진단 - 개선되어야 할 한국의 일본관ㆍ중국관

저자는 한국의 일본관이 ‘내셔널리즘에 입각한 지나친 비난’에 치우친 면이 있음을 지적한다. 198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 30년 이상 한국을 지켜본 저자는 근래 한국의 일본관이 1980년~90년대보다 오히려 퇴보했음을 지적하며, ‘모두가 가고 있는 방향’에 편승해서는 중장기적으로 한국의 국익에 피해가 올 수 있음을 피력한다. 민족 정서나 분위기에 반(反)하더라도, 한국의 발전적 미래를 위해 정론을 펼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나아가 저자는 한국의 중국관에 대해서도 지적한다. 중국을 국제의식이 낮은 나라로 치부해서는 안 되며, 외교적 관점에서 중국이 한국보다 한 수 위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중국의 한국관, 일본관에 대해서 설명하며 중국과 한국이 서로에 대한 입장 차가 상당히 크다는 점을 꼬집고 있다. 중국의 언론 보도와 젊은이들의 의식에 대해 설명하며, 중국의 지식인들이 바라본 한ㆍ중ㆍ일의 역사문제와 중국의 한국관 등에 대한 대담도 소개한다. 한ㆍ중ㆍ일 삼국의 발전적 미래를 위해, 나아가 국제무대에서의 한국의 입지를 위해 한국의 중국관에 변화가 필요함을 주장하며, 이것이 결국 한국의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실례와 함께 설명한다.

책속으로 추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일본은 민족주의의 위험이나 무서움에 대해 누구보다 통절히 깨달았다. 전쟁 상대국이나 인접국으로 향하던 민족주의의 칼끝이 자신들에게로 겨눠지면서, 스스로 자신의 몸을 절반쯤 망치기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전후 일본이 (때로는 과도할 정도로) 민족주의, 국가, 민족을 어둡고도 부정적으로 받아들였던 사실은 앞서 몇 차례나 지적한 대로다. 한국이나 중국은 ‘대항(對抗)형’ 내셔널리즘이니만큼, 민족주의의 위험을 알기 힘들고, 오히려 박수를 치는 경향이 있다. 바로 그 점이 새롭게 발흥하는 나라의 약점이다(그리고 그 점이 일본에게는 믿기 어려운 시대착오로 보이는 것이다). (한국인의 정치의식과 외교_208쪽)

지금은 한ㆍ중ㆍ일 3개국 모두 서로의 거리를 파악 못 하고 있다. 일본이 오랫동안 ‘아시아의 후지산(압도적인 톱)’이던 후, 대두하는 한국과 중국에 추격당하고 있다. 중국은 급성장하는 가운데 심각한 국내 문제가 산적해 있고, 한국은 고도성장 다음 단계로의 이행기로 사회 문제의 스트레스가 강하고 외교는 때때로 공기, 정서에 좌우되곤 한다. (한ㆍ일 관계에 빛을 되찾으려면_237쪽)

목차

추천사 | 한ㆍ일 간 대화의 실마리를 제공해주는 귀중한 통로 ㆍ 이강민(한양대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소장)
귀에 거슬려도 들어볼 만한 일본 외교관의 고언(苦言) ㆍ 오태규(한겨레신문 논설위원실장)
울타리 속 한국, 세상 물정에 까막눈인가 ㆍ 선우정(조선일보 논설위원)
서문 | 한국의 미래를 위한 제언

1장 가까운 나라일수록 어려운 상호 이해
ㆍ 이웃나라에 문화가 있다는 것도 모르는가?
ㆍ 들어서 알던 것과는 전혀 달라요! - 국경을 넘는 청소년ㆍ문화 교류
ㆍ 선입견을 버리고 사실을 보자
ㆍ 무엇을 위한 상호 이해인가

