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KBS 한국어 능력시험 유형해설서

KBS 한국어 능력시험 유형해설서

  • KBS한국어진흥원
  • |
  • 형설출판사
  • |
  • 2010-01-08 출간
  • |
  • 293페이지
  • |
  • 188 X 254 mm
  • |
  • ISBN 9788947243551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KBS한국어능력시험 개관

1.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요약

*시행 기관 : KBS 한국방송
KBS 한국어 능력 시험은 보편적인 한국어 사용의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국어를 정확하고 교양 있게 사용하여 국어를 아름답게 가꾸어 보전해야 할 선도적 사명과 책임이 있는 공영 방송이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국어사용 능력을 높이고 국어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기 위하여 국가자격기본법과 국어기본법에 근거하여 시행합니다.
*시행일 : 누리집(www.klt.or.kr) 참조 / 연 3~4회
*시험 장소 : 서울, 인천, 수원, 고양, 부산, 울산, 창원, 대구, 광주, 전주, 대전, 청주, 춘천, 강릉, 제주 등 15개 권역
*시험 수준 및 유형
-문제 양식 : 객관식 5지 선다형, 100문항
-문제 수준 : 고등학교 국어 교육 수준
-문제 유형 : 듣기, 어법, 읽기 등 국한된 분야만 측정하는 기존의 국어 시험과는 달리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문법, 문학 등 대표적인 언어 영역과 더불어 창안, 국어 문화 등 총체적인 언어 능력을 측정함.
*응시 대상 : 전 국민
*활용 기관
-기관 : 한국방송(의무시험), 교육방송, 한국전력, 주택공사, 토지공사, 우리은행, 지역난방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농촌공사, 국악방송, 한국고전번역원,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농수산홈쇼핑, 동작구청, 근로복지공단, GS홈쇼핑, 한국남동발전(주), 한국수자원공사 등
-학교 : 성균관대, 한국외국어대, 동아대, 순천대, 서울대(외국인 3급 이상), 대구가톨릭대, 한양대, 춘천교대, 공주영상대, 민족사관고(의무시험), 공주한일고, 전수상산고, 안양외고, 김천고 등
-예정 : 경찰청, 국방부, 신문사 등 향후 공무원, 공공기관, 기업체 임용과 승진 자료 활용 / 자사고, 특목고 입학 및 각 대학 졸업 인증시험으로 확산

2 KBS 한국어 능력 시험의 특징

1. 국가공인자격시험

1) 자격기본법에 의한 국가공인자격시험
-자격기본법 제30조에 의거 국가자격취득자와 동등한 대우 및 혜택
-교육과학기술부 훈령 제676호 제10조에 의거 학교생활기록부에 등재, 입시에 반영
2) 국어기본법에 근거한 시험
-국어기본법 제4장 제23조에 근거한 시험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이 공공성을 인정하고 지원하는 시험

2. 정밀한 언어 수행 능력 측정을 목표로 하는 시험

1) 다양한 언어 사용 역역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시험
국어기본법은 국어능력을 ‘국어를 통하여 생각이나 느낌 등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이해하는 데 필요한 듣기?말하기?읽기?쓰기 등의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KBS 한국어 능력 시험은 이러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이와 더불어, 정확하고 풍부한 언어 사용을 평가하기 위한 어휘?어법 영역, 창의적인 언어 사용을 평가하기 위한 창안 영역, 국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국어 문화 영역을 편성하여 다차원적인 언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2) 실제 언어 사용 환경을 적극 반영한 실용성 높은 시험
KBS 한국어 능력 시험은 국민이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실제 언어 환경을 적극 반영하고 있습니다. 실생활과 유리된 부차적인 지식의 측정을 지양하고, 실제 언어생활에 기여할 수 있는 정확하고 효과적인 지식을 측정할 것을 지향합니다. 시험에 사용되는 다양한 제시문을 일상생활에서 들여오고, 문항 구성도 실제 생활에서 언어 사용에 관련된 상황을 기반으로 하여 문제 해결식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단지 평가 점수를 부여하기 위한 측정 시험이 아니라, 시험을 준비하고 치르는 동안 자연스럽게 국어 능력이 향상되는 시험이 되도록 설계한 것입니다.

