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롤로그
Ⅰ. 봉사를 통해 역사 인식을 바로 세우다
-나눔의 집, 위안부 할머니들-
1. 위안부 할머니들의 대해 처음 접한 계기
2. 좋은 인연이자 나의 인생의 그룹-유스봉사단
3. 위안부란? 그리고 나눔의 집이란 무엇일까
4. ‘위안부’의 삶이 집약된 영화, ‘귀향’
5. 일본 정부는 잘못이 없을까? 사과 한마디를 원하는 할머니들
6. 나의 배움의 틀이 된 ‘위안부 역사관’
7. 생생한 배움 ‘위안부 관련 동영상’
8. 국제적인 문제 ‘위안부’와 나의 노력
9. 할머니들과의 소통, 많은 교육과 배움
10. 미래를 위해 내가 잘 해야 한다
11. 위안부 사건에 관심을 가지는 외국인들과의 인연
12. 작은 노력들이 만들어낸 기적
13. 의미 있는 추석
14. 아베, 우리의 동영상을 보고 반성하라
15. 우리 청소년들,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
Ⅱ. 해외 봉사를 통해 신념을 바로 세우다
-미얀마 해외봉사-
1. 더 넓은 세상
2. 믿기지 않지만 내게도 기회가!
3. 미얀마로 떠나다
4. 이제부터 시작이다!
5. 본격적인 활동의 시작과 버디들
6. 고난의 벽돌 나르기
7. 헤어지는 아쉬움을 음식으로 달래다
8. 새로운 감회
-에필로그
Ⅲ. Standing upright the historical awareness though community services
-House of sharing, the victims of Japan seforced sex slaves-
1. First time to get to know the survivors of Japan enforced sex slaves
2. Great fortune and my life community
3. What are the enforced sex slaves? And what is the House of sharing?
4. A movie that intensively show the life of the ‘comfort women, ’Spirits’ Homecoming’ (2015)
5. Is the Japanese government innocent? The survivors who only ask for the apology
6. My mold for learning, ‘The Museu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7. A vivid learning, ‘a video reated to the comfort women’
8. The international issue. ‘comfort women’ and my effort
9. The communication with the survivors, a great deal of education and learning
10. For the better future, I have to do better.
11. Form a relation to foreigen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issue of comfort women
12. The miracle made up of little bit of efforts
13. Meaningful Korean Thanksgiving Day, Chuseok
14. Abe, reflect on yourself by watching our video
15. As a youth, what should we be doing from now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