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

  • 김영민
  • |
  • 한겨레출판사
  • |
  • 2011-02-28 출간
  • |
  • 367페이지
  • |
  • 153 X 224 X 30 mm /614g
  • |
  • ISBN 9788984314511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7,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1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동무론 3부작의 완결편

철학자 김영민이 오랫동안 조형해온 ‘동무’론의 완결편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를 출간한다. 앞서 펴낸 <동무와 연인>(2008, 한겨레출판)과 <동무론>(2008, 한겨레출판)이, 각각 동서양 사유의 대가들 사이의 지적 교우 관계를 매개 삼아 (친구도 동지도 연인도 아닌) ‘동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실마리를 던지거나 ‘동무’라는 관계를 철학적으로 정교화한 작업이었다면, 이번 책은 동무 관계를 맺고 이어가는 구체적인 활동으로서 ‘비평’을 새롭게 정의하고, 동무들이 꾸려가는 모임(동무공동체)의 정신과 메커니즘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모색한다.

비평은? 비평의 숲은? 동무공동체는?

김영민이 보기에 철학은, 앎은, 인문(人文 혹은 人紋)을 깨우치는 일은 개인으로서 가능한 일이 아니다. 그것은 함께 사유하고, 대화하고, 생활하며, 새로운 것을 희망할 때 비로소 가능성이 엿보이는 것이다. 그가 오랫동안 ‘동무’라는 관계에 관심을 기울여온 까닭은, 인문을 깨우치는 일이 필연적으로 타자와 함께여야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어울림의 공부’, ‘공부가 된 생활’, ‘생활이 된 공부’라 그가 부르는 동무들의 활동, 즉 ‘비평’이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김영민이 말하는 ‘비평’은 ‘~비평가/이론가’들이 문자와 이론을 해석하고 재배치하는 작업(특히 제도권 학제의 바탕인 “대학원에서 행해지는 부정적 비판성”)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이다. 그것은 오히려 ‘인식의 노동(슬기)’보다는 ‘체계의 노동(근기)’이나 ‘정서의 노동(온기)’에 방점을 두고, 허영과 질투와 나르시시즘을 거슬러, 앎이 머리보다는 몸에 잘 배인 동무들끼리 서로를 응대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결국 비평은 이론이 아니라 그것을 포괄하는 생활이라 할 수 있으며, 그러한 비평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물리적?정서적인 공간이자 동무들 간의 네트워크가 ‘비평의 숲’인 것이다.

인문학(적 교양)의 죽음과 그 적들

김영민은 ‘비평인문학 서설’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인문학적 교양과 그 적들」이라는 글을 통해, 자신이 지향하는 ‘비평의 숲’을 산책하는 동무공동체의 모습을 좀더 구체적으로 드러낸다. (물론 그는 인문학과 인문학적 교양이 엄연히 다른 것임을, 현재의 자본제적 삶에 얹혀 있는 교양이란 필연적으로 본래의 인문학이 결별해야 할 대상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특유의 ‘아닌 것’을 잡아내는 작업을 통해 ‘그러한 것’의 윤곽을 그려내는 김영민식 글쓰기를 보이고 있는 이 글에서 그가 인문학적 교양의 적이라 칭하는 이들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도인문학의 안팎에서 어슬렁거리는 두 부류의 속물들이 있다. 안짝에 있는 이들이 소위 ‘전문가’들로, 이들은 “스스로의 생각을 생성시키지 못한 채 수입한 이론들을 회집, 분배, 거래하는” ‘삯꾼’ 노릇을 한다. 제도인문학 바깥에 있는 이들은 ‘딜레탕트’라 부르는데, 그들은 “제도권 인문학에 등을 돌린 대중들의 키치화된 교양에 대한 욕구를 재생산하거나” 소비를 부추긴다. 두 번째 인문학적 교양의 적들은 ‘건달’이다. 그들은 ‘교양’의 내용은 거부한 채, 티내기 차원에서 자신의 사회적 자본을 뻥튀긴다. 세 번째 적은 자신들이 맹목적으로 믿고 있는 진리(그것이 신이든, 돈이든)에 파묻혀 교양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신자(信者)’들이다. 마지막 적으로 꼽는 것이 ‘소비자’라는 이름의 구경꾼들인데 그들은 “교양을 살 수 있다고 착각하거나 혹은 실제로 구매하(려)는 이들”로서 자본제적 체제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한편, 김영민이 가장 공들여 ‘동무로의 길’을 권면하는 부류이다.

“소비하는 개인이 되어 여러 강좌들을 구경하지만 말고, 개입하고 동참하고 더불어 나누고 고민하면서 다른 삶의 가능성을 톺아내는 노동 속에 이드거니 연대하시기 바랍니다. 동무의 씨앗이 상처받고 걷는 일이라면, 그 꽃은 현명한 개입의 속도랍니다.”

여기에서 김영민이 문제 삼고 있는 것은 교양의 적들 그 자체가 아니라, 그들이 가진 습성, 즉 허영(속물)이나 몰염치(건달), 맹목(신자), 그리고 무지(소비자)로 보인다. 그리하여 그러한 습성을 걷어낸(혹은 걷어내려 노력하는) “‘몸이 좋은 사람’들인 동무들이 타자와 사물을 향해 걸어가는, 함께 살아가고 어울리는, 나누는, 그리고 그 주변을 변화시키는 그 전부가 비평”인 것이며, 그것이 비록 아직 “전례가 없는 꿈”이지만, “지며리 몸을 끄-을-고” 가야할 길임을 밝힌다.

