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세법강의(2016)(14판) [조세]

세법강의(2016)(14판) [조세]

  • 이창희
  • |
  • 박영사
  • |
  • 2016-03-10 출간
  • |
  • 1192페이지
  • |
  • 175 X 250 mm /1687g
  • |
  • ISBN 979113032867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48,000원

즉시할인가

47,5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7,52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제14판 머리말

개정법령과 새로 나온 판결을 반영하여 2016년 개정판을 낸다. 가장 큰 변화는 이른바 증여세 완전포괄주의 시행 이후 10여년의 시행착오 과정에서 나온 행정재결과 판례를 반영해서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 큰 폭으로 바뀌었다. 애초 완전포괄주의 법안의 초안을 만들어 냈던 위원회에서 같이 작업하고 토론했던 사람들 사이에서는 그렇게 되리라 예상 또는 예정했던 일이다. 법령을 제ㆍ개정할 때마다 늘 느끼는 문제점이지만 이번의 상증세법 개정도 좀 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좀 더 깊게 공부했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아쉬움이 남아 있다. 아무튼 법은 바뀌었고 앞으로 한 십여년 더 세월이 흐르면 축적된 경험을 다시 반영하면서 길고 복잡한 조문체계를 한결 단순화하는 개정작업이 불가피하리라 생각한다.
이 책을 강의교재로 쓰거나 혼자 공부하다가 제5편, 특히 제15장과 제16장에서 벽에 부딪혀 포기했다는 이야기를 가끔 듣는다. 이 책 각 장의 배열은 논리적 순서에 따른 것이지만 초학자의 입장에서는 우선 제13장만 읽고 제5편의 나머지는 제6편을 공부한 뒤에 읽는 편이 아마 나을 것이다. 특히 제15장과 제16장은 내용이 어렵고, 또 그 내용을 모르더라도 나머지 부분을 읽는 데 지장이 없다. 이 두 장을 제대로 이해했다는 생각이 들면 세법, 회사법, 회계학 모두 어느 정도 이치를 터득했다고 기뻐하면 된다. 주된 관심이 실무적 해답이라면 제2편의 내용도 일단 뛰어넘고 다른 편을 읽으면서 그때그때 필요한 부분만 색인을 벗삼아 찾아 읽으면 된다. ‘읽는다’고 적었지만, 수학책을 ‘읽는’ 것이 무의미하다면 이 책도 그저 읽는 것은 무의미하다. 聖賢이 말씀하셨듯, 읽기만 하고 생각하지 아니하면 속는다. 이 책을 펼 때마다 집중해야 하는 것은 나 스스로도 마찬가지이다. 學而不思則罔이요 思而不學則殆라. 참으로 옳은 말씀이다.
2015년에 세법교수 36인 공저 판례세법(박영사)이 나온 것이 있다. 이 교재는 변호사시험 등 세법개론의 공통교재로 개발한 것이지만 이 책과 나란한 차례를 따르고 있으므로 이 책의 독자들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표지 그림을 그려준 막내딸 민지에게 감사드린다. 초판 이래 이 책의 개정작업을 도와준 고마운 분들은 다음과 같다.

제14판(2016): 양한희 변호사, 박진오 군

제13판(2015): 양한희 변호사

제12판(2014): 강성모 교수(법학박사, 변호사), 양한희 변호사, 조영식 연구관, 하태흥 판사

제11판(2013): 양한희 변호사

제9판(2011): 김석환 교수(법학박사), 임상엽 겸임교수(법학박사, 세무사), 김범준 변호사(법학박사), 김성준 변호사, 김진형 회계사, 방진영 변호사, 이동근 변호사, 이준엽 변호사

제8판(2009년)과 제7판(2008년): 임상엽 겸임교수(법학박사, 세무사)

제6판(2007년): 임상엽 겸임교수(법학박사, 세무사), 김범준 변호사, 안희재 변호사, 양인준 교수(법학박사), 최종원 판사, 세법특수연구 수강생 일동

제5판(2006년): 이준봉 교수(법학박사ㆍ경영학박사ㆍ변호사), 세법특수연구 수강생 일동

제4판(2005년): 강성모 교수(법학박사), 구해동 변호사(법학박사), 박성규 판사(법학박사), 서기영 법제관, 왕해진 판사, 이상우 변호사, 김원목 판사, 이재호 교수(법학박사ㆍ공인회계사), 이준봉 교수, 이희정 변호사, 정주백 교수

제3판(2004년): 견종철 판사, 구해동 변호사(법학박사), 박남준 판사, 박동인 검사, 박성규 판사(법학박사), 박세훈 변호사, 심경 판사, 양승종 변호사(법학박사), 왕해진 판사, 이상조 상무, 이승재 변호사, 이의영 판사(법학박사), 이희정 변호사, 정광진 판사, 정주백 교수, 황인경 변호사, 현병희 변호사

