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김정겸 Scaffolding 교육학논술 2

김정겸 Scaffolding 교육학논술 2

  • 김정겸
  • |
  • 박문각에듀스파
  • |
  • 2017-01-25 출간
  • |
  • 672페이지
  • |
  • 4*6배판
  • |
  • ISBN 9791170231028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Chapter 08 생활지도와 상담

Section 01 | 생활지도의 기초 

1. 생활지도의 의의 

2. 생활지도의 활동 순서

3. 학생 이해의 방법 

4. 생활지도, 상담, 심리치료의 관계 

 

Section 02 | 생활지도의 실제 

1. 진로교육 

2. 진로발달이론 

3. 벌과 학생지도

4. 비행 예방지도 

 

Section 03 | 상담활동 

1. 상담의 기본 원리

2. 상담의 형태 

3. 각 상담이론의 주요 목표 

4. 상담의 기술

5. 상담관계

 

Section 04 | 상담이론 

1. 상담이론의 분류 

2. 윌리엄슨(E. G. Williamson)의 지시적 상담 

3. 로저스(C. R. Rogers)의 비지시적 상담(인간중심 상담) 

4. 인지주의 상담의 종류 

5. 행동주의 상담의 종류

6. 정의적 영역 상담이론

7. 기타 상담이론 

8. 집단상담

 

Chapter 09 교수-학습

Section 01 | 교수-학습 1

1. 자기충족 

2. 체제적 접근 

3. 딕과 캐리(Dick & Carey)의 체제적 교수설계모형

4. 수업목표 진술 

5. 학습과제 분석 

6. 가드너(H. Gardner)의 수업도입전략 

7. 강의법

8. 토의법 

9. 적성-처치 상호작용 

10. 라이겔루스(C. Reigeluth)의 인지정교화 이론 

11. 켈러(F. Keller)의 개별화 교수체제(PSI) 

12. 협동학습 

13. 자기주도적 학습 

 

Section 02 | 교수-학습 2

1.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2. 구성주의 

3. 발 문 

4. 내적·외적 동기유발방법

5. 켈러(Keller)의 ARCS 동기화 전략 

6. 캐롤(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7. 메릴(Merrill)의 구인제시이론 

8. 브루너(J. S. Bruner)의 수업이론과 발견학습 

9. 가네(R. M. Gagne?)의 수업이론(목표별) 

10. 오수벨(D. P. 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이론

(설명학습) 

11. 블룸(B. S. Bloom)의 완전학습모형 

12. 스키너(Skinner)의 프로그램 수업(학습, Programmed Instruction:PI) 

13. 수업의 개별화 

14. 반두라(Bandura)의 학습이론

 

Chapter 10 교육행정

Section 01 | 교육행정의 정의 

1. 교육행정의 여러 가지 정의 

2. 교육행정의 또 다른 정의 

 

Section 02 | 행정이론 -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1. 과학적 관리론의 개요 

2. 테일러(Taylor)의 연구

3. 인간관계론 

 

Section 03 | 여러 가지 행정이론 

1. 행태론 

2. 체제이론

3. 사회과정이론

 

Section 04 | 정책결정모형 

1. 정책결정모형의 구분 

2.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Section 05 | 학습조직 

1. 의 의 

2. 특 징 

3. 형성조건 

4. 학습조직의 구성요소(P. Senge)

5. 관료조직과 학습조직의 비교 

 

Section 06 | 조직유형이론 

1. 블라우와 스콧(P. M. Blau & W. R. Scott)의 조직유형(수혜자 중심 분류) 

2. 에치오니(A. Etzioni)의 조직의 유형(일원적 복종관계조직)

3. 민츠버그(H. Mintzberg)의 조직유형 

4. 파슨스(Parsons)의 AGIL 모형 

5. 칸과 카츠(R. L. Kahn & D. Katz)의 조직유형론 

6. 리커트(Likert) - 참여의 정도에 따라 조직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 

7. 핼핀과 크로프트(Halpin & Croft)

8. 칼슨(Carlson) 

9. 홀(Hall)의 교육조직구조 

 

Section 07 | 동기유발이론 

1. 내용이론 

2. 과정이론 

 

Section 08 | 지도성 이론 

1. 특성론 - 특성 리더십은 천부적으로 타고나는 특성이라는 견해 

2. 행태론 

3. 상황론 

4. 변혁적 지도성 

5. 문화적 지도성 

6. 초우량 지도성 

7. 서지오바니(Sergiovanni)의 지도자 유형 

 

Section 09 | 예산이론 

1. 품목별 예산제도(Line-Item-Budgeting System:LIBS)

2. 성과주의 예산제도(Performance Budgeting System:PBS)

3. 계획예산제도(Planning-Programming Budgeting System:PPBS) 

