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CCTV)과 융합보안, 안전관련 기술, 시장실태와 전망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CCTV)과 융합보안, 안전관련 기술, 시장실태와 전망

  • 이슈퀘스트 편집부
  • |
  • 이슈퀘스트
  • |
  • 2016-10-12 출간
  • |
  • 567페이지
  • |
  • 210 X 298 X 34 mm /1859g
  • |
  • ISBN 978899836635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50,000원

즉시할인가

31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과 관련 산업 동향 41
1.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개요와 시장, 기술 동향 41
1-1.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개요 41
1) CCTV 정의 41
2) CCTV 범위 41
3) CCTV의 분류 42
(1) 데이터 전달 형식에 따른 CCTV 분류 42
(2) 설치 목적 및 용도에 따른 CCTV 시스템의 분류 45
(3) CCTV 카메라 구조 및 외관에 따른 분류 47
1-2.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기술동향 50
1) 대표 핵심 기술군 분석 50
(1) HD-CCTV 50
(2) IP(네트워크) 카메라 54
(3) 녹화 장비 57
(4) 이미지센서 64
2) CCTV 산업 특허동향 67
1-3.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시장 최근 이슈 71
1) ‘CCTV 호환성-품질인증제’ 2016년 실시 71
2) 어린이집 CCTV 의무 설치 72
3) 아파트 CCTV 설치 기준 상향화 72
4) 미래창조과학부 CCTV 산업 육성 위한 다양한 지원책 마련 73
5) 빅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대책 수립 73
(1) 개요 73
(2) 빅데이터 활용 2016년 신규과제 주요 내용 75
2. 국내외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시장 동향 76
2-1. 국내외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시장 동향 76
1) 국내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산업특징 및 구조 76
2) 시장현황 및 전망 77
3) 국내 주요 CCTV 관련 업체 동향 78
(1) 한화 테크윈 78
(2) 에스원 79
(3) 아이디스 81
(4) ADT캡스 81
(5) KT텔레캅 82
(6) 인콘(구, 윈포넷) 83
(7) 코맥스 84
(8) 하이트론씨스템즈 85
(9) 아이티엑스엠투엠(구, ITX 시큐리티) 86
4) 해외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시장 동향 86
(1) 세계 시장 86
(2) 아시아 시장 91
(3) 미주 시장 91
(4) 유럽 시장 91
2-2. 주요국별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시장 동향 92
1) 일본 92
(1) 시장동향 92
(2) 수입동향 108
2) 중국 109
(1) 시장동향 109
(2) 수입동향 113
3) 홍콩 116
(1) 시장동향 116
(2) 수입동향 118
4) UAE 119
(1) 시장현황 119
(2) 수입동향 122
5) 이란 125
(1) 시장동향 125
(2) 수입동향 126
6) 사우디아라비아 128
(1) 시장현황 128
(2) 수입동향 129
7) 아제르바이잔 131
(1) 시장동향 131
(2) 수입동향 132
8) 미국 136
(1) 시장동향 136
(2) 수입동향 138
9) 캐나다 140
(1) 시장동향 140
(2) 수입동향 142
10) 독일 144
(1) 시장동향 144
(2) 수입동향 145
11) 러시아 147
(1) 시장동향 147
(2) 수입동향 147
12) 그리스 149
(1) 시장동향 149
(2) 수입동향 149
13) 스위스 151
(1) 시장현황 151
(2) 수입동향 152
14) 덴마크 154
(1) 시장동향 154
(2) 수입동향 155
15) 스페인 157
(1) 시장현황 157
(2) 수입동향 157
16) 이스라엘 159
(1) 시장현황 159
(2) 수입동향 160
17) 호주 161
(1) 시장동향 161
(2) 수입동향 163
18) 남아공 163
(1) 시장동향 163
(2) 수입동향 164
3. 스마트홈(IOT 홈)의 확산과 홈 시큐리티 동향 166
3-1. 홈 IoT와 지능형 CCTV의 결합 166
1) 개요 166
2) 홈CCTV의 홈 IoT 허브로 주목 166
3) 이동통신사의 홈CCTV 신상품 출시 경쟁 167
3-2. 통신업계 홈시큐리티 사업전략 168
1) 홈시큐리티ㆍ홈케어서비스가 홈 IoT의 킬러마켓 168
2) 세계 홈 시큐리티 시장 동향 및 전망 171
3) 주요 사업 참여기업 사업 동향 172
(1) 글로벌 통신사업자 사업동향 172
(2) 국내 통신사업자 사업동향 175

Ⅱ.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 관련시장과 기술동향 181
1.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과 물리(안전)보안시장 동향과 전망 181