전정판(2003년): 박남준 판사, 박동인 검사, 박미양 석사, 심경 판사, 이의영 판사, 이희정 변호사

초판(2001년)과 법인세와 회계(2000년): 강태욱 판사, 권철 교수(법학박사), 박훈 교수(법학박사), 이재호 교수, 이창 변호사

2016. 2.
이 창 희

목차

서 론
제1장 세금과 세법
제1절 세법은 왜 배우는가? 3
제2절 강의진행과 공부방법 4
제3절 세금이란 무엇인가? 7
제4절 조세국가의 형성 10
제5절 세금과 근대 법치주의 12
제2장 우리 세법의 헌법적 기초
제1절 우리나라 法治主義의 성립과 조세법률주의 16
제2절 形式的 法治主義 21
제3절 實質的 法治主義 29
Ⅰ. 稅法의 입법상 지도이념 30
1. 효율과 조세중립성  31
2. 보이지 않는 손  32
3. 矯正的 세금과 Coase 정리: 효율은 조세중립성보다 큰 개념이다  35
4. 공 평  39
5. 경제조정과 조세지출  41
Ⅱ. 立法에 대한 헌법상의 제약 43
1. 재산권 보장  43
2. 자유권과의 관계  45
3. 평등과 공평  48
4. 소급입법에 따른 과세  54
5. 헌법적 가치의 충돌  58
6. 법 인  59
Ⅲ. 요 약 59
제3장 세법의 해석과 적용
제1절 세금문제에 관한 法源 62
1. 법률과 명령  62
2. 행정규칙은 法源이 아니다  65
3. 地方自治團體의 條例와 規則  66
4. 조 약  66
5. 기업회계  67
제2절 세법의 해석 67
제3절 요건사실의 확정과 추계과세 77
제4절 실질과세 80
Ⅰ. 차용개념 81
Ⅱ. 조세회피행위의 재구성: 법형식과 경제적 실질 82
Ⅲ. 대법원 2008두8499 판결 88
Ⅳ. 구체적 부인 규정 93
제5절 ‘법대로’ 원칙의 타협 95
Ⅰ. 신의성실의 원칙과 신뢰보호 95
1. 신의칙이란?  95
2. 신의칙의 적용례  98
Ⅱ. 평 등 103
Ⅲ. 재량행위와 비례의 원칙 103