3. 등급제 반영으로 실제 언어 수행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

1) 실제 언어 수행 능력을 반영한 등급제 시스템(특허)을 보유한 시험
KBS 한국어 능력 시험은 과학적인 등급 부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점수대에 따라 근거 없이 작위적으로 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실제 언어 수행 능력을 측정한 결과와KBS 한국어 능력시험의 결과를 연계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시스템을 자체 개발하여 특허를 받았습니다(특허 제10-0834208호).
KBS 한국어 능력 시험의 등급 부여 시스템은 매 시험의 수험자 수준과 문항의 난이도가 반영되기 때문에 일관되고 안정적인 등급 부여가 가능합니다. 또한 KBS 한국어 능력 시험 결과만으로도 실제 언어수행 능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2) 과학적인 결과 분석 시스템을 갖춘 시험
KBS 한국어 능력 시험은 시험 실시 이후, 수험자의 반응을 분석하는 저문 분석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결과 분석타임은 영역별 수준 차이를 점검하여 편차를 보정하는 일과 문항별 수험자의 답지 반응, 문항변별도, 문항난이도를 분석하여 출제위원단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결과 분석팀의 활동으로 인해 영역별 평가 수준의 일관적인 유지와 문항의 품질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한국어능력시험 국가공인 자격 획득

1. 국가공인이란?

민간자격 국가공인 제도는 자격기본법 제17조에 의거 국가 외의 법인, 단체 또는 개인의 운영하는 민간자격 중에서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는 우수 민간자격을 동법 제10조 및 동법 시행령 제18조에 의거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조사, 연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직업교육훈련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국가가 공인해주는 제도로써, 민간자격 국가공인은 자격기본법 제27조에 의거 국가자격과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국가공인 자격 KBS한국어능력시험

한국방송공사의 KBS한국어능력시험은 2009년 1월 23일 문화체육관광부 공인 제2009-01호로 국가공인 자격을 취득함으로써 명실공히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가공인 한국어능력자격검정으로 인정 받았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공인 제2009-01호
-공인년월일 : 2009년 1월 23일
-민간자격관리기관 : 한국방송공사
-자격종목 및 등급 : 1급, 2+급, 2-급, 3+급, 3-급, 4+급
-국가공인의 유효기간 : 2009년 1월 23일~2011년 1월 22일(2년)
-시험 성적 결과에 의해 등급부여
-자격증 및 성적의 유효기간 : 응시일로부터 만 2년

3. 국가공인 취득자의 우대내용

-자격기본법 제30조에 의거 국가자격취득자와 동등한 대우 및 혜택
-교육과학기술부 훈령 제676호 제10호에 의거 학교생활기록부에 등재, 입시에 반영

4. 한국어능력 자격증 발급 안내
-자격증 신청자격 : KBS한국어능력시험 응시자중 1급, 2+급, 2-급, 3+급, 3-급, 4+급을 부여받은 자. 성인, 청소년 구분없이 발급함.
-자격증 신청기간 : KBS한국어능력시험 응시일로부터 3주 경과 후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인터넷을 통해 신청.
-자격증 신청 수수료 : 별도 고지

