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비움으로써 사랑의 곳간을 채우는 우리 시대 현자들 - 황대권
지율스님 - 나는 소유하고 있다, 햇살과 바람과 구름을
알렉산더 대왕의 두 손을 보라|24시간 켜진 등이 우리를 기쁘게 하는가|
우리 삶에 진정 필요한 것은|놓여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뿐|강과 카지노, 선택은 당신의 몫이다
자연은 스스로 제자리를 찾아간다|천성산이 나를 약초처럼 쓰는구나|내 이름 석 자가 흔적 없이 사라지기를
황대권이 만난 지율_집요한 원칙주의를 구도행으로 이어가는 수행자
박기호 신부 - 이제 호화 여객선에서 뛰어내려야 할 때
인간은 가장 불완전한 틈새 생활자|무소유의 삶은 비주류의 삶|"돈도 신발도 지팡이도 가져가지 말라"
강은 거꾸로 흐르지 않는다|기계로 인해 퇴화하는 인간들|세 걸음 앞선 삶|내 삶의 주인 되는 첫 번째 조건
시대의 피난처이자 쉼터|공동체에서의 행복은 스스로 발견하는 것|공동체 운동의 키워드는 무소유와 육체노동
황대권이 만난 박기호_말씀대로 사는 신앙인
이남곡 - 21세기 말, 무소유 사회가 도래할 것이다
무소유의 연습이 필요하다|진보를 연찬하라|개별 주체성이 살아 있는 '좋은마을'
개인주의를 넘어선 공인주의 세상|야만과 진보, 기로에 선 인류|능력만큼 일하고 필요한 만큼 쓸 수 있는 사회
자본주의 시장의 인간화|2060년 서울에서 태어난 A군의 성인화(聖人化) 과정
'노숙인이 되어도 좋다' 는 기개가 필요하다
황대권이 만난 이남곡_진보의 브레인, 혹은 된장의 달인
임락경 목사 - 사람은 섞여 살아야 한다
맞선 보고 퇴짜 맞을 바엔 내가 먼저 싫다고 하자|아침 진지는 진시에, 잠은 자시에, 술은 술시에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치를 돌파하는 돌파리(突破理)|백성의 노래[民謠]와 농담(農談)
사람은 섞여 살아야 한다
황대권이 만난 임락경_기인 가운데 기인, 보물 가운데 보물
칫다다 - 인간에겐 소유권이 없다, 다만 관리권이 있을 뿐
무한한 행복으로 가는 길|자본휴머니즘에서 네오휴머니즘으로
다시 돌아가는 법을 가르친다|모든 존재는 하나의 뿌리에서 나와|"당신 뜻대로 하소서"
프라우트 혁명은 이미 시작되었다
황대권이 만난 칫다다_자본주의 이후의 '이상국가'건설자
서영남 - 무소유는 사랑의 다른 이름이다
줄탁동시의 마음으로|도로시 데이의 '환대의 집'처럼|내게 콩깍지를 씌운 사람들
이웃이 희망이다|함께 꿈꾸고 이뤄낸 1만 원의 기적|가장 약하고 보잘것없는 이가 보물이 되는 곳
황대권이 만난 서영남_내가 만나본 가장 경이로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