상처를 무릅쓰고 다시 산책에 나서다

김영민은 이 책을 펴내면서, 지난 2001년 <보행> 출간을 시작으로 그간 다듬어온 자신의 2기 철학이 매듭된다고 말한다. 그 10년의 세월 동안 대학교수와 야인 생활을 오가며, 그가 애써 벼려온 ‘동무’와 ‘동무공동체’의 중심이었던 <장미와 주판>(1992~2009)이 해체되는 상처를 겪기도 했다(그에 대한 애도와 더불어 동무공동체를 꾸려가는 핵심적인 활동이 인식의 경쟁이나 인정 투쟁이 아니라 삶의 낮은 자리에서의 비평과 개입임을 밝혀 놓은 결과물이 이 책일 것이다). 애초부터 동무에 이르는 길은 어긋남과 어울림의 길항 사이에 놓여 있는 긴 여정이며, 그에 수반하는 상처와 슬픔은 ‘사람이라는 존재의 무늬[人紋]’의 결을 이루는 불가피한 요소라는 사실은 그 자신이 누누이 강조한 바이다.
제도(대학 혹은 자본제적 체제)의 안팎에서 그것들과 생산적으로 불화하며, ‘자생적 사유’, ‘산책’, ‘어울림의 공부’, 그리고 ‘동무’라는 새로운 길을 터온 철학자 김영민, 이제 그의 다음 산책은 어떤 길 위에 겹쳐질까?

목차

서문 어울림으로, 비평으로, 숲으로

1부 비평의 숲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
비평의 밑절미와 단위, 응(應) 해서 말한다
비평과 틈새문화
비평의 진실
상담, 분석, 그리고 비평
비평의 숲 1~15
비평의 숲 16: 증여, 혹은 나무를 품는 불이의 지혜
비평의 숲 17: 이해는 '희망'이다
비평의 삼각형: 보살핌, 모방, 인정
공동체와 비평적 개입

2부 인문학의 죽음과 인문의 인생
인문학의 중층구조:글, 말, 생활양식, 그리고 희망
인문학의 죽음과 인문의 신생
'죽어두기'로서의 인문학
인문학적 교양과 그 적들: '비평인문학' 시설
말의, 어떤 쓸모
종교와 인문학, 어느 불가능한 연대의 가능성
비상에서 보행으로: 고백의 '밖'에서 만나는 하느님

3부 하아얀의욕과 상처의 정지화
대숲에서, 제4개의 진지함
지식인의 냉소와 제5의 열정
인문공동체의 의욕, 혹은 상처의 정치화
명랑동무
측은지심과 동정적 혜안
슬픔의 정치학과 동무론

4부 동무공동체와 자소화
유희와 성스러움: 공동체의 기원에 관한 상상
이유없는 공동체
공동체, 동무, 희망
외부성의 사회
어긋내며 어울려서 어리눅다
그 '장소'에 있었던 것: 귀족과 속물의 사이
풍경에서 장소로: 인문주의 진지론의 결말

5부 '생각'이 아닌것들을 향하여
어떻게 살 것인가, 인문 복합체와 타자 공생체
생각이 아닌 것들, 10개의 매체
'아직, 아무것도 아닌 것'을 위하여
글쓰기의 묵시룩: 총체와 비약
전화가 걸려올 때: 번역과 상처로서의 한국 현대철학
When the Phone Rings: Modern Korean Philosophy as Constructions and Wounds
세통의 편지: 자기차이화, 타자성, 그리고 맹점
상처 속의 구원: 타자의 침묵과 치유의 인문학

인명 색인
인용 문헌
약칭한 인용 문헌

저자소개

저자 김영민
부산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워싱턴 주립대학 대학원에서 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9-1990년에 전미학생 인명사전에 수록되었으며 1991년에는 미국 드루대학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감리교신학대학, 한일장신대, 숙명여대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2011년 봄학기부로 한신대학교에 초청되었다. 자신만의 고유한 사유 체계(뜻)를 구축하고, 그것을 그에 걸맞는 형식(글)으로 외현화하는 그의 철학적 작업은, 앎과 삶, 그리고 글쓰기가 한몸으로 나아가는, 한국의 지적 풍토에서는 보기 드문 진귀한 성취를 이어가고 있다. 『서양철학사의 구조와 과학』(1992), 『컨텍스트로, 패턴으로』(1996), 『탈식민성과 우리 인문학의 글쓰기』(1996), 『손가락으로, 손가락에서 : 글쓰기와 철학』(1998), 『보행』(2002), 『사랑, 그 환상의 물매』(2004),『산책과 자본주의』(2007), 『동무와 연인』(2008), 『동무론』(2008), 『영화인문학』(2009), 『공부론』(2010), 『세속의 어긋남과 어긋냄의 인문학』(2011) 등 24권의 단행본을 펴냈다. (1992~2009), (2009~ ), (2009~ ), (2007~ ) 등 인문학술 공동체운동에 줄곧 간여해왔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