1-1. 물리(안전)보안 개요 181
1) 정의 및 범위 181
(1) 정의 181
(2) 범위 182
2) 주요 핵심 기술과 제품 182
(1) IP영상 장치 182
(2) 바이오 인식 장치와 센서 182
(3) 센서 및 알람/모니터링 183
3) 산업의 성장요인과 저해요인, 발전방향 183
(1) 성장요인 183
(2) 저해요인 184
(3) 발전방향 184
1-2. 국내 물리보안 산업 현황 186
1) 산업구조와 특징 186
(1) 산업 구조 186
(2) 산업의 특성 186
2) 기업 현황 187
(1) 지역별 현황 187
(2) 설립 근거별 현황 187
(3) 자본 구성별 현황 188
(4) 기업 형태별 현황 188
(5) 상장 유무 현황 188
(6) 설립연도별 현황 188
(7) 자본금 규모별 현황 189
(8) 종사자 규모별 현황 189
(9) 취급 품목별 현황 189
3) 물리보안 매출 현황 193
(1) 전체 매출 현황 193
(2) 특성별 매출 현황 195
(3) 제품별 매출 현황 196
(4) 서비스별 매출 현황 219
4) 매출 전망 222
(1) 물리보안 제품 매출 전망 222
(2) 물리보안 서비스 매출 전망 233
5) 수출 현황 233
(1) 연도별 수출동향 233
(2) 품목별 수출동향 236
1-3.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 시장 최근동향 243
1) 영국 런던 보안전시회(IFSEC 2016) 동향 243
2) 융합보안 시범사업 246
(1) 개요 246
(2) 2016년 과제 247
3) 지능형 CCTV 성능 시험 서비스 실시 248
4) CCTV 장비 간 상호호환성 및 품질 확보위한 시험인증 서비스 개시 249
(1) 개요 249
(2) CCTV 장비 간 상호호환성 및 품질 확보 기반 구축 추진(안) 249
2.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 관련 유망 솔루션, 부품 시장 동향과 전망 251
2-1. 영상감시 통합 솔루션 251
1) 개요 251
(1) 정의 251
(2) 범위 251
(3) 기술구성 및 적용 251
2) 산업구조와 특징 253
3) 시장현황과 업체 동향 255
2-2. 지능형 IP 영상 장치 257
1) 개요 257
(1) 정의 257
(2) 범위 257
(3) 기술구성 및 적용 257
2) 산업구조와 특징 259
3) 시장현황과 업체동향 259
3.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 관련 유망기술 동향 262
3-1. 이상 음원 감지 시스템 262
1) 개요 262
(1) 이상 음원 분석 서비스 265
(2) 통합관제시스템 연계 서비스 267
2) 주요 현황 270
(1) 기존 감시 시스템 270
(2) 유사 시스템 270
(3) 음원 인식 기법 271
(4) 지적 재산권 현황 271
3-2. 바이오(생체)인식 기술 273
1) 개요 273
2) 바이오인식 기술 최근동향 274
(1) 생체인식, 보안성ㆍ편의성을 갖춘 차세대 인증수단으로 부상 274
(2) 표준화 연구 및 관련 시장 동향 276
(3) 주요 업체별 생체인식 기술 개발 동향 277
(4)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 기술 279
(5) 전망과 과제 280
3) 지능형 CCTV와 바이오 인식기술 281
3-3. 이미지 센서 기술 284

Ⅲ.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 관련 기술개발 전략과 연구테마 291
1.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시스템 미래성장동력 기술개발 전략 291
1-1.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 시장 현황 291
1) 개념 및 범위 291
2) 재난안전 분야 트렌드 변화 292
3) 재난안전 산업 시장 전망 293
4) 재난안전 분야 국내외 정책 현황 294
5) 국내 기업 동향 및 대응 295
6) 재난안전 산업의 국내 기술 수준과 경쟁력 296
1-2.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 핵심기술 298
1)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298
2)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 핵심기술 분야 299
(1) 스마트 재난상황관리 시스템 299
(2) 국토관측센서 기반 광역 및 지역 수재해 감시, 평가, 예측기술 개발 299
(3) 재난상황 조망시스템(재난현장 무선통신망 확보 및 긴급지원 기술) 299
(4) 도시 지하매설물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300
1-3.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시스템 미래성장동력화 전략 301
1) 종합분석 301
2) 추진전략 302
(1) 개요 302
(2) 목표 및 단계별 추진전략 303
3) 전략별 추진내용 303
(1) 재난안전관리 스마트시스템 기반기술 구축 303
(2) 재난안전관리 스마트시스템 실용화 기술 구현 306
(3) 재난안전관리 스마트시스템 보급 및 고도화 308
4) 추진 로드맵 및 담당부처 311
(1) 추진로드맵 311
(2) 추진과제별 소요예산 312
5) 2016년 재난안전관리 스마트시스템 종합실천계획 실행계획 314
(1) 추진 계획 개요 314