조세법률관계
제4장 조세채권의 성립ㆍ확정ㆍ소멸
제1절 조세법률관계 109
제2절 조세채권채무의 구성요건 112
Ⅰ. 납세의무자 113
Ⅱ. 管轄과 納稅地 116
Ⅲ. 과세물건과 세율 116
Ⅳ. 조세채무의 성립 118
제3절 조세채무의 확정 122
Ⅰ. 확정의 의미 123
1. ‘확정’이라는 개념이 쓰이는 조문  123
2. 확정시기와 확정행위  124
3. 조세채권의 확정에 따르는 실체법상 효과  125
4. 납세의무의 확정과 부당이득  128
5. 국세기본법 제22조의 확정이란 세액 등 조세채권의 내용의 특정이다  130
Ⅱ. 조세채무의 확정방식 132
제4절 조세채무의 승계 136
제5절 조세채무의 소멸 137
Ⅰ. 조세채무의 소멸원인 137
Ⅱ. 국세부과의 제척기간 139
Ⅲ. 제척기간 계산의 특례 144
Ⅳ. 조세채권의 소멸시효 147
제5장 조세채권의 효력
제1절 自力執行 151
제2절 가 산 세 155
제3절 책임재산의 보전 157
Ⅰ. 보전압류 157
Ⅱ. 채권자취소권 157
Ⅲ. 채권자대위권 161
제4절 국세우선권 161
Ⅰ. 국세우선권에 대한 헌법상의 제약 162
Ⅱ. 국세우선권과 허위담보취소권 166
Ⅲ. 국세우선권과 담보물권 167
Ⅳ. 국세우선권과 양도담보 169
Ⅴ. 국세우선권과 가등기담보권자ㆍ買受人의 권리 171
Ⅵ. 특정 재산에 부과되는 당해세 175
Ⅶ. 조세채권 상호간의 우열 176
Ⅷ. 국세우선권과 임차보증금ㆍ임금채권 177
제5절 납부책임의 인적확장 180
Ⅰ. 연대납세의무 180
Ⅱ. 제2차납세의무 183
1. 청산인 등의 제2차납세의무  183
2. 출자자의 제2차납세의무  184
3. 법인의 제2차납세의무  185
4. 사업양수인의 제2차납세의무  186
5. 제2차납세의무의 성질  187
Ⅲ. 양도담보권자의 물적납세의무 189
제6절 조세채권의 징수를 위한 기타의 제도 189
Ⅰ. 원천징수 189
1. 원천징수의 의의  189
2. 원천징수의무자와 원천납세의무자의 관계  192
3. 원천납세의무자와 국가의 관계  193
4. 원천징수의무자와 국가의 관계  194
Ⅱ. 세무조사권 195
Ⅲ. 우회적 강제 197
Ⅳ. 조세범에 대한 형벌 198
제6장 세금에 관한 다툼의 해결
제1절 행정부 단계 201
Ⅰ. 과세전 適否심사 201
Ⅱ. 행정심판 202
1. 개 요  202
2. 심판대상  204
3. 심판절차  206
4. 재결과 효력  207
Ⅲ. 감사원 심사청구 209
Ⅳ. 경정청구 210
1. 경정 등의 청구  210
2. 경정청구의 배타성  212
3. 부과처분에 대한 경정청구  216
4. 후발적 경정청구  216
5. 증액수정신고와 기한후신고  219
6. 근로소득자 등의 경정청구  220
Ⅴ. 직권경정 220
제2절 소 송 220
Ⅰ. 세금소송의 틀 221
Ⅱ. 행정소송 225
1. 행정처분의 단위와 소송물  225
2. 항고소송을 내기 위한 형식적 요건  236
3. 심리와 판결  241
Ⅲ. 민사소송 245
Ⅳ. 헌법소송 248
소득세제와 소비세제의 이론적 기초
제7장 소득세ㆍ법인세의 연혁과 소득개념의 형성사
제1절 영국의 소득세 254
제2절 독일의 소득세 258
제3절 미국의 소득세 261
제4절 회사제도와 회계정보의 공시 264
제5절 복식부기 266
1. 복식부기의 과정과 재무상태표  267
2. 거래의 8요소와 손익계산서  270
3. 계정=회계정보의 단위  274
4. 예 제  275
5. 복식부기의 소득개념과 경제학의 이윤  277
제8장 소득세제와 소비세제의 기본 요소
제1절 이념형으로서 소득세와 소비세의 개념 280
Ⅰ. 미실현이득: 소득과 소비의 관계 280
Ⅱ. 소득개념의 경제학적 의미 284
1. 돈의 시간가치  284
2. 소득의 경제학적 개념  286
Ⅲ. 소 비 세 288
Ⅳ. 노무에 대한 보수 290
Ⅴ. 내재적 소득: 재산의 사용가치 293
제2절 소득세ㆍ소비세ㆍ직접세ㆍ간접세의 관계 293
Ⅰ. 누진율과 직접세 293
Ⅱ. 소득세ㆍ소비세ㆍ직접세ㆍ간접세의 상호관계 296
Ⅲ. 직접소득세의 존재근거는 수직적 공평 302
제3절 소득세제와 소비세제의 평가 302
Ⅰ. 소득세 v. 소비세의 효율성 303
1. 일과 놀이의 선택  303
2. 저축과 소비의 선택  304
3. 투자 포트폴리오의 선택  305
4. 효율의 관점에서 본 소득세와 소비세의 우열  307
Ⅱ. 소득세 v. 소비세의 공평성 308
1. 수평적 공평 또는 평등  309
2. 수직적 공평  311
Ⅲ. 부의 재분배: 소득세 v. 재산과세 313
1. 소득세를 통한 재분배의 한계  313
2. 상속세ㆍ증여세  314
3. 재 산 세  317
4. 거 래 세  320
제9장 과세권의 내재적 한계와 과세단위의 설정
제1절 과세권의 내재적 한계 322
Ⅰ. 일과 놀이의 경계 322
Ⅱ. 사업 재산과 私生活 재산 326
Ⅲ. 개인소득세의 과세단위 327
Ⅳ. 공평과 담세력 327
Ⅴ. 소비세가 답은 아니다 328
Ⅵ. 과세권(과세소득이나 과세대상 소비)의 객관적 범위 328
제2절 과세단위의 설정 332
Ⅰ. 납세의무자의 단위와 과세물건의 설정 332
Ⅱ. 단체의 납세의무 335
Ⅲ. 과세물건의 시간적 단위 338
제3절 조세특례 340
1. 조세특례의 종류  340
2. 조세특례 중복의 배제와 최저한세  342

소 득 세 법
제10장 현행 소득세법의 얼개
제1절 납세의무와 소득구분 345
1. 종합소득과 퇴직소득  345
2. 양도소득  347
3. 과세소득의 범위  348
4. 소득의 귀속  351
제2절 과세(소득계산)의 인적 단위 354
Ⅰ. 개인 v. 가족(부부) 354
1. 不可能性 定理  355
2. 우리나라의 세제와 헌법재판소 결정  357
3. 가족기업  360
Ⅱ. 상속재산 360
Ⅲ. 단 체 362
제3절 所得區分의 의의 364
Ⅰ. 소득구분의 실익 364
Ⅱ. 소득구분의 법적 성격 369
제4절 종합소득공제, 세액공제, 신고납부 371
Ⅰ. 종합소득공제와 세액공제 371
Ⅱ. 과세기간과 신고납부 373
제5절 실질과세와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375
1. 요 건  376
2. 효 과  376

