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경찰학개론(4판)(양장본 HardCover) [경찰/경호]

경찰학개론(4판)(양장본 HardCover) [경찰/경호]

  • 허경미
  • |
  • 박영사
  • |
  • 2016-01-30 출간
  • |
  • 454페이지
  • |
  • 175 X 250 mm /928g
  • |
  • ISBN 9791130302607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8,71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71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제4판 머리말

경찰은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하는 위험을 예방하고, 또 그 위험을 제거하는 업무가 가장 기본적인 역할이며, 이는 대륙법계 국가이거나 또는 영미법계 국가든 구분하지 않고 적용된다. 따라서 경찰은 국가 공권력의 제일선이며,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오늘날 이 경찰의 역할은 상당한 변화적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즉, 시민의 안녕을 해치는 위험한 환경은 오프라인을 넘어서 온라인으로 이어지고 있고, 나아가 위험요인 또한 일상적인 것에서부터 국제적 테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찰의 역할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동시에 확대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행정경찰과 사법경찰 혹은 보안경찰과 협의의 행정경찰의 경계구분이 모호해진 것이다. 이와 같은 제도적 의미의 경찰조직 및 영역의 변화는 결국 경찰학의 학문적 범주에도 영향을 미쳐 경찰학은 인접학문을 포섭하거나, 기존 영역을 탈피하는 등의 가변적인 양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경찰을 둘러싼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며, 병신년(丙申年) 새해를 맞아 경찰학개론 제4판 개정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제4판은 기존의 내용 및 편제에 대한 대폭적인 수정을 꾀하였다. 이는 경찰학의 학문적 체계를 선도적으로 정렬하는 한편 이 책을 활용한 강의 및 수험준비 등에 좀 더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경찰학개론 제4판 개정판의 특색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 책은 편제를 경찰학, 경찰역사, 경찰조직, 경찰공무원, 경찰행정, 외국경찰제도, 경찰실무(제복경찰작용과 사복경찰작용) 등으로 재편성하여 체계적인 강의 및 학습이 진행되도록 하였다. 제1편에서는 경찰학의 배경과 정의, 그리고 경찰의 이념 및 수단, 경찰의 유형 등으로 경찰학의 학문적 영역을 설명하였다. 제2편에서는 고조선시대부터 최근의 경찰청 시대에 이르기까지 경찰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제3편에서는 경찰기관 및 그 권한행사 등을 기술하였다. 제4편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신규채용 및 교육, 승진, 권리와 의무 등에 이르기까지 경찰공무원의 인사행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제5편에서는 경찰법원 및 경찰관직무집행법 등 경찰행정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제6편에서는 영국과 미국, 독일과 프랑스, 일본 등의 외국의 경찰제도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제7편에서는 제복경찰의 업무영역, 즉 조직 및 인사관리경찰, 생활안전경찰, 교통경찰, 경비경찰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8편에서는 사복경찰의 업무영역, 즉 수사경찰, 정보경찰, 보안경찰, 외사경찰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둘째, 2015년 말 및 2016년도에 시행되는 가장 최신의 법령, 제도, 통계 등을 활용하여 독자들이 별도의 자료수집을 하는 등의 불편이 없게 하였다. 특히 법령은 2016년 하반기부터 발효되는 개정법도 수록하였으며, 외국경찰 자료 역시 2015년 12월을 기준으로 그 조직 및 제도, 인력 등을 소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일이 영국의 메트로폴리탄경찰이나 미국의 뉴욕경찰청, 독일의 연방경찰, 프랑스의 군인경찰대(Gendarmerie) 등의 인터넷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해당자료를 확인하고, 인용하였다.
셋째, 영국의 경우 경찰 및 범죄위원제(경찰 및 범죄위원, Police and Crime Commissioners: PCC)의 도입이나 미국, 독일 등 대표적인 선진국의 경찰제도의 변화에 대하여 가장 최신의 자료를 소개함으로써 관련 분야를 연구하고 학습하는 후학들의 지침서로 활용되도록 하였다.
넷째, 제3판에서 경찰학의 학문적 확장 차원에서 삽입되었던 범죄예방 및 피해자론을 제외하여 경찰학의 필수적 학문영역을 심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부분은 좀 더 유연하게 시간을 두고 고민해보기로 하였다.
다섯째, 이 책은 경찰학개론, 경찰행정법, 경찰실무론, 경찰행정학 등의 강의가 가능하도록 편제를 구성함으로써 강의와 학습의 체계성 및 효율성 등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모쪼록 이 경찰학개론 제4판으로 경찰학의 기초를 단단히 하여, 누군가는 경찰공무원 채용시험의 합격의 영광을 누리고, 또 누군가는 지난하지만 묵묵히 연구의 길로 나아가며, 또 누군가는 명예로운 승진이 함께 하길 진심으로 바란다. 매번 경찰학개론의 개정판을 기다리며 사랑을 보내주시는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한 겨울 수줍게 피어나는 붉은 색 시클라멘 한 다발을 바친다.