(2) 그 간 추진실적 (’14~’15) 314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14
(4) 2016년 투자계획 314
(5) 추진 로드맵(2020년) 315
1-4. 2016년 스마트 재난안전산업 연계 성장동력산업 기술개발전략 실행 계획 316
1) 지능형 사물인터넷 316
(1) 추진 계획 개요 316
(2) 그 간 추진실적 (’14~’15) 316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16
(4) 2016년 투자계획 316
(5) 추진 로드맵(2020년) 317
2) 5G 이동통신 318
(1) 추진 계획 개요 318
(2) 그 간 추진실적 (’14~’15) 318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18
(4) 2016년 투자계획 318
(5) 추진 로드맵(2020년) 319
3) 지능형 반도체 320
(1) 추진 계획 개요 320
(2) 그 간 추진실적 (’14~’15) 320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20
(4) 2016년 투자계획 320
(5) 추진 로드맵(2020년) 321
4) 스마트자동차 322
(1) 추진 계획 개요 322
(2) 그 간 추진실적 (’14~’15) 322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22
(4) 투자계획 322
(5) 추진 로드맵(2020년) 323
5) 고기능 무인기 324
(1) 추진 계획 개요 324
(2) 그 간 추진실적 (’14~’15) 324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24
(4) 투자계획 324
(5) 추진 로드맵(2020년) 325
6) 가상훈련시스템 326
(1) 추진 계획 개요 326
(2) 그 간 추진실적 (’14~’15) 326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26
(4) 2016년 투자계획 326
(5) 추진 로드맵(2020년) 327
7) 실감형 콘텐츠 328
(1) 추진 계획 개요 328
(2) 그 간 추진실적 (’14~’15) 328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28
(4) 2016년 투자계획 328
(5) 추진 로드맵(2020년) 329
8) 착용형 스마트기기 330
(1) 추진 계획 개요 330
(2) 그 간 추진실적 (’14~’15) 330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30
(4) 2016년 투자계획 330
(5) 추진 로드맵(2020년) 331
9) 맞춤형 웰니스케어 332
(1) 추진 계획 개요 332
(2) 그 간 추진실적 (’14~’15) 332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32
(4) 2016년 투자계획 332
(5) 추진 로드맵(2020년) 333
10) 빅데이터 334
(1) 추진 계획 개요 334
(2) 그 간 추진실적 (’14~’15) 334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34
(4) 2016년 투자계획 334
(5) 추진 로드맵(2020년) 335
2. 2016년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336
2-1. 사업개요 336
1) 개요 336
2) 추진 경과 336
3) 2016년 대상사업 337
4) 2015년 주요 연구성과 338
(1) 시설물별 위험도 평가에 의한 재난안전 관리 체계 고도화 338
(2) 3차원 BIM 기술을 활용한 수방시설의 능동형 재난관리체계 구축 338
(3) 소방관 보호 및 서열장해 예방을 위한 스마트 소방복 착용평가의
국제표준 개발 339
(4) 한국형 원격조정 파괴방수차 개발 339
(5) 실증실험 기반 재난안전 기준 개발 339
(6) 미래재난 위험환경 분석기술 개발 340
(7) 스마트형 실시간 재난현장정보 공유기술개발 340
2-2. 사업별 세부 투자계획 341
1) 사회재난안전기술 개발 341
(1) ’15년도 추진실적 341
(2) 사업개요 341
(3) ’16년도 중점 추진내용 341
(4) 투자실적 및 계획 342
2) 자연재해예측 및 저감연구개발 342
(1) ’15년 추진실적 342
(2) 사업개요 342
(3) ’16년 중점 추진내용 342
(4) 투자실적 및 계획 343
3) 재난안전기술 기반 구축 344
(1) ’15년 추진실적 344
(2) 사업개요 344
(3) ’16년 주요 추진내용 344
(4) 투자실적 및 계획 345
4) 국민안전확보기술 개발 345
(1) ’15년 추진실적 345
(2) 사업개요 345
(3) ’16년 주요 추진내용 345
(4) 투자실적 및 계획 346
5) 재난위험저감기술 개발 346
(1) ’15년 추진실적 347
(2) 사업개요 347
(3) ’16년 주요 추진내용 347
(4) 투자실적 및 계획 348
6) 재난상황관리기술 개발 348
(1) ’15년 추진실적 348
(2) 사업개요 348
(3) ’16년 주요 추진내용 348
(4) 투자실적 및 계획 349
7) 소방안전 및 119 구조·구급기술 연구개발 349
(1) ’15년 추진실적 349
(2) 사업개요 349
(3) ’16년 주요 추진내용 350
(4) 투자실적 및 계획 350
8) 해양경비안전 연구개발 350
(1) ’15년 추진실적 351
(2) 사업개요 351
(3) ’16년 주요 추진내용 351
(4) 투자실적 및 계획 351
2-3. 기술개발 과제별 예산 352
1) 사회재난안전기술 개발 352