제11장 소득의 구분별 주요 논점
제1절 사업소득 379
Ⅰ. 사업소득의 범위 379
1. 사업이란?  380
2. 법정 사업  381
3. 사업에서 발생하는 소득  384
Ⅱ. 사업소득의 소득금액: 필요경비 386
Ⅲ. 필요경비 불산입 391
Ⅳ. 부동산임대업에 대한 특례 392
제2절 근로소득과 퇴직소득 394
Ⅰ. 근로소득의 범위 395
1. 근로의 제공  395
2. 근로를 “제공함으로써”  395
3. 급 여  397
4. 임원의 보수  397
5. 賞與處分된 금액  398
6. 퇴직소득과의 구별  399
Ⅱ. 附加給與의 과세문제 399
1. 부가급여 과세의 어려움  399
2. 의료보험ㆍ사회보험  401
Ⅲ. 근로소득의 과세시기 404
Ⅳ. 근로소득의 소득금액 405
Ⅴ. 정책적 특례 407
Ⅵ. 퇴직소득 411
제3절 연금소득 412
제4절 금융소득: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416
Ⅰ.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범위 416
1. 이자와 할인액  416
2. 채권 또는 증권  419
3. 이자소득의 범위  420
4. 배당소득  422
5. 집합투자  423
6. 포괄적 소득개념의 부분도입  427
Ⅱ. 금융소득의 소득금액과 과세시기 427
Ⅲ. 금융소득 종합과세 429
제5절 기타소득 431
제6절 소득세의 원천징수 435
제12장 양 도 소 득
제1절 양도소득의 과세대상 재산 439
제2절 양도의 개념 447
1. 경매나 수용  448
2. 양도담보  448
3. 조합에 대한 현물출자  450
4. 권리의 동일성이 유지되는 변환  450
5. 양도계약의 무효, 취소, 해제  451
6. 명의신탁  452
7. 주식의 소비대차  454
8. 양도=미실현이득의 과세계기  454
9. 죽음은 양도인가?  456
10. 양도시기와 취득시기  458
제3절 양도소득의 소득금액 459
Ⅰ. 기준시가 v. 실지거래가액 459
Ⅱ. 실지거래가액에 의한 과세 461
Ⅲ. 기준시가관련 판례 465
1. 실지거래가액에 의한 기준시가과세 제약  466
2. 투기거래  466
제4절 양도소득세의 신고납부와 부당행위 468

