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어울림으로, 비평으로, 숲으로
1부 비평의 숲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
비평의 밑절미와 단위, 응(應) 해서 말한다
비평과 틈새문화
비평의 진실
상담, 분석, 그리고 비평
비평의 숲 1~15
비평의 숲 16: 증여, 혹은 나무를 품는 불이의 지혜
비평의 숲 17: 이해는 '희망'이다
비평의 삼각형: 보살핌, 모방, 인정
공동체와 비평적 개입
2부 인문학의 죽음과 인문의 인생
인문학의 중층구조:글, 말, 생활양식, 그리고 희망
인문학의 죽음과 인문의 신생
'죽어두기'로서의 인문학
인문학적 교양과 그 적들: '비평인문학' 시설
말의, 어떤 쓸모
종교와 인문학, 어느 불가능한 연대의 가능성
비상에서 보행으로: 고백의 '밖'에서 만나는 하느님
3부 하아얀의욕과 상처의 정지화
대숲에서, 제4개의 진지함
지식인의 냉소와 제5의 열정
인문공동체의 의욕, 혹은 상처의 정치화
명랑동무
측은지심과 동정적 혜안
슬픔의 정치학과 동무론
4부 동무공동체와 자소화
유희와 성스러움: 공동체의 기원에 관한 상상
이유없는 공동체
공동체, 동무, 희망
외부성의 사회
어긋내며 어울려서 어리눅다
그 '장소'에 있었던 것: 귀족과 속물의 사이
풍경에서 장소로: 인문주의 진지론의 결말
5부 '생각'이 아닌것들을 향하여
어떻게 살 것인가, 인문 복합체와 타자 공생체
생각이 아닌 것들, 10개의 매체
'아직, 아무것도 아닌 것'을 위하여
글쓰기의 묵시룩: 총체와 비약
전화가 걸려올 때: 번역과 상처로서의 한국 현대철학
When the Phone Rings: Modern Korean Philosophy as Constructions and Wounds
세통의 편지: 자기차이화, 타자성, 그리고 맹점
상처 속의 구원: 타자의 침묵과 치유의 인문학
인명 색인
인용 문헌
약칭한 인용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