2) 자연재해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 352
3) 재난안전기술개발 기반구축 353
4) 국민안전확보기술개발 354
5) 재난위험저감기술개발 354
6) 재난상황관리기술개발 355
7) 소방안전 및 119구조·구급기술 연구개발 355
8) 해양경비안전연구개발 357
3. 재난 대응 과학기술 역할 강화 3개년 실천전략과 추진현황 358
3-1. 중점 추진 과제 358
1) 통합 재난정보 관리 고도화 358
(1) 통합재난정보관리 플랫폼 구축 359
(2) 스마트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정보전달 기술 개발 360
2) 재난 예방·감시 역량 제고 363
(1) 재난 위험평가 및 예방역량 제고 363
(2) ICT를 활용한 재난위험 감시 고도화 364
3) 재난현장 대응기술 첨단화 368
(1) 재난현장 인명구조율 제고 369
(2) 재난피해 복구역량 강화 370
4) 인력양성 및 재난산업 육성 373
(1) 재난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인력 양성 373
(2) 재난 R&D 산업화 촉진 375
3-2. 추진성과와 향후 계획 379
1) 재난 R&D 주요성과 379
2) 향후 계획 380
(1) 범부처 플래그쉽 프로젝트 과제 380
(2) 일반 과제 380
(3) 중점추진과제 총괄 381
4.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 관련 기술 특허 동향 382
4-1. 물리안전보안 분야 기술 특허 동향 382
1) 물리안전보안 분야 기술 특허동향 382
(1) 세계동향 382
(2) 국내동향 384
(3) 대표 기술군 388
2) 물리안전보안 분야 대표 기술군 분석 389
(1) 기술성장성 분석 389
(2) 기술수준 분석 390
3) 물리안전보안 분야 종합분석 390
4-2. 물리안전보안 세부 기술 분야 기술 특허 동향 391
1) 영상감시 통합 솔루션 분야 기술 특허 동향 391
(1) 세계동향 391
(2) 국내동향 392
2) 지능형 IP 영상 장치 분야 기술 특허 동향 394
(1) 세계동향 394
(2) 국내동향 396
3) 바이오 인식기술 분야 기술 특허 동향 399
(1) 세계동향 399
(2) 국내동향 400
4-3.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 관련 주요 기술 특허 동향 403
1) 전방위 카메라 분야 기술 특허 403
(1) 개요 403
(2) 특허동향 404
2) 스마트폰 카메라 기술 특허 408
(1) 개요 408
(2) 특허동향 409
3) 스몰 셀 관련 기술특허 412
(1) 개요 412
(2) 특허동향 414
4) 국내 드론 기술 특허 동향 415
(1) 개요 415
(2) 특허 동향 415
5.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 관련기술 개발 연구테마 417
5-1. 재난안전분야 417
1)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융·복합기술 기반의 지향성스피커 등을 활용한
인명지킴이 시스템 개발 417
(1) 연구의 필요성 417
(2) 국내외 기술동향 417
(3) 연구목표 419
(4) 최종 성과물 422
(5)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422
(6) 법규정 관련 사항 423
(7) 선정결과 및 사업추진 업체(기관) 423
2) 재난현장 스마트 스쿼드 시스템 개발 424
(1) 연구의 필요성 424
(2) 국내외 기술동향 425
(3) 연구목표 425
(4) 최종 성과물 428
(5) 시제품 제작과 실용화 방안 428
(6)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428
(7) 선정결과 및 사업추진 업체(기관) 428
5-2. IOT관련 분야 429
1)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홈 침해방지 기술 개발 429
(1) 개념 429
(2) 지원범위 429
(3) 지원내용 429
2) 임펄스 레이다 기반 3차원 모션 인식 센서 및 플랫폼 개발 430
(1) 필요성 430
(2) 연구목표 430
(3) 지원내용 431
3) 웨어러블 기기용 제스쳐 및 포스쳐 인식을 위한 플렉시블 압력 센서
핵심 기술 및 인식 알고리즘 개발 432
(1) 필요성 432
(2) 연구목표 432
(3) 지원내용 433
4) Wearable 기기용 음성인식 및 제스처 인식 통합 UI 지능형 반도체
기술 개발 434
(1) 개념 434
(2) 연구목표 434
(3) 지원내용 434
5-3. 기타 지능형 영상감시 관련 기술분야 435
1) 초소형 음성처리 전용 SoC 개발 435
(1) 필요성 435
(2) 개발목표 및 개발내용(Spec. 포함) 435
2) 전기적 노이즈분석을 이용한 아크감지센서 모니터링 및 화재
예방시스템개발 436
(1) 필요성 436
(2) 개발목표 및 개발내용(Spec. 포함) 436
3) (총괄) 복합도심지역의 생활ㆍ자연 재난대응용 상용 드론 및 운영
시스템기술 개발 437
(1) 필요성 437
(2) 연구목표 437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38
4) (1세부) 생활ㆍ자연 대응체계 구축에 따른 임무 시나리오에 적합한
비행로봇 개발 438
(1) 연구목표 438
(2)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39
