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1 교육의 기초
Section 01 | 내재적 목적
1. 내재적 목적 vs. 외재적 목적
2. 성리학의 교육목적
3. 피터스(R. S. Peters) - 지식과 이해 강조
4. 교육의 기능
5. 자유교육
Section 02 | 영재교육
1. 영재교육의 필요성
2. 영재교육방법
3. Renzulli - 영재선발관
Section 03 | 인간 본성에 관한 관점
1. 성선설
2. 성악설- 순자
3. 중간적 입장
Section 04 | 평생교육
1. 평생교육의 개념(통합의 원리)
2. 평생교육의 이념
3. 평생교육의 특징
4.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의 비교
5. 콜브(D. Kolb)의 경험학습
6. 평생학습사회- 평생학습도시
7. 순환학습
8. (기능)문해교육
9. 성인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Section 05 | 홀리스틱(Holistic) 교육
1. 균 형
2. 포괄(교육적 정향 3가지)
3. 연 관
4. Holistic 교육원리
Section 06 | 발도르프 학교(Waldorf schule)
1. 설 립
2. 발도르프 학교의 특징
3. Eurythmie, Formen, Epoch 수업, 8년 담임
Section 07 | 다양한 대안교육제도
1. 차터스쿨(Charter School)
2. 마그넷 학교(Magnet School)
3. 바우처 제도(Voucher System)
Section 08 | 신자유주의
1. 신자유주의의 의미
2. 공교육에의 도입 근거
3. 문제점
4.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비교
Chapter 02 한국교육사
Section 01 | 음서제도 및 과거제도
1. 금수저, 은수저- 골품제도, 음서제도, 과거제도
Section 02 | 소학과 대학
1. - 소학(小學)-
2. - 대학(大學)-
Section 03 | 성리학과 실학
1. 성리학
2. 실 학
3. 성리학과 실학의 비교
Section 04 | 이황과 이이
1. 이황과 이이의 비교
2. 이황과 이이의 윤리사상
Section 05 | 정약용의 교육사상
1. 효(孝), 제(悌), 자(慈)의 교육으로 평등한 인간관을 주장한다.
2. 교육이념 - 실학정신
3. 교육적 인간상
4. 5학론
5. 불가독설(不可讀說)
6. 교육내용
7. 교육방법 - 실천성 강조
8. 주체성 있는 역사인식·국사교육의 강조
9. 저 서 85
10. 사회제도 - 여전제, 정전법
Chapter 03 서양교육사
Section 01 | 플라톤(Platon)
1. 교육목적
2. 교육대상
3. 교육내용
4. 교육과정
5. 국가주의 교육사상
6. 지성주의적 자유교육의 전통 수립
7. 교육사적 한계
Section 02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1. 교육목적
2. 교육적 인간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5. 교육사적 의의
6. 교육론
7. 플라톤(Platon)과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비교
Section 03 | 소피스트(Sophist)
1. 사상적 특징
2. 교육목적
3. 교육방법과 내용
4. 교육적 의의
5. 소피스트(Sophist)의 공헌점과 비판점
Section 04 | 실학주의
1. 실학주의
2. 코메니우스(Comenius, 1592~1670)
Section 05 | 루소(J. Rousseau)
1. 교육의 원리 - 합자연의 원리
2. 교육목적
3. 교육방법
4. 교육내용
5. 『에밀(Emile)』의 주요 내용
6. 루소 교육사상의 장·단점
Section 06 | 헤르바르트(J. F. Herbart, 1776~1841)
1. 교육목적
2. 교육방법
3. 헤르바르트(Herbart)의 수업 단계
Chapter 04 교육철학
Section 01 | 듀이(J. Dewey)와 진보주의
1. 듀이(J. Dewey)의 교육론
2. 진보주의
Section 02 | 항존주의
1. 항존주의의 특징
2. 항존주의의 단점
3. 허친스(Hutchins)
Section 03 | 실존주의
1. 실존주의 사상
2. 실존주의 사상가
Section 04 | 현상학
1. 현상학 이론
2. 피그말리온
3. 상징적 상호작용론
Section 05 | 포스트모더니즘
1. 이론의 특징
2. 푸코(Foucault)
Section 06 | 비판이론
1. 비판이론
2. 사상가
Chapter 05 교육사회학
Section 01 | 드리븐(R. Dreeben)의 학교사회화 이론
1. 학교의 기능
2. 학교의 4가지 사회적 규범 - ‘독립성, 성취성, 보편성, 특수성’
3. 잠재적 교육과정
Section 02 | 번스타인(B. Bernstein)의 코드(Code) 이론
1. 번스타인의 이론적 배경
2. 코드(Code) 이론
3. 사회언어학적 계층문화 재생산론의 주요 주장
Section 03 | 기능론과 갈등론
1. 기능이론
2. 갈등론
3. 비교 - 학교교육에 대한 기능론과 갈등론의 비교
Section 04 | 신교육사회학
1. 개 괄
2. 경제적 재생산론(Bowles &Gintis)
3. 문화적 재생산 이론
4. 저항이론
5. 자본주의 국가론
6. 문화적 제국주의론
7. 문화적 헤게모니론