내용소개

오늘날 국가 경쟁력이 국가와 개인의 화두로 떠오르고 각국마다 국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힘쓰고 있다. 이때 반드시 언급되는 것이 모어(母語) 능력과 외국어 능력이다. 특히 국제화 시대를 맞아 나라마다 외국어 교육에 힘을 쏟으면서, 모어를 잘해야 외국어를 잘할 수 있다는 언어학적 법칙에 따라 그 토대가 되는 모어 교육에도 엄청난 투자를 하여 자국민의 모어 능력 향상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어 능력은 문법 능력, 표현 능력, 이해 능력, 문학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어 사용의 정확성을 추구하는 문법 능력, 국어 사용의 유창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표현 및 이해 능력, 국어 사용의 창의성을 추구하는 문학 능력은 어느 나라 사람이나 가정, 학교, 사회교육을 통하여 평생 길러야 하는 기본 능력으로, 합리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민주사회를 위해서도 국어 능력은 민주사회를 성취하는 지름길이기도 하다.
그런데 그동안 우리 주변에서는 국어를 얕보고 국어 능력을 기르는 데는 소홀하였다. 국어교육을 12년 동안 받았어도 여전히 문법이나 어문 규범에 대한 지식이 없어 표기와 어법에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말하고 들으며 쓰고 읽는 데 자신 없어 하고, 비논리적이며 감정적이며 오류투성이의 어법으로 된 글과 말을 날마다 쏟아내 불합리하고 교양 없는 언어생활을 하고 있으며, 지적ㆍ정서적으로 문학적 교양이 빈약한 상태에 있다.
일상의 국어생활은 외국어와 로마자가 점령하여 국적 불명어로 넘치고 국민의 어휘력과 사고력은 현저히 떨어졌다. 어휘력이 떨어지니 홍수처럼 쏟아지는 외국어를 번역하거나 국어로 순화하는 능력도 말라 가는 악순환 상태이다. 관청, 학교에서는 국어 순화의 의지도, 능력도, 교육도 사라져 가고 있다. 공자는 ‘언불순, 즉사불성(言不順, 則事不成)’ 즉 ‘언어가 순조롭지 못한 사회는 되는 일이 없다’고 경고하였으니, 날마다 우리 사회에서 불협화음이 많은 이유가 우리의 국어 능력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국가 경쟁력은커녕 국민의 국어 능력과 국어 교양은 기대할 수 없고, 선진 한국을 이룩할 수도 없다. 이에 우리는 선진 한국 창조를 위해 전 국민에게 올바른 국어생활을 위한 국어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는 KBS한국방송 및 KBS한국어연구회의 설립 정신에 따라, 전 국민의 국어 능력 함양을 지속적으로 도모하기 위해 국민의 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체제를 구축하고, 이러한 평가 체제를 통해 지속적으로 국민의 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정책과 방안을 강구하기로 하였다.
KBS한국어능력시험은 ‘국어기본법’ 관련 논의를 시작한 2002년부터 본격적인 준비 작업을 시행하기 시작하였으며, 다양한 기관에 기초 연구를 의뢰하여 평가 설계를 정교화하는 동시에 국어 평가 전문 인력을 영입하여 국어 능력 측정과 관련된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뒤 KBS한국방송 지원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제1회 KBS한국어능력시험(2004년 8월 8일)을 통해 평가 시스템의 보완 작업을 끝마쳤으며, 2005년에는 제2회 시험(5월)과 제3회 시험(8월)을 실시하고, 그 후 연간 3회의 시험을 계속해서 시행해 오고 있다.
2007년까지 아홉 번의 시험을 치르면서 10만여 명이 넘게 시험에 지원하였으며, 회를 거듭할 수록 공신력을 인정받아 입학이나 입사 전형 자료로 채택하는 기관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KBS한국방송은 이 시험의 더 큰 발전을 위해 을 발족시키고 시험의 전반적인 부분을 관장하면서 모국어의 정체성 확립과 한국어의 경쟁력 확보에 한층 더 힘쓰도록 하였다. 은 한국어 전문 기관으로 자리 잡아 가면서 KBS한국어능력시험의 확산에 주력할 것이다. 이번 기출문제 해설집이 상반기에 출간되었어야 함에도 조금 늦어진 것은 이런 조직의 변화 때문임을 양해해 주길 바라면서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
시간이 촉박함에도 예리하면서도 풍부한 해설을 달아 주신 KBS한국어능력시험 연구회의 필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한다. 기꺼이 출판해 주신 형설출판사에도 고마운 말씀을 드린다. 이 해설집이 KBS한국어능력시험의 출제 경향을 이해하고 향후 시험에 대비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수험생들 모두에게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란다.