법인세와 주주과세
제13장 현행 법인세법의 얼개
제1절 납세의무의 구조 475
Ⅰ. 납부기한과 신고기한 476
Ⅱ. 산출세액 477
Ⅲ. 조세특례와 최저한세 481
Ⅳ. 거래: 익금과 손금에 대한 법적 평가의 단위 482
Ⅴ. 내국법인의 청산소득에 대한 법인세 486
Ⅵ. 법인세의 원천징수 487
제2절 법인세 납세의무자의 범위 488
Ⅰ. 법인의 구분과 과세소득의 범위 488
Ⅱ. 법인본질론과 법인세 490
Ⅲ. 회사에 대한 법인세 492
Ⅳ. 비영리법인에 대한 법인세 495
Ⅴ. 법인 아닌 단체에 대한 법인세 500
Ⅵ. 신 탁 501
Ⅶ. 기업집단에 대한 법인세 504
제3절 법인세란 왜 있는가? 506
Ⅰ. 기업금융과 법인의 개념 506
Ⅱ. 전통적 세제의 법률적ㆍ경제적 오류 508
Ⅲ. Imputation System: 조세의 중립성과 수직적 공평의 조화 512
Ⅳ. 폐쇄회사와 유보이익에 대한 과세 514
Ⅴ. 기업소득 환류 세제 517
제4절 현행법의 이중과세 배제방법 519
Ⅰ. 금융소득 분리과세와 배당세액공제 519
1. 주주(배당소득)의 세부담  520
2. 이자소득의 세부담  522
3. 이익의 유보가 세부담에 미치는 영향  522
Ⅱ. 법인 주주 525
Ⅲ. 유동화전문회사 등의 지급배당금 공제 525
제14장 기업과 출자자 사이의 거래
제1절 기업의 설립과 자본납입 528
Ⅰ. 개인기업 528
Ⅱ. 조합과 인적회사 529
1. 조 합  529
2. 익명조합과 합자조합  530
3. 인적회사  531
4. 동업기업과 공동사업장  532
5. 동업기업과 공동사업장에 대한 재산출자  533
6. 미국법과의 비교  536
Ⅲ. 물적회사 538
1. 현물출자와 미실현이득 과세  538
2. 자본 또는 출자의 납입과 주식발행초과금  541
3. 주식할인발행차금  543
4. 주식매수선택권  545
제2절 각 과세기간의 소득에 대한 과세 546
제3절 이익처분과 배당 550
Ⅰ. 동업기업/공동사업 v. 회사 550
Ⅱ. 배당과 이익처분 552
1. 배당가능이익  552
2.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와 배당  553
3. 주주에 대한 과세  555
4. 배당금지급액의 손금산입 여부  555
5. 현물배당시 시가차익의 익금산입과 주주과세  556
6. 결손금의 처리  556
Ⅲ. 주식배당과 준비금의 자본전입 557
1. 현행법상 주식배당의 과세  557
2. 주식배당은 왜 과세하는가?  558
3. 주식배당에 따른 소득금액  559
4. 준비금의 자본전입  562
Ⅳ. 법인주주 565
제4절 투자원리금의 회수 569
Ⅰ. 주식ㆍ출자지분의 양도나 사원의 퇴사 569
Ⅱ. 동업기업이 아닌 조합지분의 양도나 조합원의 탈퇴 569
Ⅲ. 동업기업 지분의 양도 571
Ⅳ. 감 자 571
1. 무상감자의 세법상 효과  572
2. 유상감자의 세법상 효과  572
3. 인적회사 사원의 퇴사  575
Ⅴ. 자기주식의 취득과 처분 576
제5절 기업의 해산ㆍ청산 578
Ⅰ. 해산, 청산과 사업연도의 의제 579
Ⅱ. 청산소득에 대한 법인세 579
1. 청산소득의 금액  580
2. 이월결손금의 소멸  581
3. 가액확정 전의 잔여재산 분배  582
Ⅲ. 청산중인 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소득에 대한 법인세 583
Ⅳ. 주주에 대한 의제배당 584
Ⅴ. 동업기업 전환법인의 준청산 소득 585
제15장 합병 기타 기업결합
제1절 기업결합 과세의 논점: 법적 형식과 경제적 실질 587
제2절 합 병 589
Ⅰ. 합병에 대한 세법상 논점 589
Ⅱ. 소멸법인의 양도손익 596
1. 합병 양도손익의 과세  596
2. 적격합병에 대한 과세이연  598
3. 포합주식  600
4. 존속법인이 지급한 소멸법인의 합병양도소득세  602
Ⅲ. 소멸법인 주주에 대한 의제배당 602
Ⅳ. 존속법인에 대한 과세 606
1. 합병차익의 과세문제  606
2. 합병평가증액  611
3. 합병매수차손익  613
Ⅴ. 적격합병시 존속법인의 사후관리 616
1. 자산조정계정과 사후관리  616
2. 사업폐지나 지분처분에 따른 사후관리  618
3. 영업권(합병매수차손익)의 사후관리  619
4. 완전자회사의 사후관리  621
Ⅵ. 이월결손금 기타 세무요소의 승계와 손익조작 방지규정 621
제3절 자산의 포괄적 양도 624
Ⅰ. 소멸(피인수)법인의 양도소득과 청산소득 624
Ⅱ. 소멸(피인수)법인 주주에 대한 의제배당 626
Ⅲ. 존속(인수)법인의 과세 626
1. 합병차익 상당액  626
2. 영 업 권  628
3. 사후관리  628
Ⅳ. 이월결손금 기타 세무요소의 승계 628
제4절 주식의 포괄적 교환ㆍ이전과 삼각합병 629
제16장 회사의 분할
Ⅰ. 회사의 분할과 미실현이득 과세 633
1. 회사의 분할이란?  633
2. 분할의 절차와 효과  635
3. 분할과 미실현이득 과세  636
Ⅱ. 물적분할에 대한 과세이연 637
1. 과세이연의 요건  637
2. 과세이연의 효과  639
Ⅲ. 영업의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이연 643
Ⅳ. 인적분할되는 회사의 과세 644
1. 소멸분할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원칙  645
2. 분할합병과 포합주식  647
3. 존속분할  648
4. 주주의 실질적 지위에 변화가 있는 경우  650
Ⅴ. 분할되는 법인의 주주에 대한 의제배당 651
Ⅵ. 승계받는 법인의 과세 652
1. 분할차익의 익금불산입과 분할평가증액의 과세  652
2. 분할차익의 충당: 법률적 성질  652
3. 분할매수차손익  653
4. 적격분할시 분할신설법인등에 대한 사후관리  653
5. 분할법인 세무요소의 승계  655
제17장 국 제 조 세
제1절 과세권의 국제적 분배원칙 660
Ⅰ. 속지주의와 속인주의 660
Ⅱ. 비거주자와 외국법인에 대한 두 가지 과세방법 662
Ⅲ. 거주자와 내국법인의 국외원천소득 664
Ⅳ. 조세조약 666
Ⅴ. 소득의 구분과 원천 669
제2절 외국자본의 국내투자 672
Ⅰ. 적용법령의 결정 673
Ⅱ. 분리과세와 제한세율 677
Ⅲ. 국내사업장 678
Ⅳ. 지 점 세 682
Ⅴ. 이전가격과 독립기업의 원칙 686
1. 조세회피와 이전가격  686
2. 독립기업의 원칙과 정상가격  686
3. 독립기업 원칙의 실패와 세수 싸움  688
4. 싸움의 결말: 현행법제  690
Ⅵ. 과소자본세제 693
제3절 국내자본의 해외투자 694
Ⅰ. 전세계소득 과세와 외국납부세액공제 695
1. 세액공제 v. 손금산입  695
2. 공제대상 세액  696
3. 외국납부세액의 공제한도  697
4. 간접외국세액공제  698
Ⅱ. 피지배외국법인 세제 699
Ⅲ. 해외이민과 자본수출 702
Ⅳ. 외화의 환산: 기능통화 702

