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글로벌 국토ㆍ도시계획 및 관리, 친환경 주거개선(건강한 한반도)
제1장 글로벌 국토ㆍ도시계획 및 관리(글로벌 삶의 터전마련)
제1절 개 요
제2절 국토계획
제3절 도시계획
제2장 친환경 주거개선
제1절 개 요
제2절 쾌적한 주거환경조성에 관한 고려사항
제3절 수변공간의 도시문화재생 및 도심공원
제4절 문화형 도시재생 및 보행로 공간
제5절 친환경 주거건물 지형공간마련
제6절 범죄예방 환경설계
제7절 경관의 특성 및 정량화
제8절 조형미 해석
제9절 정원계획
제10절 고전적 주거와 도시의 입지선정 및 지형공간활용 (풍수지리론에 의거)
제2편 정보의 생활화와 GPS
제3장 정보의 생활화에 관한 기본사항, 국가시책 및 활용
제1절 개 요
제2절 지형공간 정보체계(GIS)의 용어변천
제3절 GIS의 국내ㆍ외의 동향
제4절 우리나라 GIS의 추진방향
제5절 GIS의 자료 구성요소
제6절 GIS의 자료처리체계
제7절 GIS의 자료기반의 발전 동향
제8절 GIS의 활용
제4장 인공위성(GPS)에 의한 위치정보 취득 및 활용
제1절 개 요
제2절 GPS의 역할 및 기능에 따른 구성
제3절 GPS 위성신호의 구성요소
제4절 GPS 위치결정 방법
제5절 GPS 관측기법
제6절 연결조직망 RTK GPS(Network RTK GPS)
제7절 GPS의 위치 결정에 영향을 주는 오차의 종류 및 오차처리
제8절 GPS의 활용분야
제3편 에너지 자원개발과 재난방지(방재)
제5장 에너지자원의 현황과 신ㆍ재생에너지의 개발 및 향후전망
제1절 에너지자원의 현황
제2절 비재생에너지인 셰일(Shale)가스
제3절 신ㆍ재생에너지의 개발 및 향후전망
제6장 재난발생 및 재난방지(방재)
제1절 개 요
제2절 재해ㆍ재난의 분류 및 법령
제3절 기상에 의한 재해 대응 및 대책
제4절 산림재해 현황 및 방지대책
제5절 지진에 의한 재해 대응 및 대책
제6절 새로운 재해의 요인
제7절 선제적 방재능력 강화를 위한 방재도시계획 수립
제4편 지구의 특성,기상현상,대기환경,우주와 우주개발
제7장 지구의 특성
제1절 개요
제2절 지구의 운동
제3절 조석 및 지각변화
제4절 지구의 물성, 내부 및 온도
제8장 기상현상
제1절 기후특성
제2절 한반도의 기후환경
제3절 한반도의 계절구분
제4절 한반도의 계절에 따른 대기변환
제5절 기상관측
제6절 기후변화의 전망
제9장 대기환경
제1절 대기환경의 구성
제2절 대기권 종별에 따른 특성
제10장 우주와 우주개발
제1절 우 주
제2절 우주개발
부 록
해수담수화, 관리개선(산업,건설,심신<心身>의건 강), 국가의 기준점, 크기의 표준화체계와 문자표기
1. 해수담수화
제1절 개 요
제2절 역삼투 해수담수의 플랜트구성
제3절 해수담수화 신기술
제4절 해수담수화와 에너지자원의 생산
제5절 해수담수화 시장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2. 산업 및 건설관리
제1절 개 요
제2절 산업관리
제3절 건설관리
3. 심ㆍ신의 건강관리
제1절 3고8정관리건강법, 건강관리8정법, 대체의학
제2절 정의식관리법에 관련된 명상으로 올바른 정신자세 확립
제3절 정음감관리법에 관련된 음악으로 정서순환 및 음악치료
제4절 정식사ㆍ치아관리법에 관련된 식생활과 치아건강유지로 체질강화
제5절 정수면법에 관련된 수면환경과 꿈의 현상
제6절 정시각화관리법에 관련된 눈의 건강 및 시력개선
제7절 정접촉관리법에 관련된 생리순환, 정서관리 및 생산성
제8절 정후각ㆍ호흡관리법에 관련된 후각기능의 특성과 기관지
제9절 생리순환ㆍ반응관리법에 관련된 고혈압, 중풍, 당뇨와 비만, 가스, 맥박, 갱년과 골다공증 개선
4. 국가의 기준점[국가원점(國家原點) 및 기준점(基準點)과 크기의 표준화체계]
제1절 우리나라의 국가원점과 기준점
제2절 크기의 표준화체계
5. 문자표기(연령,가정행사,그리스문자,방위,시및12가지상징성)
제1절 연령(年齡) 및 가정행사의 한자표기
제2절 그리스 문자에 대한 표현과 명칭
제3절 방위(方位), 시(時) 및 12가지 상징성[象徵性:십이지(十二支)]
■참고문헌
■국문 및 영문 색인
■공저자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