목차

Ⅰ. 어휘 영역

유형 V-1. 어휘의 사전적 의미 / 26
V-1-A. 고유어의 사전적 의미 / 27
V-1-B. 한자어의 사전적 의미 / 29
V-1-C. 단위어의 사전적 의미 / 32
V-1-D. 시간어의 사전적 의미 / 34

유형 V-2. 어휘의 문맥적 의미 / 37
V-2-A. 어휘의 문맥적 의미 파악 / 38
V-2-B. 문맥에 맞는 어휘 사용 / 42
V-2-C. 혼동하기 쉬운 어휘의 구별 / 44

유형 V-3. 어휘 간의 의미 관계 / 51
V-3-A. 유의 관계와 반의 관계 / 52
V-3-B. 상하 관계 / 55
V-3-C.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양상 / 55
V-3-D. 다의어의 의미 / 56
V-3-E. 동음이의어 / 57
V-3-F. 문맥 소에서의 의미 관계 / 58
V-3-G. 의미의 공통점?차이점 파악 / 60

유형 V-4. 한자어의 독음과 표기 / 62
V-4-A. 한자어의 독음 / 62
V-4-B. 한자의 표기/병기 / 63
V-4-C. 문맥에 따른 한자어 선택 / 66
V-4-D. 한자어의 형성 원리 / 67

유형 V-5. 속담 및 관용 표현 / 70
V-5-A. 속담의 의미와 쓰임 / 70
V-5-B. 고사성어의 의미와 쓰임 / 73
V-5-C. 관용 표현의 의미와 쓰임 / 75
V-5-D. 관용 표현의 형성 방식 / 78

유형 V-6. 순화어 / 81
V-6-A. 난해한 한자어의 순화 / 82
V-6-B. 불필요한 외래어의 순화 / 83
V-6-C. 일본어 잔재 표현의 순화 / 84
Ⅱ. 어법 영역

유형 G-1. 어법에 맞는 표현 / 90
G-1-A. 사이시옷의 표기 / 91
G-1-B. 준말의 표기 / 92
G-1-C. 부사형의 표기 / 94
G-1-D. 명사형의 표기 / 95
G-1-E. 활용형의 표기 / 96

유형 G-2. 띄어쓰기 / 98
G-2-A. 정확한 띄어쓰기 / 99
G-2-B. 띄어쓰기의 원리 이해 / 102

유형 G-3. 표준어 / 105
G-3-A. 표준어 규정의 이해 / 106
G-3-B. 표준어 규정에 따른 표기 / 107
G-3-C. 복수 표준어 / 108
G-3-D. 표준어와 방언 구분 / 109

유형 G-4. 올바른 문장 / 112
G-4-A. 번역투 표현 / 112
G-4-B. 중의적 표현 / 113
G-4-C. 중복 표현 / 115
G-4-D. 자연스러운 문장 / 116

유형 G-5. 문법 요소의 이해 / 118
G-5-A. 종결 표현 / 119
G-5-B. 높임 표현 / 120
G-5-C.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 / 122
G-5-D. 조사의 쓰임 / 123
G-5-E. 품사와 문장 성분 / 126
G-5-F. 우리말의 특징 / 128

유형 G-6. 외래어 및 로마자 표기 / 131
G-6-A. 외래어 표기법 / 131
G-6-B.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133

유형 G-7. 표준 발음 / 136
G-7-A. 자음과 모음의 발음 / 136
G-7-B. 음의 길이 / 137
G-7-C. 받침의 발음 / 139
G-7-D. 된소리 발음 / 140
G-7-E. 음의 첨가 / 141

유형 G-8. 문장 부호 / 144
G-8-A. 문장 부호 규정 이해 / 144
G-8-B. 문장 부호의 사용 / 146

Ⅲ. 듣기?말하기 영역

유형 LS-1. 강연?설명 / 142
LS-1-A. 강연?설명-내용 이해 / 153
LS-1-B. 강연?설명-내용 생성?조직 / 156

유형 LS-2. 뉴스 보도 / 158
LS-2-A. 뉴스 보도-내용 이해 / 158
LS-2-B. 뉴스 보도-표현과 전달 / 160

유형 LS-3. 프레젠테이션 / 164
LS-3-A. 프레젠테이션-내용 이해 / 165
LS-3-B. 프레젠테이션-내용 생성?조직 / 167

유형 LS-4. 연설 / 169
LS-4-A. 연설-내용 생성?조직 / 170
LS-4-B. 연설-전달 / 171

유형 LS-5. 토의?토론 / 173
LS-5-A. 토의?토론-내용 이해 / 173
LS-5-B. 토의?토론-내용 생성?조직 / 176
LS-5-C. 토의?토론-표현과 전달 / 177