기업소득의 과세
제18장 소득의 기간개념과 세무회계
제1절 기간소득의 개념에 관한 법령의 얼개 707
Ⅰ. 익금ㆍ손금ㆍ수익ㆍ손비의 개념 707
Ⅱ. 소득세법의 기간소득 711
Ⅲ. 손익의 귀속시기: 소득의 시간적 단위 712
1. 손익의 귀속시기는 규범적 기준을 요구한다  712
2. 귀속시기의 의의  714
3. 귀속시기의 오류  716
Ⅳ. 손익의 귀속시기에 관한 현행법: 실현주의와 역사적 원가주의 719
1. 법령의 뼈대  719
2. 취득가액  722
3. 자산ㆍ부채의 평가  723
Ⅴ. 자산ㆍ부채의 개념 725
제2절 익금의 귀속시기: 권리확정기준의 실현주의 726
Ⅰ. 실현주의의 형성 726
Ⅱ. 권리확정주의? 728
Ⅲ. 권리주장의 원칙과 위법소득 731
제3절 손금의 귀속시기 734
Ⅰ. 실현주의는 수익ㆍ비용 대응의 원칙을 필요로 한다 734
Ⅱ. 채무확정주의란 수익ㆍ비용의 대응에 종속되는 개념이다 736
Ⅲ. 직접대응(취득원가)과 기간대응(기간비용) 739
1. 수익비용 대응과 기간비용  739
2. 취득원가와 기간비용의 구별  740
Ⅳ. 취득원가의 시간개념 741
제4절 실현주의의 모순 743
Ⅰ. 실현주의의 적용범위: 확정손익과 미확정손익 743
Ⅱ. 수익비용 대응원칙의 모순 746
1. 기간대응과 실현주의의 모순  746
2. 노무의 제공  747
Ⅲ. 실효세율의 차이로 인한 투자왜곡 748
Ⅳ. 동결효과 749
Ⅴ. 손익의 조작 750
Ⅵ. 불필요한 거래의 유인 752
Ⅶ. 시가평가의 확대 753
제5절 기업회계와 세법 754
Ⅰ. 두 규범의 관계에 관한 입법례 754
Ⅱ. 기업회계 제도 755
Ⅲ. 재무상태표에 관한 회계기준 757
Ⅳ. 손익계산서에 관한 회계기준 761
Ⅴ. 손익의 귀속시기에 관한 기업회계의 규범 764
1. 실현주의와 역사적 원가주의  764
2. 수익비용의 대응  765
3. 보수주의와 시가주의  765
4. 재무제표 요소의 측정기준  767
Ⅵ. 기업회계의 세법상 지위 768
Ⅶ. 세무조정이나 경정과 소득처분 770
1. 손익 귀속시기의 차이와 유보처분  772
2. 영구적 차이  773
3. 粉飾결산에 따른 경정  775
4. 소득처분의 법적 성질  777
제19장 영업 손익
제1절 물건의 매매나 제조판매 781
Ⅰ. 현행법의 틀 782
Ⅱ. 익금: 귀속시기의 일반 원칙 782
1. 권리 확정 기준  782
2. 매출액의 사후조정  784
3. 계속적 회계관행의 존중  786
4. 부 동 산  786
Ⅲ. 손금: 직접대응과 간접대응 787
Ⅳ. 매출원가와 매출총이익 788
1. 매출액과 매출원가의 개념  789
2. 매출원가의 계산  789
3. 제조업의 매출원가  792
Ⅴ. 재고자산의 평가 793
1. 여러 가지 평가방법  793
2. 저가법과 평가손실  796
제2절 할부 기타 장기 외상 매매 799
Ⅰ. 현 행 법 799
Ⅱ. 현재가치에 의한 손익 계산 801
1. 손익의 계산  801
2. 할 인 율  803
Ⅲ. 현재가치 계산과 회수기준의 관계 805
Ⅳ. 현재가치 손익계산의 적용범위 808
제3절 도급공사와 용역제공의 손익 810
Ⅰ. 제작물공급계약(예약매출)과 도급공사 811
1. 적용범위  811
2. 작업진행률 기준  812
3. 인도기준  814
4. 공사손익의 계산단위  815
5. 작업진행률의 문제점  816
Ⅱ. 용역계약 817
제4절 충당금의 손금산입 821
Ⅰ. 貸 損 821
Ⅱ. 퇴직급여충당금 826
제20장 금융거래의 손익
제1절 이자 기타 확정소득 830
Ⅰ. 이자의 개념과 귀속시기 830
1. 현 행 법  830
2. 입 법 례  830
3. 원천징수와 현금주의  831
Ⅱ. 할인액과 환매조건부 매매차익의 귀속시기 834
1. 발행시장에서의 할인  834
2. 유통시장에서의 할인  837
3. 입법례: 거래의 실질에 따른 실효이자의 계산  837
4. 현 행 법  838
5. 환매조건부 매매차익  842
Ⅲ. 채권이나 어음의 중도 매매 843
Ⅳ. 지급이자의 손금산입과 가공손실 846
Ⅴ. 채권채무의 평가 및 상환 손익 847
제2절 주 식 851
Ⅰ. 단기매매주식 852
Ⅱ. 장기투자주식 855
Ⅲ. 공정가치를 알 수 없는 주식 857
Ⅳ. 지분법 대상 주식 858
제3절 확정/미확정 이분법의 파탄 859
Ⅰ. 간접투자(Mutual Fund와 투자신탁) 859
Ⅱ. 파생금융상품 860
1. 파생금융상품과 소득구분  860
2. 파생금융상품과 손익조작  863
3. 옵 션  864
4. 손익조작의 예  869
5. 시가평가와 Hedge 회계  870
Ⅲ. 주식/채권 구별의 상대성 870
제21장 고 정 자 산
제1절 취득가액과 건설자금이자 874
Ⅰ. 취득가액 874
Ⅱ. 건설자금이자 876
1. 취득원가 v. 당기비용  877
2. 현 행 법  878
제2절 감가상각 882
Ⅰ. 현 행 법 882
1. 감가상각의 의의  882
2. 감가상각 대상자산과 가액  883
3. 내용연수와 상각방법  884
Ⅱ. 감가상각과 손익조작 887
Ⅲ. 감가상각을 이용한 tax shelter 890
제3절 임대차와 리스의 손익 893
Ⅰ. 임 대 차 893
Ⅱ. 리 스 894
Ⅲ. 임대차규정과 리스규정 각각의 적용범위 895
제4절 고정자산 처분손익 897
Ⅰ. 원 칙 897
Ⅱ. 대금지급조건이 양도손익의 과세시기에 미치는 영향 899
1. 대금청산 기준  899
2. 장기할부조건  900
Ⅲ. 교환에 따르는 과세이연 901
Ⅳ. 토지 등 양도소득에 대한 과세특례 904
제5절 무형고정자산 906
Ⅰ. 營 業 權 907
Ⅱ. 산업재산권 기타 권리 909
Ⅲ. 선급비용 910
제22장 익금불산입과 손금불산입
제1절 손금불산입 914
Ⅰ. 잉여금의 처분을 손비로 계상한 금액 915
Ⅱ. 세금과 공과금 916
1. 법인세와 지방소득세 소득분  916
2. 부가가치세  917
3. 반출필 개별소비세, 주세 또는 교통ㆍ에너지ㆍ환경세의 미납액  918
4. 특정 행위를 억제하기 위한 손금불산입  919
Ⅲ. 자산의 평가손실의 손금불산입 921
Ⅳ. 감가상각 922
Ⅴ. 기 부 금 923
Ⅵ. 접 대 비 926
Ⅶ. 過多ㆍ異常 경비의 손금불산입 931
Ⅷ. 업무와 관련 없는 비용 934
Ⅸ. 지급이자 935
Ⅹ. 손금의 요건으로서의 통상성 939
제2절 익금불산입 940
Ⅰ. 자본거래로 인한 수익 940
Ⅱ. 자산평가이익 941
Ⅲ. 조세체계상의 익금불산입 941
제3절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943
Ⅰ. 특수관계인의 범위 944
Ⅱ. 정상적 시가거래와의 비교 944
Ⅲ. 국제거래 947
Ⅳ. 계산부인의 일반적 효과 948
1. 거래의 재구성과 소득처분  948
2. 부당성의 판단기준 내지 거래의 실질  952
Ⅴ. 부당행위의 유형별 요건과 효과 952
Ⅵ. 자본거래를 통한 주주간 부당행위 957

