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과학사 이해

과학사 이해

  • 박종범
  • |
  • 형설출판사
  • |
  • 2016-08-31 출간
  • |
  • 232페이지
  • |
  • 190 X 231 X 13 mm /456g
  • |
  • ISBN 9788947281041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3,000원

즉시할인가

13,0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리말
이 책의 초판이 2014년 8월에 출간된 후, 과학사에 관심을 가진 많은 독자들로부터 큰 사랑과 성원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진심으로 깊은 감사를 드린다. 초판이 발행된 후에 부족한 부분을 새롭게 추가하여 개정판이 나오게 되었으며, 이번 개정판에서는 제5장 중세의 과학 부분과 제7장 고대 인도의 과학 부분의 내용을 좀 더 보완하였다.

과학사(科學史)는 고대에서 현대까지 이르는 자연과학의 변천과 발달 과정을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자연과학은 기술과 직간접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과학사와 기술사는 일체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학사는 자연과학(natural science)과 기술(technology)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인류의 역사는 자연과학과 기술의 발전사라고 말할 정도로 인류가 지상에 존재한 이후 선사시대로부터 냉혹한 자연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오늘에 이르렀다. 그러나 자연현상을 어떻게 이해하였느냐 하는 과학적인 생각과 사상은 인류의 발전 단계별로 전혀 다른 시각으로 자연을 생각하고 해석하여 왔다.

과학이란 자연에 대한 어떤 체계적인 지식 즉, 사물과 현상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은 자연 세계에 대해 탐구하는 경험적이고 이론적이며 실험적인 지식의 집합체로, 관찰, 실험, 축적경험에 의한 예측을 지지하는 과학적 방법을 이용하는 과학자에 의해 창출되는 것이다. 과학에서 객관적 지식과 인간의 산물이라는 양립적 상황은 인문학적 방법인 역사서술을 과학사 탐구에 이용하는 좋은 발판을 제공한다. 고대부터 16세기 이전까지는 자연 세계의 경험적 조사가 과학적 주제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자연철학(natural philosophy)이라고 할 수 있다. 중세에 다양한 과학적 방법이 발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근대과학이 발전하게 되었다. 근대과학의 발달은 16세기와 17세기에 유럽에서 일어난 과학혁명에 의하여 비로소 근대과학이 시작되어 17세기의 물리학과 천문학, 18세기의 화학, 19세기 생물학, 20세기에 전자공학과 생명공학의 비약적인 발달에 의하여 오늘날의 현대과학이 나타나게 되었다.

우리의 현대생활은 과학의 영향을 밀접하게 받고 있기 때문에 과학이 현대 문명의 중추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과학의 발달 배경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한편으로는 현대 과학기술의 결과 나타난 폐해와 환경오염에도 깊은 우려와 관심을 갖고 역사적 반성을 하게 되었다. 이런 배경에 의해 현재 많은 과학자들이 과학사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과학사란 과학을 사회와의 연관 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라고도 할 수 있는데, 오늘날 세계를 지배하는 과학은 역사적으로 볼 때 서양에서 17C이후 급속히 발달하기 시작한 산물이므로 과학사가 서양 중심을 벗어나기 어려운 까닭이 여기에 있다. 현대과학문명의 발전은 인류와 하나밖에 없는 지구의 운명까지도 좌우할지도 모르게 무서운 속도로 혁명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은 컴퓨터를 중심으로 한 정보지식혁명이 심화되어 이른바‘제3의 물결’인 새로운 과학문명의 탄생이 진행 중에 있다. 이제 과학기술은 한 나라의 경제발전이나 국력신장을 위한 주된 힘을 뛰어넘어서 국제 정치·경제·군사·사회·문화 모든 영역에서도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어,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과학 발전이 국가적 차원에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본 저서는 인류 역사의 발전과 함께 과학과 기술의 변천과 발전과정을 역사 시기별로 정리하여 세계 역사 속에서 과학이 어떻게 발전하였는지를 이해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과학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과학사가 비록 서양중심이기는 하지만 동양에서 과학이 발전한 과정과 우리나라 전통과학도 가능한 충실하게 기술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은 크게 6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과학사의 역사를 다루었는데, 주요 내용은 교양으로서의 과학교육, 과학기술의 기원, 과학과 철학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2부에서는 고대에서 중세까지의 과학 발전과정을 다루었는데, 주요 내용은 고대 과학의 시작. 그리스의 과학, 로마에서 중세까지의 과학, 중세의 과학 발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3부는 동양의 고대 과학을 다루었는데, 주요 내용은 고대 중국의 전통과학, 고대 인도의 과학, 아랍의 과학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4부는 중세에서 근대까지의 과학에 대하여 다루었는데, 주요 내용은 과학혁명, 17세기의 과학, 18세기의 과학, 19세기의 과학 발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5부에서는 20세기 과학과 현대과학의 발전에 대하여 다루었는데, 주요 내용은 20세기 및 21세기에 발전한 과학분야와 현대 과학의 문제점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6부에서는 한국의 전통과학 발전 과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과학이라는 인간의 정신적·기술적 활동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과학사·과학사회학·과학철학·과학정책학 등 과학학(science of science) 교육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긴 역사에서 자연에 대한 이해와 탐구활동이 그 시대의 경제사회적 구조와 정치, 사상사와 연관하여 상호 어떤 영향을 주고 받았는가, 그리고 어떤 여건하에서 창의적인 과학활동이 활발하였는가 등을 이해하는 것은, 미래의 과학기술을 인류의 평화와 복지증진을 위해 어느 방향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인가를 알게 하는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쪼록 이 저서가 과학 기술의 변천과 발전과정인 인류 과학사를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2016년 7월
백양산 연구실에서 박종범