4. 영기준 예산제도(Zero-Based-Budgeting System:ZBBS)

5. 목표관리(Management by Objectives:MBO) 

6. PERT(Program Evaluation Review Technique)

7. 바우처 제도(Voucher System) 

8. 총체주의와 점증주의의 예산비교

 

Section 10 | 조직관리기법 

1. 조직발전(OD) 

2. 조직관리기법 

3. 총체적 질 관리 

 

Section 11 | 장학이론 

1. 장학의 발달사 

2. 장학의 종류 

 

Section 12 | 의사소통 이론 

1. 의사소통(communication)의 개념

2. 조하리의 창(Johari Window)

 

Section 13 | 관료제 

1. 관료제의 특징과 역기능 

2. 교육조직의 성격 

 

Section 14 | 학급경영의 원리

 

Section 15 | 교육제도와 학교제도 

1. 교육제도의 일반원리 

2. 학교제도의 구조와 유형

Chapter 11 교육공학

Section 01 | 매체 분류-데일(Dale)의 경험의 원추

1. 이 론

2. 원 추

 

Section 02 | 코스웨어 개발

1. 분석단계 

2. 개발단계 

3. 평가단계 

 

Section 03 | 딕과 캐리(Dick & Carey)의 체제적 교수설계모형(ADDIE, ASSURE)

1. 단 계 

2. 단계별 해설

 

Section 04 | 교수체제 설계모형(ISD) = ADDIE

1. 이 론 

2. 단계별 해설

 

Section 05 | ASSURE 모형 

1. 이 론 

2. 단계별 내용

 

Section 06 | 웹퀘스트 수업(WebQuest Instruction)

1. WebQuest란? 

2. WebQuest의 장점

 

Section 07 | 블렌디드 학습(Blended Learning) 

1. 개 념 

2. 모 형 

 

Section 08 | 컴퓨터보조학습(CAI) 

1.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의 의미 

2.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유형 

3. CMI(Computer-Managed Instruction)

4. CAI와 CMI의 비교 

 

Section 09 | 매체연구 

1. 연구의 종류 

2. 교수매체연구의 패러다임 변화

 

Section 10 | 수업(교수)매체 

1. 수업매체의 특성 및 원리 

2. 수업매체의 유형

 

Section 11 | 교수-학습자료의 개발을 위한 시각 디자인 

1. 기본 원리 

2. 시각적 요소 

3. 구성원리-시각 디자인의 구성원리와 기법 중 배열에서의 시선집중 비율 

4. 색상 선택 시 고려사항 

 

Section 12 | 이러닝(e-learning)

1. 배 경 

2. e-learning의 개념

3.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지식

4. e-learning의 효과

 

Section 13 | 최근 구성주의 관련 수업모형

1.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2.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Bigital Game-Based Learning)

3. 부잔(Buzan)의 마인드맵(mind map) 

4. 자원기반학습(Resource-Based Learning) 464

5. 목표기반 시나리오(Goal-Based Scenarios:GBS) 

 

Chapter 12 교육평가

Section 01 | 교육관과 교육평가

1. 선발적 교육관 

2. 발달적 교육관 

3. 선발적·발달적·인본주의적 교육관의 비교 

 

Section 02 | 평가기준에 따른 분류 

1. 상대평가

2. 절대평가 

3. 규준지향적 평가와 목표지향적 평가의 비교 

 

Section 03 |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과정 단계에 따른 분류

1. 진단평가 

2. 형성평가 

3. 총괄평가

4. 진단·형성·총괄평가의 비교 

 

Section 04 | 수행평가 

1. 개 념

2. 기 능

3. 평가에서의 강조점

4. 검사의 형태(수행평가 문항의 개발)

5. 수행평가의 단계 

6. 의 미 

7. 특 징 

8. 수행평가의 필요성 

9. 교수-학습평가에 있어서 수행평가를 도입하는 의의 

10. 전통적 평가와 수행평가의 비교 

11. 기존 평가방식과 수행평가방식의 비교 

 

Section 05 | 포트폴리오(portfolio) 

1. 포트폴리오의 개념 

2. 포트폴리오와 수행평가 

3. 포트폴리오의 다양성을 살리기 위한 지침 

 

Section 06 | 교육목표 분류 

1. 이원분류표 

2. Bloom의 복잡성 원리와 Krathwohl의 내면화 원리에 따른 교육목표분류 평가 

 

Section 07 | 평정의 오류 

1. 집중경향의 오류 

2. 표준의 착오 

3. 인상의 오류(halo effect, 후광효과) 

4. 논리적 오류 

5. 관대화의 오류

6. 대비의 오류 

7. 근접의 오류

 

Section 08 | 교육평가에 대한 다양한 관점 

1. 타일러(Tyler)의 목표중심적 접근 

2. 스터플빔(Stufflebeam)의 경영적 접근(의사결정적 접근)

