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지속가능경영 이해와 활용(SMAT를 위한) [경영관리일반]

지속가능경영 이해와 활용(SMAT를 위한) [경영관리일반]

  •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
  • |
  • 매일경제신문사
  • |
  • 2013-03-25 출간
  • |
  • 600페이지
  • |
  • 188 X 254 mm
  • |
  • ISBN 9788974429157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1,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지속가능한 발전만이 미래 세대와 현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길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무엇인가?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경제 발전으로 인한 환경·사회적인 희생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으로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장기적 발전 패러다임을 말한다. 어느 곳 하나에 치우친다거나, 거대한 리스크를 동반하는 무차별적 발전이 아닌 안정과 발전의 균형을 동시에 이루는 발전을 뜻한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전 지구적 차원의 시대적 요구는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큰 기류라 할 수 있다. 그 요구에 선진국뿐 아니라 개발도상국들도 지속가능한 발전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이런 거대 담론에 UN 및 국제기관들도 함께 기후변화 문제 해결, 개발도상국 개발 등의 글로벌 이슈인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예측불가능이 지배하는 세상
변화의 속도, 분화와 발전의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예측불가능 또한 커졌다. 한 쪽의 발전이 반드시 다른 쪽의 발전을 뜻하지도 않는다. 가깝게는 후쿠시마 원전 재앙이 던져준 여러 문제를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와 환경문제, 중동지역의 불안정, EU 국가의 사회·경제적 위기, 우리를 포함한 전 세계 정치 리더십의 변화 등, 우리 주변에는 크고 작은 도전들이 산재한 상황이다.
지난 기간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던 원자력, 중동지역, OECD 리더십의 불안정성 확대는 앞으로의 세상이 소위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세계(Nobody-in-charge World)’로 변해가는 주요 원인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자원과 환경, 그리고 온실가스를 중심으로 한 규제 변화 역시 불안정성을 확대하고 있다. 정부 간 협력체계의 거버넌스 약화는 기후변화협약이나, WTO라운드, 통화 부문에서의 합리적 조정 기능 상실로 이미 증명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다자간 협력이 빛을 잃게 되고, 양자 또는 국내 문제로 그 포커스가 이동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움직임
성장의 동력에 대한 기업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면서, 지속가능한 발전 주체는 점차 정부에서 기업으로 바뀌고 있다. GRI, ISO 26000 등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국제적인 가이드라인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에 글로벌 선도 기업들은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WBCSD)’를 설립해 에너지와 기후변화, 사회 개발, 물 부족 등 전 지구적인 지속가능한 발전 문제의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한 기업들의 적극적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이러한 대내외적 움직임은 지속가능경영이 기업 경영에 있어 필수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기업에게 지속가능경영을 요구하는 움직임
먼저, 전 세계적인 환경이슈가 공공정책을 통해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 그 첫째다. 기후변화협약체제가 질척거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탄소감축정책은 이미 각국 공공정책의 주요 요소가 되었다. EU는 유럽에 상품을 판매하려는 전자, 자동차 등 생산업체에게 재활용, 에너지가이드라인 준수를 요구하고 있고, 유해화학물질에는 점점 엄격한 규제를 하고 있다.
또한 은행 등 투자기관은 대출이나 투자 시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위험 및 기회를 주요 고려사항으로 삼고 있기도 하다. 공공기관이나 금융사 외에도 회사의 구성원인 직원들과 소비자의 변화도 과거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해당 기업의 지속가능성이 우수 인력의 취업결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고, 고객들이 친환경 제품과 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은 더 이상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다.
유기농 제품, 건강 제품, 녹색 제품(고에너지효율, 친환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소비트렌드는 대세가 되었고, 결국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개발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환경적 영향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보고가 과거보다 훨씬 중요해졌음을 의미하고, 그 성과가 기업의 가치와 연결된다는 것을 뜻한다.

이 책의 활용
《지속가능경영 이해와 활용》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기업 관련 이슈를 다루고 있다. 지속가능경영이 무엇인지 또 어떻게 하는 것인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PART 1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배경과 현재를 조망하고, 특히 기후변화 등 우리가 처한 환경위기의 모습과 기업경영과의 상관성에 대해 설명한다.
PART 2 ‘환경경영’에서는 국제적 흐름, 녹색 비즈니스, 정부정책 등 기업을 둘러싼 제반 환경이슈를 분석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업의 환경적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PART 3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론과 다양한 국제적 사례, 그리고 실천방안까지 다루어 사회와 유리될 수 없는 기업경영을 강조한다. PART 4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노력과 성과를 이해관계자와 소통하는 ‘지속가능보고서’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다.

밑줄 친 문장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은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환경과 개발에 관한 유엔회의에서 채택된 리우선언에서 공론화되어 새로운 국제질서로는 물론 각국의 환경정책 이념으로 정립되고 있다.