아름다운 계명대학교의 쉐턱관 연구실에서
2016년 1월에
저자 허 경 미

목차

제1편
경찰학과 경찰

제1장 경찰학의 기초
제1절 경찰학의 의의와 연구방법 3
Ⅰ. 경찰학의 의의 3
Ⅱ. 경찰학의 연구방법 7
제2절 경찰의 개념 9
Ⅰ. 대륙법계 국가의 경찰개념 9
Ⅱ. 영미법계 국가의 경찰개념 11
Ⅲ. 우리나라의 경찰개념 11
제3절 경찰의 목적과 분류 12
Ⅰ. 경찰의 목적 12
Ⅱ. 경찰의 분류 13

제2장 경찰의 이념 및 수단
제1절 경찰의 기본이념 19
Ⅰ. 민주주의 19
Ⅱ. 법치주의 20
Ⅲ. 정치적 중립성 20
Ⅳ. 효 율 성 20
Ⅴ. 집권성과 분권성 22
제2절 경찰행정의 수단 23
Ⅰ. 권력적 수단 23
Ⅱ. 비권력적 수단 24
Ⅲ. 범죄수사 수단 24

제2편
경찰의 역사

제1장 갑오경장 이전의 경찰
제1절 부족국가와 삼국시대의 경찰 29
Ⅰ. 부족국가시대의 경찰 29
Ⅱ. 삼국시대의 경찰 31
제2절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의 경찰 32
Ⅰ. 고려시대의 경찰 32
Ⅱ. 조선시대의 경찰 34

제2장 갑오경장부터 해방까지의 경찰
제1절 헌병경찰시대 36
Ⅰ. 경무청의 창설 36
Ⅱ. 경찰사무의 강탈과 일본헌병의 주둔 37
제2절 문관경찰시대 39
Ⅰ. 보통경찰로의 전환 39
Ⅱ. 보안경찰과 협의의 행정경찰의 비분리 39

제3장 미 군정기부터 경찰청시대의 경찰
제1절 경찰법 제정 이전의 경찰 40
Ⅰ. 미군정기의 경찰 40
Ⅱ. 치안국 및 치안본부시대의 경찰 41
제2절 경찰청시대의 경찰 42
Ⅰ. 경찰법의 제정 42
Ⅱ. 경찰청의 출범 42
Ⅲ. 2015년 현재의 경찰청 43

제3편
경찰기관과 권한

제1장 경찰기관
제1절 일반경찰기관 47
Ⅰ. 경찰관청 47
Ⅱ. 경찰의결기관 및 경찰협의기관 57
Ⅲ. 경찰집행기관 60
제2절 특별경찰기관 64
Ⅰ. 특별사법경찰 64
Ⅱ. 비상경찰기관 67

제2장 경찰기관의 권한
제1절 경찰기관의 권한 71
Ⅰ. 사물권한 71
Ⅱ. 인적권한 72
Ⅲ. 지역권한 72
제2절 경찰기관의 권한행사 77
Ⅰ. 권한행사 77
Ⅱ. 권한의 감독관계 84
Ⅲ. 권한의 대행 87
Ⅳ. 대등 행정기관간의 관계 93

제4편
경찰공무원

제1장 경찰공무원의 분류와 임용
제1절 경찰공무원의 분류 97
Ⅰ. 계 급 제 98
Ⅱ. 경 과 98
Ⅲ. 특 기 99
제2절 경찰공무원의 임용 100
Ⅰ. 경찰공무원의 임용 100
Ⅱ. 경찰공무원 관계의 형성 102
Ⅲ. 경찰공무원관계의 변경 116
Ⅳ. 경찰공무원관계의 소멸 124
Ⅴ. 경찰공무원의 교육 127

제2장 경찰공무원의 권리 및 의무
제1절 경찰공무원의 권리 137
Ⅰ. 신분상의 권리 137
Ⅱ. 재산상의 권리 140
제2절 경찰공무원의 의무 141
Ⅰ. 신분상 의무 142
Ⅱ. 복무상 의무 148