2장 내가 바라본 한국의 일본관ㆍ중국관
ㆍ 무엇이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가?
ㆍ 한국을 지배하는 네 가지 공기
ㆍ 1980년대 한국의 일본관
ㆍ 1990년대 말 한국의 일본관
ㆍ 2010년대 한국의 일본관
ㆍ 한국이 알아야 할 중국의 참모습

3장 현대 한국의 정치ㆍ사회 심리 분석
ㆍ 주관론에 따라 움직이는 한국인
ㆍ 착각과 잘못된 균형의식-분석 1
ㆍ 사회 발전에 따른 개인의 무력감 - 분석 2
ㆍ 한국의 일본관 vs 일본의 한국관 - 분석 3
ㆍ 한국의 성장과 한ㆍ일 관계 변화 - 분석 4
ㆍ ‘민족의 스토리’와 역사를 혼동 - 분석 5

4장 중국에 대한 고찰
ㆍ 중국의 젊은 세대와 인터넷
ㆍ 중국의 젊은 세대와 일본
ㆍ 중국 언론의 의외의 주장 1 - 냉정한 일본관
ㆍ 중국 언론의 의외의 주장 2 - 민족주의 비판, 균형감각
ㆍ 중국 지식인과의 대화 1 - 역사, 민족
ㆍ 중국 지식인과의 대화 2 - 문화, 일본, 한국
ㆍ 현대 중국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5장 이웃나라 이해와 한국 외교
ㆍ 일본이 한국을 역전
ㆍ 한국인의 정치의식과 외교
ㆍ 중국과 한국 외교
ㆍ 역사란? - 한국은 내셔널리즘을 극복할 수 있을까

맺음말│한ㆍ일 관계에 빛을 되찾으려면
부록│한국 근무 시절을 회상하며 - 매체에 기고했던 글들
ㆍ 한국에 돌아왔습니다
ㆍ 한국, 중국, 일본의 58년생 개띠들
ㆍ 행복한 유학
ㆍ “피자 나오셨습니다” ― 말은 재미있다
ㆍ 노벨상 배출하는 사회 풍토
ㆍ ‘우리’라는 울타리를 넘어서

저자소개

저자 미치가미 히사시(道上?史)는 1958년 오사카 출생. 1983년 도쿄대 법학부를 졸업한 뒤 일본 외무성에 입성했다. 1985~1986년 서울대 외교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1987년 미국 하버드대에서 석사(국제관계론)학위를 받았다. 외무성 북동아시아과, 주제네바 대표부(WTO) 등에서 일했고 두 차례에 걸쳐 주한일본대사관(1998~2000년 일등서기관ㆍ참사관, 2011~2014년 공보문화원장ㆍ총괄공사)에서 근무했다. 2007~2009년에는 베이징에서 주중일본대사관 공사를 지냈다. 2014년부터 주두바이 일본총영사로 재임 중이다. 동아시아와 국제경제 문제에 정통한 외교관으로 한국, 중국 내에 폭넓은 교우관계를 갖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대학, 관청, 시민단체 등에서 80회에 걸쳐 강연을 했으며 언론매체에도 다수의 칼럼을 기고했다. 저서로 한국에서 출간한 《한국을 모르는 한국인, 일본을 모르는 일본인》, 일본에서 출간한 《일본 외교관, 한국 분투기(日本外交官, 韓?奮鬪記)》 《외교관이 본 중국인의 대일관(外交官が見た, 中?人の?日?)》이 있다.

도서소개

한국은 이웃나라를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는가? 일본 외교관의 한국의 미래를 위한 제언을 담은 『한국인만 모르는 일본과 중국』은 저자가 30년간의 외교 경험을 근거로, 한ㆍ중ㆍ일 삼국의 외교 실상과 한국이 가진 문제점, 실질적인 국익을 위해 한국이 직시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논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가 모르는 일본과 중국의 한국관, 한ㆍ중ㆍ일 삼국 관계를 비롯한 국제무대에서의 한국의 지향점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