1987년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 〈브룬트란트(Brundtland) 보고서〉가 발표된 이후 1990년대를 전후로 하여 세계 각국은 환경정책의 궁극적 목표를 지속가능한 사회의 건설에 두고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한 바 있다. 새로운 천년을 맞이하면서 각국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환경비전과 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수단을 개발하는 등 사회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략 두 단계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국제 환경문제는 한 국가에서 발생한 환경문제가 국경을 넘어서 다른 국가의 환경적 후생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하는데, 월경성 환경문제는 국제 환경문제의 한 부분으로 환경문제가 주로 이웃나라에만 국한되는 경우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구소련과 핀란드 간의 산성비문제, 인도와 방글라데시간의 수자원문제, 한반도에 불어오는 황사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지속가능경영은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기업의 기여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가정에 기반하며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또는 지속가능한 발전에서 도출된 것이다. 이러한 개념이 기업경영에 적용되면서 기업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 기업은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환경, 사회적 성과 관리를 통해 지속가능할 수 있다는 3대 성과관리(TBL, Tripple Bottom Line)를 기반에 두고 있다. 기업 성과관리 의미의 TBL은 환경·사회·경제적 책임이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으로도 해석된다

환경 침해를 배제할 수 있는 배타적 권리며, 생존권적 기본권의 하나다. 우리나라 헌법 제35조는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고 명문으로 규정했다. 환경권의 이념은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의 UN 인간환경회의에서 채택된 ‘UN 인간환경선언’이 “인간환경의 보호와 개선은 인간의 복지와 경제발전에 미치는 주요 문제이므로, 이는 전 세계 인간의 절박한 염원이고 모든 정부의 책임이다”라는 결의문으로 선언한 이후 각 국가의 법체계에 흡수되었다.

환경라벨링은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환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
어졌다. 기업이 소비자에게 친환경제품과 서비스를 광고하여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그린 커
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따라서 환경라벨링은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를 제고하고 친환경제품과 서비스의 판매를 촉진하는 그린마케팅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제품의 탄소정보가 탄소라벨링제도에 의해 공개되는 것처럼, 기업의 탄소정보 공개 요구가 증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CDP가 주목을 받고 있다. CDP는 영국에 본부를 둔 같은 이름의 비영리기구에 의해 전 세계 60개국 이상에서 수행되고 있는 글로벌 기후변화 프로젝트다. 2011년 현재 주요 연기금을 포함한 551개의 금융기관이 CDP 서명 기관으로 참여하여 기업의 기후변화 정보를 요청하고 있으며, 전 세계 3,600개 이상의 기업이 CDP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와 기회, 탄소경영 전략을 공개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영은 아직 학문적 체계성이 미흡하고 지역별, 이해관계자별 다양한 정의를 제시하고 있으나 그 본질은 서로 유사하다. 기업의 지속가능성(corporate sustainability)은 ‘경제, 환경, 사회 개발 요구로부터 기업의 기회와 리스크를 관리해 장기 주주가치를 창출하는 경영 접근방법’이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기본적으로 지속가능경영(sustainability management)이라 하면 환경 및 사회 측면을 고려하는 경영과 적절한 기업 지배구조 관리를 떠올려야 한다.

노멀(New Normal) 시대는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표준으로, 특정 위기 이후 5~10년간 세계 경제를 특징 짓는 현상으로 과거를 반성하고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는 시점에 등장하는 개념이다. 최근에는 글로벌 경제위기 대처과정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으며 규제완화 중심의 올드 노멀 시대에 대한 반성과 대응을 바탕으로 탄생한 뉴 노멀로 규제강화, 저성장, 저소비, 고위험, 미국의 경제 역할 축소, 신흥국 강화에 따른 다극화 등을 논의하고 있다. 과거 사례로는 정부 역할 증대, 1980년대 이후 규제 완화, IT 기술 발달이 초래한 금융 혁신 등이 대표적인 노멀의 변화로 꼽힌다.

목차

발간사
머리말

PART 01 지속가능한 발전
1. 지속가능한 발전과 저탄소 녹색전략
2. 지구 환경위기의 모습
3. 기후변화문제의 전망과 영향
4.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업경영

PART 02 환경경영
1. 환경정책의 이론적 배경과 주요 정책
2. 국제환경통상 및 환경협약
3. 환경경영 국제표준
4. 전략적 환경경영 및 평가
5. 청정생산 및 녹색 비즈니스

PART 03 사회적 책임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론
2. 국제사회의 사회적 책임 이니셔티브
3. 각국의 사회적 책임 이니셔티브
4. 사회적 책임 실천방안

PART 04 지속가능보고
1. 지속가능경영의 이해
2. 지속가능경영과 이해관계자
3. 지속가능경영 정보공개
4. 지속가능보고서
5. 지속가능보고서 검증
6. 지속가능경영과 사회책임투자

저자소개

저자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KBCSD, Korea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KBCSD는 경제, 환경,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을 추구하는 기업 최고경영자(CEO)협의회로서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WBCSD,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의 한국협력기구다. KBCSD는 지속가능발전정책 연구·개발 사업,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산업계 인식 확산 사업, WBCSD 및 전 세계 60여 개국 BCSD와의 국제협력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총괄 황진택(KBCSD 사무총장)
PART 1 지속가능한 발전: 정회성(한림대학교 교수)
PART 2 환경경영: 김갑철(네오에코즈 사장)
PART 3 사회적 책임: 노한균(국민대학교 교수)
PART 4 지속가능보고: 김정남(삼정KPMG 실장)

도서소개

『지속가능경영 이해와 활용』은 경제, 환경,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을 추구하는 기업 최고경영자(CEO)협의회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KBCSD)'가 지속가능한 발전의 기업 관련 이슈를 다룬 책이다. 지속가능경영이 무엇인지 또 어떻게 하는 것인지에 초점을 맞췄다. 이 책에서 다루는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경제 발전으로 인한 환경·사회적인 희생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으로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장기적 발전 패러다임을 말한다.

본문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부터 논의가 이루어진 역사, 그리고 최근 동향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지속가능경영 이론들을 집대성하고, 항목별로 체계적으로 정리해 설명한다. 더불어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기업들의 노력과 성과도 함께 소개한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경영을 실천해야 하는 기업은 물론 이를 지원하는 정책과 제도를 만들어가는 정부와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찾아가는 소비자 모두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