목차

제1부 과학사의 역사 10
제1장 과학사와 과학 교육 13
1절. 과학사의 역사 14
2절. 교양으로서의 과학 교육 18
3절. 과학 기술의 기원 23
4절. 과학과 철학 26

제2부 고대에서 중세까지의 과학 28
제2장 고대 과학의 시작 31
1절. 과학의 시작 31
2절. 고대 과학 32
3절. 고대 과학의 특징 38

제3장 그리스의 과학 39
1절. 그리스 자연철학의 배경 39
2절. 그리스의 과학 40
3절. 그리스 자연관의 특징 54

제4장 로마에서 중세까지의 과학 55
1절. 로마의 실용 과학 56
2절. 중세 초기의 우주관 59
3절. 중세 초기 과학의 특징 60

제5장 중세의 과학 61
1절. 중세에 과학이 뒤떨어진 이유 62
2절. 르네상스 63
3절. 중세 서구사회의 변화 65

제3부 동양의 고대 과학 72
제6장 고대 중국의 전통 과학 75
1절. 고대 중국의 자연관 75
2절. 신유학과 격물론 78
3절. 고대 중국의 과학 79

제7장 고대 인도의 과학 84
1절. 고대 인도의 원자설 85
2절. 고대 인도의 우주관 85
3절. 고대 인도의 과학 87

제8장 아랍의 과학 89
1절. 유산의 흡수 89
2절. 아랍의 과학 90
3절. 아랍 과학의 역사적 의의 93
4절. 동양 과학과 서양 과학의 차이점 94

제4부 중세에서 근대까지의 과학 98
제9장 과학 혁명 101
1절. 과학 혁명의 배경과 정의 101
2절. 과학 혁명의 중요성과 특징 및 해석 104
3절. 천문학의 선구자들 106
4절. 근대 역학의 선구자들 110

제10장 17세기의 과학 115
1절. 17세기의 과학 115
2절. 과학 기구의 발달 123
3절. 17세기의 과학적 환경 127

제11장 18세기의 과학 131
1절. 18세기의 과학 133
2절. 화학 혁명 136
3절. 산업 혁명의 배경 140

제12장 19세기의 과학 145
1절. 19세기의 과학 146
2절. 생물학의 혁명 153

제5부 20세기와 현대 과학 162
제13장 20세기의 과학 165
1절. 양자역학의 발달 165
2절. 전자공학(컴퓨터)의 발달 169
3절. 고분자화학의 발달 173
4절. 생명공학의 발달 174

제14장 21세기의 과학과 현대 과학의 문제점 183
1절. 대체 에너지 개발 183
2절. 환경 파괴의 문제와 대책 187
3절. 식량 문제의 해결 190
4절. 새로운 기술의 개발 192
5절. 새로운 산업사회의 위기 195
6절. 현대 과학이 나아갈 길 197

제6부 한국의 과학 200
제15장 한국의 전통 과학 203
1절. 한국 고대 과학의 시작 203
2절. 한국 전통 과학의 형성 209
3절. 창조적 과학의 전개 ?213
4절. 고려의 과학과 기술 216
5절. 자주적 과학 기술의 전개 221

저자소개

저자 박종범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이학박사)
미국 Ohio State University(Plant Biotechnology Center) Visiting Scholar
신라대학교 낙동강연구원장 역임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학장 역임
신라대학교 교양과정대학 학장 역임
현재 신라대학교 생물과학과 교수


식물발생학(박종범 외 14인 공역, 2000, 아카데미서적)
알기쉬운 자연과학사(박종범 외 4인 공저, 2001, 형설출판사)
식물의 발생·형태(박종범 외 19인 공저, 2002, 정문각)
꿈을 현실로 만드는 신라리더십(박종범 외 4인 공저, 2011, 신라대학교 출판부)
숲과 인간생활(박종범·김동균, 2013, 신라대학교 출판부)

도서소개

고대에서 현대까지 이르는 자연과학의 변천과 발달 과정을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인 과학사에 대해 정리한 『과학사 이해』. 인류 역사의 발전과 함께 과학과 기술의 변천과 발전과정을 역사 시기별로 정리하여 세계 역사 속에서 과학이 어떻게 발전하였는지를 이해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과학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과학사가 비록 서양중심이기는 하지만 동양에서 과학이 발전한 과정과 우리나라 전통과학도 가능한 충실하게 기술하고자 노력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