유형 LS-6. 면접?면담 / 179
LS-6-A. 면접?면담-내용 이해 / 179
LS-6-B. 면접?면담-내용 생성?조직 / 182

유형 LS-7. 대화 / 185
LS-7-A. 대화-내용 이해 / 186
LS-7-B. 대화-표현과 전달 / 188
유형 LS-8. 언어 예절 / 191
LS-8-A. 일상 언어 예절 / 191
LS-8-B. 직장 언어 예절 / 193

Ⅳ. 쓰기 영역

유형 W-1. 글쓰기 전략의 수립 / 198
W-1-A. 거시적인 글쓰기 전략 / 198
W-1-B. 구체적인 글쓰기 전략 / 200

유형 W-2. 글쓰기 자료의 활용 / 202
W-2-A. 거시적인 자료의 활용 전략 / 202
W-2-B. 구체적인 자료의 활용 전략 / 203

유형 W-3. 개요의 작성 및 수정 / 206
W-3-A. 개요의 작성 / 206
W-3-B. 개요의 구체화 / 207

유형 W-4. 논지 전개 / 210
W-4-A. 논지 전개 전략의 파악 / 210
W-4-B. 구체적 논지 전개 / 211

유형 W-5. 고쳐쓰기 / 213
W-5-A. 거시적 수정 / 213
W-5-B. 미시적 수정 / 214

Ⅴ. 읽기 영역

유형 R-1. 문예문 / 224
R-1-A. 현대시 읽기 / 224
R-1-B. 현대소설(수필, 희곡, 시나리오) 읽기 / 225

유형 R-2. 학술문 / 229
R-2-A. 인문 텍스트 읽기 / 229
R-2-B. 예술 텍스트 읽기 / 232
R-2-C. 과학 텍스트 읽기 / 234
R-2-D. 사회 텍스트 읽기 / 237

유형 R-3. 실용문 / 240
R-3-A. 친교 텍스트 읽기 / 240
R-3-B. 생활 텍스트 읽기 / 243
R-3-C. 평론 텍스트 읽기 / 244
R-3-D. 시각 자료 읽기 / 246
R-3-E. 공문.보도자료 읽기 / 249

Ⅵ. 창안 영역

유형 I-1. 그림을 활용한 창안 / 250
I-1-A. 구체적인 그림을 활용한 창안 / 250
I-1-B. 추상적인 그림을 활용한 창안 / 260
I-1-C. 두 그림 사이의 연관성 창안 / 262
I-1-D. 그림과 글자의 연관성 창안 / 263

유형 I-2. 텍스트를 활용한 창안 / 267
I-2-A. 삼행시, 사행시, 오행시 / 268
I-2-B. 패러디 / 269
I-2-C. 언어유희 / 271

Ⅶ. 국어 문화 영역

유형 C-1. 국문학 관련 교양 / 276
C-1-A. 문학 작품 / 276
C-1-B. 작가 / 278

유형 C-2. 국어학 관련 교양 / 280
C-2-A. 문법 탐구 / 280
C-2-B. 근대 국어 / 282
C-2-C. 북한어 / 283

유형 C-3. 현대 국어 생활 / 286
C-3-A. 매체 언어 / 286
C-3-B. 일상 언어 / 287
C-3-C. 국어 순화와 신조어 / 289

도서소개

한국어의 힘! 모국어도 경쟁력이다.
국어를 정확하고 교양 있게 사용하여 국어를 아름답게 가꾸어 보전해야 할 선도적 사명과 책임을 지니고 국민의 국어 사용 능력을 높이고 국어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험인 'KBS한국어능력시험'의 각 유형별 문제와 해설로 구성된 도서입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