부가가치세법
제23장 현행법의 얼개와 부가가치세법의 기본 구조
제1절 현행법과 조세법률주의 965
제2절 부가가치세란 무엇인가? 971
Ⅰ. 모든 재화와 용역에 대한 세금 971
Ⅱ. 다단계 세금 973
Ⅲ. 소 비 세 974
Ⅳ. 부가가치의 계산방법 976
Ⅴ. 부가가치세는 간접세라는 말의 뜻 978
제3절 일반적 과세의 예외 980
Ⅰ. 면세의 의의와 작용 980
Ⅱ. 면세나 영세율 대상 재화나 용역의 선택 981
Ⅲ. 금융보험업 983
1. 직접금융  983
2. 은행과세의 어려움  985
3. 유사업종간의 경쟁중립성  989
Ⅳ. 부동산과 耐久財 990
1. 토지의 임대차  990
2. 토지의 매매  991
3. 건물 등 내구소비재의 임대차와 매매  992
제4절 부가가치세 세수의 국제적 분배 994
Ⅰ. 속지주의 원칙 994
Ⅱ. 소비지과세 원칙과 영세율 996
Ⅲ. 수입물품에 대한 부가가치세와 대리납부 997
Ⅳ. 생산지과세 원칙 998
제24장 현행법의 주요 논점
제1절 두 가지 유형의 납세의무자 1001
제2절 사 업 자 1002
제3절 재화와 용역 1005
제4절 사업자등록 1007
제5절 납부세액 1009
Ⅰ. 공 급 1011
1. 일반적인 공급  1011
2. 개인적 공급과 사업상 증여  1013
3. 소득세제와의 구조적 차이  1016
4. 자가공급  1018
5. 사업상의 공급  1019
6. 공 급 자  1020
Ⅱ. 공급가액 1020
Ⅲ. 공급시기와 세금계산서 1025
1. 공급시기의 결정요소  1025
2. 일반적 공급시기  1028
3. 대금지급조건과 공급시기  1029
4. 수정세금계산서  1030
Ⅳ. 매입세액 불공제 1030
Ⅴ. 대손세액공제 1034
Ⅵ. 의제매입세액공제 1035
제6절 간이과세 1035
제7절 면세와 영세율 1038
Ⅰ. 면세의 의의와 작용 1038
Ⅱ. 면세대상 재화나 용역 1039
1. 정책적 세부담 경감  1041
2. 가공되지 아니한 식료품  1041
3. 인적용역  1042
4. 금융보험업과 토지  1042
Ⅲ. 영 세 율 1043
Ⅳ. 금융보험업 1043
Ⅴ. 토 지 1045
1. 임 대 차  1045
2. 매 매  1045
제8절 부가가치세 세수의 국제적 분배 1046
Ⅰ. 속지주의 원칙 1046
Ⅱ. 소비지과세 원칙과 영세율 1047
Ⅲ. 수입물품에 대한 부가가치세와 대리납부 1048