5) (2세부) 생활ㆍ자연 재난대응을 위한 상황인지 및 스마트 관제연계
기술개발 439
(1) 연구목표 439
(2)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40
6) (3세부) 드론기반 생활ㆍ자연재난 대응 관제 시스템 및 재난대응
서비스 기술 개발 440
(1) 연구목표 440
(2)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41
7)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추적 및 관련 영상정보 획득을 위한 RFID와
연동한 네트워크 CCTV 서비스 기술개발 442
(1) 개요 442
(2) 개발목표 및 개발내용(Spec. 포함) 442
(3) 주요결과물 443
8) 단일 카메라의 200만화소/25FPS급 영상에 대한 실시간 안개 제거
기술 개발 443
(1) 개요 443
(2) 개발목표 및 개발내용(Spec. 포함) 443
(3) 주요결과물 444
9) 120°이상의 초광각 촬상 영역을 갖는 경통 일체형 외장용 렌즈 모듈 개발 444
(1) 개요 444
(2) 개발목표 LC 개발내용(Spec. 포함) 444
(3) 주요결과물 445

Ⅳ.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시장 참여기업 전략 449
1.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제조업체 현황 및 사업 전략 449
1-1. ㈜한화테크윈 449
1) 회사 개요 449
2)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51
(1)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51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453
1-2. ㈜아이디스 456
1) 회사 개요 456
2)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58
(1)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58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459
1-3. ㈜인콘(구, 윈포넷) 461
1) 회사 개요 461
2)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62
(1)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62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464
1-4. ㈜코맥스 467
1) 회사 개요 467
2)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68
(1)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68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469
1-5. (주)하이트론씨스템즈 472
1) 회사 개요 472
2)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74
(1)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74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476
1-6. ㈜ITX엠투엠(구, ITX시큐리티) 478
1) 회사 개요 478
2)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79
(1)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79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481
1-7. ㈜ 코콤 484
1) 회사 개요 484
2)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86
(1)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86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486
1-8. ㈜유디피 488
1) 회사 개요 488
2)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89
(1)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89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491
1-9. ㈜한양하이타오(구, 휴바이론) 493
1) 회사 개요 493
2)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94
(1)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494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496
1-10. ㈜미래아이앤지(구, 디올메디바이오) 498
1) 회사 개요 498
2) CCTV 사업 부분 동향 및 사업전략 500
(1) CCTV 사업 부분 동향 및 사업전략 500
1-11. ㈜비츠로시스 501
1) 회사 개요 501
2)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03
(1)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03
