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을 기울여 하늘을 우러러 한 점의 부끄러움도 없도록 최선을 다하여 집필작업을 하였습니다.
이 책은 시중의 다른 수험서들과는 달리 필자가 오랜 동안 일선의 교직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하여 체계적이고도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완벽하게 엮었고, 2013년 7월 27일 국가직 시험 이후, 수많은 수험생들을 통해
그 결과가 입증 되었습니다.
2013년부터 새롭게 시행되고 있는 국가직 시험의 사회 과목은, 매해 탐구력을 요구하는 수능형 · 직무적성형
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볼 때, 앞으로는 직무적성형 문제와 단답서술형의 문제가 혼합되어
출제될 것이라고 감히 예견해 봅니다.
1. 신 ․ 구 교과서의 입체적 재구성
학습목표, 내용, 평가 등의 유기적 관련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고교 7, 8차 교육과정 (정치, 법과사회,
경제, 사회문화)을 중심으로 약간의 대학 교과 내용을 입체적으로 재구성 하였습니다.
2. Check란 활용
핵심 내용을 빨리 파악할 수 있도록 요약 정리하였고, Check란을 통해 중요한 부분과 혼란스런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3. 보충과 탐구란의 활용
체계적인 이론 구성은 물론이고, 이론 중간에 보충과 탐구란을 두어 한층 심도있는 내용 구성이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4. 효과적인 학습 방법 제시
각 단원별로 기본 이론 뒤에 기출 · 예상 문제, 수능형 문제를 수록함으로써 feedback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