재 산 과 세
제25장 상속세와 증여세
제1절 상속세와 증여세의 기초이론 1055
Ⅰ. 상속세제의 역사와 이념적 기초 1055
Ⅱ. 유산세, 유산취득세, 증여세의 관계 1060
Ⅲ. 공익 출연 1062
Ⅳ. 과세권의 국제적 조정 1064
Ⅴ. 재산의 평가 1066
제2절 상 속 세 1068
Ⅰ. 납세의무와 과세대상 1068
Ⅱ. 상속세 과세가액과 산출세액 1071
Ⅲ. 미리 증여한 재산 1075
Ⅳ. 세대를 건너뛴 상속: 손자손녀에 대한 부의 이전 1079
제3절 증 여 세 1080
Ⅰ. 납세의무와 과세대상 1080
Ⅱ. 증여세 과세가액과 산출세액 1084
Ⅲ. 증여 예시규정 1085
1. 예시규정의 前史: 증여의제  1085
2. 예시규정의 구조와 의의  1089
Ⅳ. 우회적 증여 1090
1. 신탁이익의 증여  1090
2. 보험금의 증여  1090
3. 채무면제 등에 따른 증여  1091
4. 저가ㆍ고가양도에 따른 이익의 증여  1091
5. 재산의 무상ㆍ저가사용이나 용역제공에 따른 이익의 증여  1093
6. 완전포괄주의의 내재적 한계  1094
Ⅴ. 지배주주 지위의 악용 1095
1. 합병에 따른 이익의 증여  1096
2. 증자ㆍ감자에 따른 이익의 증여  1097
3. 현물출자에 따른 이익의 증여  1100
4. 기타의 주식거래  1101
5. 초과배당에 따른 이익  1101
6.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  1101
7. 일감 몰아주기와 떼어주기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1103
Ⅵ. 합산배제 증여자산 1104
1. 비상장회사의 상장이익  1105
2. 합병에 따른 상장이익  1107
3. 전환사채의 주식전환  1108
4. 미성년자에게 증여한 재산의 사후적 가치증가  1110
Ⅶ. 증여의 추정 1112
Ⅷ. 명의신탁의 증여의제 1114
1. 현 행 법  1114
2. 법령의 연혁  1115
3. 숨은 증여 v. 행정벌  1118

판례색인 1125
법령색인 1155
사항색인 1179

저자소개

저자 이창희는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서울법대)의 세법 교수이다.일본 동경대 법학부, 미국 Harvard 법대, 미국 NYU 법대 등에서 교수(visiting professor of law)로 국제조세 등을 가르치기도 했다.서울대학교 법학과와 동국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고, 미국 Harvard 법대에서 법학석사와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공인회계사?미국변호사로 한미 두 나라에 걸쳐 회계법인과 law firm에서 일한 바 있고, 기획재정부 세제발전심의위원 등 정부나 공공기관의 자문역도 맡고 있다.

도서소개

▶ 이 책은 세법강의를 다룬 이론서입니다. 세법강의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