8. 교육자율론
9. 기타 연구방법
Section 05 | 콜맨(J. S. Coleman)의 이론
1. 보고서 내용
2. 콜맨(Coleman) 등과는 다른 시각에서 학교 효과를 탐색하였던 연구결과 나타난 그래프
3. 콜맨(Coleman)의 자본
4. 과정의 평등(조건의 평등)
Section 06 | 상징적 상호작용론
1. 전 개
2. 기본 입장
3. 다양한 이론 5
4. 상호작용이론의 한계
Section 07 | 교육기회 균등관
1. 교육의 기회균등
2. 교육 평등화, 불평등화론
Section 08 | 평등의 원리
1. 동일성의 원리와 공정성의 원리
2. 수평적 평등과 수직적 평등
3. 교육평등의 원리
Section 09 | 학력상승이론
1. 학교교육의 팽창과 학력 상승의 원인
2. 이론의 종류
3. 교육의 양적 확대 정책의 문제
Section 10 | 발전교육론
1. 개 념
2. 시기와 장소
3. 공헌점
4. 비판점
5. 관련 이론
Section 11 | 피그말리온 효과
1. 피그말리온 효과
2. 현상학
Section 12 | 문화실조이론
1. 문화실조(cultural deprivation) 현상에 대한 정의
2. 지능격차이론
3. 문화적으로 실조된 아동의 특징
4. 헤드 스타트 프로젝트(Head Start Project)
5. 보상적 평등
Section 13 | 문화지체이론
1. 문화지체이론의 개념
2. 문화변동
Chapter 06 교육과정
Section 01 | 교과중심 교육과정
1.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2.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형태(교과의 세분화나 교과 간의 관련에 따른 분류)
3.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Section 02 | 경험중심 교육과정
1. 경험중심 교육과정
2. 생활적응 교육이론
Section 03 | 학문중심 교육과정
1. 학문중심 교육과정
2. 나선형 교육과정
3.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Section 04 | 인간중심 교육과정
1. 등장배경
2. 실존주의적 접근
3. 인본주의 심리학적 접근
4. 교육사회학적 접근
5. 기본 특징
6.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Section 05 | 교육과정 개발모형 - 타일러 모형
1. 전통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 타일러 모형
2. 교육과정 설계의 일반 원리
Section 06 | 잠재적 교육과정
1. 잠재적 교육과정
2. 인간중심 교육과정
Section 07 | 영 교육과정(null curriculum)
1. 영 교육과정
2. 예술적 교육과정
Section 08 |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Skilbeck
1. 스킬벡(M. Skilbeck)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School -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2. 스킬벡(M. Skilbeck)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모형 절차
Section 09 |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의 실제
1. 교육과정 개발의 세 수준
2. 국가 및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3.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 학교 교육과정 개발
4. 교육과정의 개발모형, 변화전략, 실행
Section 10 | 재개념주의
1. 교육과정 이해 패러다임
2. 개 요
3. 종 류
4. ‘쿠레레(Currere)’의 의미
Section 11 | 위긴스와 맥타이(G. Wiggins & J. McTighe)의 백워드 설계(Backward Design)
1. 절 차
2. 특 징
3. 후진교육과정 설계(Backward Design)에서 학교교육의 목표가 되는 6가지 이해
Section 12 | 워커(D. Walker)의 숙의모형
Chapter 07 교육심리학
Section 01 | 발 달
1. 발달에 대한 이해
2. 지능에 대한 이해
3. 지능의 발달 및 지능검사
4. 창의성
5. 언어의 발달
6. 정의적 발달
7. 도덕성 발달
8. 자아개념의 발달
9. 조망수용능력(R. Selman)
Section 02 | 동 기
1. 동기의 발달
2. 포부, 욕구, 불안
3. 동기이론
4. 애착형성이론
5.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발달이론
Section 03 | 학습심리
1. 행동주의 학습설
2. 인지주의 학습이론
3. 인본주의 학습이론
4. 신경생리학적 학습이론
5. 학습에 영향을 주는 조건
6. 연습과 피로
7. 학습전략
Section 04 | 적응심리
1. 적응과 부적응
2. 갈 등
Section 05 | 발달이론
1. 신경생물학적 심리학
2. 인지발달이론
3. 성격발달이론
4. 도덕성 발달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