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작은 공간 큰 이야기 (5)

작은 공간 큰 이야기 (5)

  • 김상화 (엮음)
  • |
  • 호밀밭
  • |
  • 2015-12-31 출간
  • |
  • 198페이지
  • |
  • ISBN 9788998937317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0,000원

즉시할인가

9,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부산 지역 예술가들과 시민들이 만나, 매주 화요일 저녁마다 펼치는 한바탕 질펀한 수다와 공연의 시간들 부산 지역 예술가들과 시민들이 매주 화요일마다 만나 편하고 자유롭게 환대하며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 ‘쌈수다’는 부산도시철도 2호선 수영역사 내에 위치한 문화매개공간 ‘쌈’의 대표 프로그램이다. 쌈은 부산교통공사가 후원하고 문화예술사업단 Biki 가 운영하는 문화매개공간으로 지역의 예술가들과 시민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다. ‘매주 쉬지 않고’ 와 ‘지역과 동네의’라는 두 가지 핵심 키워드로 운영되는 쌈수다 프로그램은, 매주 화요일 저녁마다 지역 예술가들의 살아있는 경험과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한바탕 질펀한 수다와 생생한 공연의 시간들로 채워지고 있다. 부산 지역에서 10년 이상 활동해 온 3040 세대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주로 초대되는데 이들은 다양한 전시, 공연, 행사 등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하고 각자의 입장에서 가감 없이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들려주기도 한다. 오랜 시간 자신만의 소중한 창작활동을 하며 ‘지역’을 지키고 있는, 나아가 ‘지역’ 의 새로운 문화들을 주도하고 있는 부산 지역의 예술가들이 매주 화요일 문화매개공간 쌈에서 시민들과 만나 편하고 자유롭게 풀어놓은 썰(?)의 기록이 어느새 5번째 책으로 묶였다. 기형적으로 중앙 집중화 되어있는 한국사회에서 ‘지역’ 이란 화두와, ‘비주류’ 예술 및 문화 활동이라는 이중적 장애(?)를 유쾌하게 극복하며 그들만의 방식으로 즐겁게 상상하고 스스로 실천해가는 사람들. 이제 그들이 털어놓은 작지만 소중한 이야기들을 만나보자! 242회, 한 주도 거르지 않은 만남, 대화, 관계 맺기의 실험들 한 주도 거르지 않고 이어져온 만남이 2015년 말을 기준으로 242회를 채웠다. 그 기록들을 매년 책으로 묶은 것도 어느새 5권 째다.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 만나고, 차이를 확인하고 새롭게 관계를 맺어가는 이 소박하지만 소중한 실험은 2015년부터 새로운 형태로 진행하였다. 8명의 호스트들이 각각의 분야별 관심사를 주제로 게스트들을 초대하였고 쌈수다의 진행도 예전보다 더 자유롭고 다양하게 펼쳐졌다. 그리고 수영팔도시장 내 단골 생선구이 집과 중국집에서의 뒤풀이는 계속되었고 부산이라는 지역이 가진 문화예술의 향기도 더욱 짙어졌다. 부산 지역에 이런