3. 메타평가

4. 아이스너(Eisner)의 비평적 평가 

Section 09 | 신뢰도 

1. 특성 및 종류 

2. 채점자 간 일치도(agreement between/among raters)

3. 재검사 신뢰도(retest reliability) 

4. 동형검사 신뢰도(equivalent-form reliability)

5. 반분신뢰도(split-half reliability) 

6.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s coefficient alpha) 

7. 타당도와 신뢰도와의 관계 

 

Section 10 | 타당도

1. 특성 및 종류 

2. 안면타당도 

3. 내용타당도 

4. 예언타당도 531

5. 공인타당도 532

6. 구인타당도 532

7. 체제적 타당도(systemic validity) 

8. 생태학적 타당도(ecological validity)

 

Section 11 | 능력, 성장참조평가 

1. 능력참조평가(ability-referenced evaluation)

2. 성장참조평가(growth-referenced evaluation)

 

Section 12 | 교육측정과 교육평가의 비교

1. 교육측정(Measurement) 

2. 교육평가(Evaluation) 

 

Section 13 | 표준화 심리검사 

1. 개 념 

2. 특 징 

3. 기 능

4. 종 류

 

Section 14 | 정의적(情意的) 특성의 평가 

1. 관찰법(Observation) 

2. 질문지법(Questionnaire) 

3. 면접법(Interview) 

4. 평정법(Rating Scale)

 

Section 15 | 주관식 검사와 객관식 검사 

1. 주관식 검사의 제작상 유의점 

2. 주관식 검사와 객관식 검사의 비교

 

Chapter 13 교육연구

Section 01 | 가 설 

1. 가설검증절차 

2. 가설검증에서 가능한 오류 

 

Section 02 | 실험설계 

1. 실험설계의 타당성 

2. 실험설계의 종류

 

Section 03 | 문항반응모수 

1. 정 의 

2. 종 류 

3. 문항난이도가 같은 두 개의 문항특성곡선 

4. 문항특성곡선 

 

Section 04 | 연구전통에 따른 분류 -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1.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 

2.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 

3.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비교 

 

Section 05 | 기술적 연구법 

1. 개 념

2. 상관연구 

 

Section 06 | 발달적 연구법

1. 연구의 유형 

2. 발달적 연구법-횡단적 연구와 종단적 연구

 

Section 07 | 현장연구법

1. 현장연구의 개념과 필요성

2. 현장연구의 특징 

3. 현장연구법의 기본 전제 

 

Section 08 | 교육연구의 표집

1. 표집의 기초 

2. 표집의 종류

 

Section 09 | 일화기록법

1. 개 념 

2. 장 점 

 

Section 10 | 의미분석법 

1. 개 념 

2. 예

 

Chapter 14 교육통계

Section 01 | 표준점수 

1. Z점수 

2. T점수 

3. 스테나인 점수 

4. 편차 IQ 

5. Z, T, H, C, 스테나인, P점수의 관계 

 

Section 02 | 백분위 점수 

1. 정 의 

2. 특 징 

3. 기 능 

 

Section 03 | 집중경향치 

1. 최빈값(mode) 

2. 중앙값(median)

3. 산술평균값(arithmetic mean) 

4. 최빈치, 중앙치, 산술평균치의 비교 

5. 정상분포곡선의 분포경향과 학습결과

 

Section 04 | 분산도 

1. 변량(variance) 

2. 범위(range) 

3. 사분편차(quartile deviation) 

4.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ection 05 | 통계의 기초 

1. 교육통계의 정의 

2. 측정치 

 

Section 06 | 문항의 통계적 분석 

1. 문항분석 

2. 문항곤란도(문항난이도)

3. 문항변별도 

4. 답지의 능률성


저자소개

 

김정겸

 

대표저서

- 김정겸 교육학 통합논술대비 web정리 note(2015)

- 김정겸 COMPACT 교육학 논술(2015

도서소개

‘논술’은 비판력과 창의력 같은 고등사고능력을 길러 주는 것이다. 이미 ‘고등사고능력’이라는 말에 논술을 어떻게 써야 할 것인가가 들어가 있다. 비판적 대안을 갖춘 논술이 필요하다. 이 비판에 대한 ‘대안(문제 해결력)’의 구도를 갖추어야 한다. 그 ‘대안’이 창의적이면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물론 그 ‘대안’의 제시가 타당한 근거를 갖고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이유로 책 제목을 “Scaffolding 교육학 논술”이라 했다. “Scaffolding”은 비계설정이라는 뜻으로서 디딤돌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이 예비교사 여러분의 임용고시 합격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는 확신에서, 그리고 “꽉 짜인 압축된 정보”를 제공하여 밀도 있는 답안지를 작성하기를 소망하는 차원에서 붙인 제목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