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교감완역 난중일기

교감완역 난중일기

  • 이순신
  • |
  • 여해
  • |
  • 2016-12-26 출간
  • |
  • 584페이지
  • |
  • ISBN 979119531524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5,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2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난중일기 전편을 완벽하게 해독한 국내 최초의 완역본. 새로운 36일치 일기와 금토패문 및 문헌고증 내용 수록. 난중일기 최고 전문가가 연구성과를 모두 반영한 완결판. 이순신은 임진왜란이 발생한 7년 동안 참전하면서 직접 보고 들은 체험 사실들을 《난중일기》에 적었다. 최고 지휘관으로서 남긴 이러한 기록은 세계 역사상 그 어디에도 유례를 찾아 볼 수가 없다. 그의 업적만큼이나 위대한 《난중일기》가 드디어 2013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친필 초고본《난중일기》는 전편이 알아보기 어려운 초서로 작성되어 있어 후대의 판본에 문제점이 매우 많았다. 조선 정조(正祖) 19년(1795)에 이를 정자로 해독하여 《이충무공전서》의 《난중일기》가 나오게 되었지만, 그 원문에 상당한 누락과 오독이 있게 되었다. 그 후 1935년 조선사편수회에서 다시 해독하여 《난중일기초》가 나왔는데, 이는 전서본보다 진전된 작업이었으나 해독상의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되지 못했다. 초서를 전공한 노승석 소장이 2004년 친필 초고본 《난중일기》전편을 해독하였고, 2005년 기존 판본의 오류를 교감(校勘)하여 《난중일기》완역을 시도하였다. 2007년 《충무공유사》를 해독하여 난중일기 초록내용이 들어있는 〈일기초(日記抄)〉에서 새로운 일기 32일치를 발굴하였다. 여기에는 이순신의 개인적인 감정은 물론 그의 인간적인 면모가 구체적으로 잘 드러나 있다. 또한 이〈일기초〉내용으로 초고본과 이본(異本)의 오류를 바로잡아 정본화된 원문을 새롭게 만들었고, 이를 토대로 2010년 교감완역본(민음사)을 간행하였다. 2013년 이순신이 《삼국지연의》에서 인용한 글귀를 《난중일기》에서 처음으로 찾아냈는데, 바로 국가는 어려운 때일수록 항상 인재가 필요하고 전쟁대비를 위해 국방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 내용이다. 이순신은 이를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에 일기에 적어 둔 것이다. 또한 벽초(碧初) 홍명희(洪明熹)의 아들 홍기문(洪起文)이 1955년 최초로 한글로 번역한 《난중일기》를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했다. 이는 초고본을 확인하지 않고 활자본만을 토대로 번역하여 완벽한 번역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최초 번역본으로서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1968년 이은상이 최초로 난중일기를 번역한 것으로 잘못 알려져 왔다. 2014년 이제 이러한 연구성과를 반영하여《증보 교

목차

역자서문 《교감완역 난중일기》개정판 해제 새로 발굴한 내용(완결판) 목록 일러두기 《교감완역 난중일기》 임진년(1592) 계사년(1593) 갑오년(1594) 을미년(1595) 병신년(1596) 정유년(1597)Ⅰ 정유년(1597)Ⅱ 무술년(1598) 부록 1. 이순신의〈장계〉1편의 담종인의 금토패문 2. 한효순의《월탄연보》발굴내용 3.《난중일기》교감기(校勘記) 4.《난중일기》교감 대조표 참고문헌 충무공 이순신 연보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 이순신 저자 이순신(李舜臣)은 자가 여해(汝諧), 시호가 충무(忠武)이다. 어려서부터 문인의 소양을 쌓고 22세에 무예를 배우기 시작하여 10년 만에 식년 무과시험에 합격하였다. 관직에 나아가 매우 청렴하고 강직한 생활을 하여 시기와 모함으로 파직과 복직을 거듭했다. 유성룡의 천거로 전라좌수사에 발탁되면서 해상의 중요한 임무를 맡고, 전쟁대비를 위해 거북선을 만들고《난중일기》를 썼다.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옥포·당포·한산도·부산포 등 여러 해전을 승리로 이끌고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삼도의 수군을 관장했다. 정유재란 당시 왜적의 간계와 원균의 모함으로 억울한 옥살이를 하고 백의종군을 하였다. 원균부대가 칠천량해전에서 패하자, 수군재건을 위해 다시 삼도수군통제사에 복직되고, 13척의 배로 왜선 133척을 상대하여 명량대첩을 이루었다. 1598년 후퇴하는 왜적과 노량에서 격전을 벌인 결과 총탄을 맞고 전사하였다. 이순신의 문집 《이충무공전서》가 정조 19년(1795)에 간행되었다. 역자 : 노승석 역자 노승석(盧承奭)은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우고 초서를 연구했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난중일기의 교감학적 검토》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 한림원 교수와 순천향대 교양학부 및 이순신연구소 교수를 역임하였다. 2013년 유네시코 세계기록유산에 난중일기 등재 시 자문위원을 맡았다. 현재는 여해(汝諧) 고전연구소장으로 활동하며 이순신관련 문헌발굴에 힘쓰고 있다. 국내 최초로 난중일기를 완역하였고, 난중일기와 서간첩, 임진장초를 해독한 원문(DB)이 국가기록유산 사이트(문화재청)에 올라있다. 2015년 한국문학번역원의 지원으로 《교감완역 난중일기》가 베트남어로 간행되었다. 주요 역서로는 《단양한시선》,《이충무공종가 유물도록》초역, 《충무공사료집성》, 《충무공유사》, 《한국의 차문화 천년》(공역), 《사호집》 등이 있다. 저서로는 《이순신의 리더십》(여해), 〈충무공, 최후까지 충성을 다하다〉(교보문고/길위의 인문학)가 있다.

도서소개

4백 여년 만에 원문을 복원한 국내 최초의 난중일기 완역본! 《난중일기》는 이순신이 임진왜란의 7년 동안 전쟁을 체험하며 보고 들은 사실을 기록한 비망록이다. 최고 지휘관이 직접 참전하며 기록한 예는 세계 역사상 그 유례를 찾아 볼 수가 없다. 실시간 기록한 일기 속에는 당시의 전황은 물론, 주변과 사회 및 조정의 사건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망라되어 있다. 특히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전쟁 중에 항시 사자를 보내어 어머니의 안부를 확인하는 효자의 모습이다. 초서로 흘려 쓴 일기 초고는, 치열한 전투가 일어난 해일수록 심하게 흘려 있어서 후대에 해독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랐다. 개정판 《교감완역 난중일기》는 기존 판본의 모든 오류를 바로잡은 완결판이다. 여기에는 그간 새로 발굴한 36일치 일기를 비롯하여 홍기문의 주해와 삼국지 인용문, 최근에 발굴한 장계와 기타 내용까지 모두 수록되었다. 수많은 인명과 지명, 그리고 용어들도 새롭게 고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들을 새롭게 반영한 이 책은 국내 최고의 역작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