(2) 기타 관련사업 부문 동향 503
1-12. 제이앤유글로벌(구, ㈜씨앤비텍) 505
1) 회사 개요 505
2)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06
(1) CCTV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06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508
2. CCTV 관련 부품, 솔루션 업체 사업현황 및 전략 510
2-1. ㈜테라셈 510
1) 회사 개요 510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11
(1)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11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512
2-2. ㈜픽셀플러스 513
1) 회사개요 513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15
(1)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15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515
2-3. ㈜아미노로직스 517
1) 회사 개요 517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18
(1)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18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519
2-4. (주)넥스트칩 520
1) 회사 개요 520
2) CCTV 부품 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22
(1)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22
(2) 주요 생산 제품 및 제원 523
2-5. ㈜LG이노텍 524
1) 회사개요 524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25
2-6. 해성옵틱스 526
1) 회사개요 526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27
2-7. 삼성SDS 529
1) 회사개요 529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29
3. 물리보안 서비스 업체 사업현황 및 전략 531
3-1. 에스원 531
1) 회사 개요 531
2) 물리보안 사업 부문 전략 및 동향 532
3-2. KT 텔레캅 536
1) 회사 개요 536
2) 물리보안 사업 부문 전략 및 동향 536
3-3. ADT 캡스 539
1) 회사 개요 539
2) 물리보안 사업 부문 전략 및 동향 539
4. 기타 보안 관련 분야 참여업체 사업현황 및 전략 541
4-1. (주)이글루시큐리티 541
1) 회사개요 541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43
4-2. 슈프리마 544
1) 회사 개요 544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46
4-3. 피제이전자 549
1) 회사개요 549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50
4-4. 현대통신 551
1) 회사개요 551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53
5. 통신기업 CCTV 분야 사업 현황 및 전략 555
5-1. SK Telecom 555
1) 회사 개요 555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56
5-2. KT 561
1) 회사 개요 561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61
5-3. LG U+ 564
1) 회사 개요 564
2) CCTV 부품사업 부문 동향 및 사업전략 564

도서소개

사물인터넷(IOT)의 발달로 다양한 디바이스와의 연결과 네트워크 카메라의 보급 확대는 자료의 저장과 송신, 분석 등에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촉진하고 있으며, 시장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의 확대는 스마트홈분야에서 홈시큐리티 핵심 기술로 지능형 CCTV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어, 핵심 어플리케이션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에 전통적인 보안업체외에 통신기업 등 다양한 사업자의 진출이 확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CCTV)과 융합보안, 안전관련 기술, 시장실태와 전망]은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을 중심으로 기술과 시장전망, 주요 이슈 등을 정리 분석하고, 관련된 핵심 유망 기술과 사업 분야를 조명하였으며, 특히, 융합보안과 물리안전 보안 분야의 주요 동향과 산업 지원정책 등을 조사하여, 마케팅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중점을 두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