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序章) 결사의 원형
제1장 보조지눌(普照知訥)의 정혜결사-윤리적 성격과 실천
I. 정혜결사의 본래 모습
II. 정혜결사의 윤리적 성격 논증
III. 정혜결사의 윤리적 실천
IV. 덕의 결사, 덕의 윤리
제1부 노동과 윤리의 결사
제2장 학명(鶴鳴)의 선농결사-선농불교의 결사적 성격과 정신
I. 선농불교(禪農佛敎)와 결사
II. 선농불교의 효시와 개념 정의
III. 학명의 선농결사
IV. 선농일치(禪農一致)의 사상
V. 노동의 길, 출가의 길
제3장 퇴옹(退翁)의 봉암사 결사-윤리적 성격과 정신
I. 근현대불교의 분기점
II. 「공주규약(共住規約)」의 윤리적 성격 분석
III. 비교를 통한 윤리적 성격의 재확인
IV. 퇴옹의 정신사에서 본 봉암사 결사의 정신
V. 결사, 구법(救法)의 몸부림
제2부 선과 교학의 결사
제4장 한암(漢岩)의 건봉사 결사-염불결사에서 수선결사로
I. 수행운동의 결사
II. 『한암선사법어(寒巖禪師法語)』의 사료적 가치
III. 건봉사, 염불결사에서 수선결사로
IV. 염불과 참선의 둘이 아닌 관계
V. 선에 철저했던 결사
제5장 탄허(呑虛)의 결사운동-수도원운동과 역경결사
I. 결사, 정법구주(正法久住)의 염원
II. 결사로서의 수도원운동
III. 결사로서의 역경
IV. 탄허, 결사의 일생을 살다
제3부 도전받는 결사
제6장 자성(自省)과 쇄신(刷新) 결사-성립 가능성과 수행을 중심으로
I. 결사의 새로운 실험
II. 성립 가능성의 검토
III. 수행결사의 특징과 방향
IV. 자주불교, 자생불교의 꿈
제7장 결사의 정의에 대한 재검토-결사의 해체와 홀로결사
I. 결사란 무엇인가?
II. 재검토의 필요성과 수정해야 할 부분
III. 결사 개념의 재정의와 결사의 해체
IV. 결사에 미래가 있는가?
해설 김호성의 결사연구-피은(避隱)과 탈권력의 행원(行願)_김성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