목차

프롤로그 문화매개공간 쌈 - 다섯 번째 책을 내면서 1부. 쌈수다 - 2015년 42개의 이야기 201 0106 서영수(축제조직위원회) - 첫 쌈수다 축제로 열다 202 0113 김지용(연극연출가) - 그 섬에서의 생존방식 203 0120 이동용(문화기획) - 춤꾼에서 문화기획자로 204 0127 박형준(문학평론가) - ‘문학의 이해’에서 ‘문학적 삶’으로 205 0203 황지선(무대디자이너/배우) - 무대를 채우는 것들 206 0210 전혜정(북아트 작업자/프리마켓 운영자) - 북아트 공방에서 프리마켓 운영까지 207 0217 우명희(연극배우) - 신의 아그네스 208 0224 김종군(기타리스트) - 서울바라기서 홀로서기로 209 0303 정익진(시인) - 킬리만자로의 표범-대중음악 속의 시 210 0310 이진성(피아니스트) - 상상 그리고 이야기 211 0317 이광혁(스카웨이커스/드러머) - 잠을 깨우는 사람 212 0324 서호빈(영화감독) - 못 213 0331 홍석진(영화감독/작가) - 3명의 여자 214 0407 Gachi 예술협동조합 - Gachi 예술운동 215 0414 송민정(배우) - 죽기 살기로 하지 않는 배우 216 0421 이상(쥬드보컬/기타) - 부산에서 뮤지션으로 산다는 것 217 0428 박준영(사진작가) - 사람이 아름답다 218 0505 백대현(연극 연출/배우) - 돈키호테에 관한 10가지 것들 219 0512 아이씨밴드 - 살아보니 살아지네 220 0519 이은주(시인) - 내 안의 나를 찾아서 221 0526 이일래(문화사회학자) -게임은 예술이 될 수 있을까(지역에서 삶으로서의 문화 연구하기) 222 0602 김미희(전시기획자) - 동시대미술계의 선순환구조 223 0609 오숙희(방송작가) - 오숙희와 베리어프리영화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화면해설 영화) 224 0616 김경호(조각/설치작가) - 하늘을 날다 225 0623 최경철(창작국악단 젊은풍류) - 꿈으로 날다 226 0630 김남영(문학평론가) - 현대시가 그려내는 성충동 227 0804 방호정(the street writer) -변방의 북소리-갈매기공화국 리턴즈 228 0811 강원재(청춘나비소극장 대표) - 연극바보로 세상과 맞짱뜨기 229 0818 이시재(민락인디트레이닝센터 프로그램매니저) - 부산클럽투어 10년 230 0825 정수진(부산민언련 마을미디어연구소) - 작은 미디어가 마을을 바꾼다 231 0901 이유진(그림 그리는 예술강사) - 어쩌다 보니 10년째 232 0908 이새미(경상도민요보존회/소리꾼) - 경상도 메나리 233 0915 강

저자소개

저자 : 김상화 (엮음) 저자 김상화는 1980년대 중반부터 미술운동을 중심으로 지역의 여러 장르와 함께 하는 문화운동을 펼쳐왔고 1990년대 초반부터는 애니메이션을 독립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하며 영화와 인연을 맺었다. 이후 부산독립영화협회의 초대 대표를 지냈고, 영화 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 걸쳐 의식 있는 문화예술 활동을 전개했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부산 지역 청년예술가들의 활동을 지지하고 지원하는 데 관심을 쏟았고 그 성과들과 더불어 부산도시철도의 유휴 공간을 예술가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일을 하고 있다. 부산도시철도문화예술 자문단을 만들고, 도시철도 곳곳에서 예술 활동이 가능하도록 묵묵히 지원하며 문화예술 정책 변화를 꾀해왔으며 그 성과로 문화매개공간 ‘쌈’ 을 부산도시철도 2호선 수영역사 안에서 운영 중이다. 부산예술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부산국제어린이영화제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 밖에 ‘문전성시 부전시장’의 총감독이며 부산민예총 부회장,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문화사회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부산의 문화예술 지형을 살찌우는 일을 오랜 기간 해오고 있다. 문화매개공간 쌈 2009년 12월 설립된 문화매개공간 쌈은 부산교통공사가 공간을 조성하고 문화예술사업단 Biki가 운영하는 부산시민들을 위한 문화 사랑방이다. 다양한 예술가들의 문화를 담아내고 부산 지역 문화예술 전문 인력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문화연구사업 및 컨설팅, 정보 제공 등을 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과 활동으로 부산문화예술인과 함께 하는 ‘쌈수다’, 기획전시 및 기획공연 진행, 문화예술 행사 정보 제공, 문화예술 관련 자료 비치, 문화예술 강좌 운영, 시민 문화 공간 대여 등이 있다.

도서소개

부산 지역에서 10년 이상 활동해 온 3040 세대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주로 초대되는데 이들은 다양한 전시, 공연, 행사 등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하고 각자의 입장에서 가감 없이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들려주기도 한다. 오랜 시간 자신만의 소중한 창작활동을 하며 ‘지역’을 지키고 있는, 나아가 ‘지역’ 의 새로운 문화들을 주도하고 있는 부산 지역의 예술가들이 매주 화요일 문화매개공간 쌈에서 시민들과 만나 편하고 자유롭게 풀어놓은 썰(?)의 기록이 어느새 5번째 책으로 묶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