제3장 경찰공무원의 책임
제1절 징계책임 154
Ⅰ. 의 의 154
Ⅱ. 징계벌과 형벌의 구별 154
Ⅲ. 징계사유 155
Ⅳ. 징계의 종류 및 효력 155
Ⅴ. 징계권자 156
Ⅵ. 징계위원회 156
Ⅶ. 징계의 절차 159
Ⅷ. 징계에 대한 구제 161
제2절 변상책임 162
Ⅰ. 국가배상법에 의한 변상책임 162
Ⅱ. 회계관계직원 등의 책임에 관한 법률에 의한 변상책임 164
제3절 형사상 책임 165
제4절 민사상 책임 166

제5편
경찰행정법

제1장 경찰행정법의 법원 및 일반행정 원칙
제1절 성문법원 169
Ⅰ. 헌 법 169
Ⅱ. 법 률 170
Ⅲ. 조약ㆍ국제법규 171
Ⅳ. 행정입법 171
Ⅴ. 자치법규 172
제2절 불문법원 172
Ⅰ. 관 습 법 172
Ⅱ. 판 례 법 173
Ⅲ. 조 리 174
제3절 경찰행정의 일반원칙 174
Ⅰ. 경찰소극목적의 원칙 174
Ⅱ. 경찰공공의 원칙 174
Ⅲ. 경찰책임의 원칙 175
Ⅳ. 경찰평등의 원칙 180
Ⅴ. 경찰비례의 원칙 181
Ⅵ. 신뢰보호원칙 183
Ⅶ.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184
Ⅷ. 경찰재량의 영으로서의 수축원칙 185
Ⅸ. 한계 일탈의 효과와 구제 187

제2장 경찰관직무집행법
제1절 경찰관직무집행법의 의의 188
Ⅰ. 제정배경 188
Ⅱ. 일반적 수권조항의 인정여부 189
제2절 불심검문 190
Ⅰ. 불심검문의 의의 190
Ⅱ. 불심검문의 근거 및 성질 190
Ⅲ. 불심검문의 대상자 191
Ⅳ. 불심검문의 절차 192
제3절 보호조치 195
Ⅰ. 보호조치의 의의 195
Ⅱ. 보호조치의 대상자 196
Ⅲ. 보호조치의 방법 197
Ⅳ. 사후조치 198
제4절 위험발생의 방지 199
Ⅰ. 위험발생방지의 의의 199
Ⅱ. 일반적 위험방지 199
Ⅲ. 통행제한 및 출입금지 201
Ⅳ. 사후조치 201
제5절 범죄의 예방과 제지 201
Ⅰ. 범죄예방의 의의 201
Ⅱ. 범죄예방의 요건 202
Ⅲ. 범죄예방의 대상 202
Ⅳ. 범죄예방의 수단 203
Ⅴ. 사후조치 204
제6절 위험방지를 위한 출입 204
Ⅰ. 위험방지를 위한 출입의 의의 204
Ⅱ. 유형 205
Ⅲ. 사후조치 206
제7절 사실의 확인 207
Ⅰ. 사실확인의 의의 207
Ⅱ. 사실조회 207
Ⅲ. 출석요구 208
Ⅳ. 사후조치 209
제8절 유 치 장 209
Ⅰ. 유치장의 의의 209
Ⅱ. 신체검사 209
Ⅲ. 유치장 감찰 211
Ⅳ. 사후조치 211
제9절 경찰장비의 사용 211
Ⅰ. 의 의 211
Ⅱ. 경찰장비의 구분 212
Ⅲ. 사후조치 214

제6편
외국의 경찰제도

제1장 경찰제도의 형태
제1절 경찰제도의 분류 219
제2절 경찰제도의 비교 220
Ⅰ. 자치행정주의와 경찰 220
Ⅱ. 서비스의 일관성과 효율성 221
Ⅲ. 정치적 중립성 221

제2장 영국경찰
제1절 영국경찰의 역사 223
Ⅰ. 근대 이전의 경찰발전 223
Ⅱ. 근대의 경찰발전 224
Ⅲ. 현대의 경찰발전 226
제2절 영국의 경찰조직 227
Ⅰ. 국가경찰 227
Ⅱ. 자치경찰 232
Ⅲ. 수 사 권 234
제3절 영국의 경찰공무원 235

제3장 미국경찰
제1절 미국경찰의 역사 238
제2절 미국의 경찰조직 240
Ⅰ. 연방경찰 241
Ⅱ. 주경찰(State Police Agencies) 246
Ⅲ. 지방경찰 248
Ⅳ. 특별경찰 249
Ⅴ. 수 사 권 251
제3절 미국의 경찰공무원 252
Ⅰ. 인사제도의 발달 252
Ⅱ. 모집과 채용 254
제4장 독일경찰
제1절 독일경찰의 역사 258
제2절 독일의 경찰조직 259
Ⅰ. 연방경찰기관 259
Ⅱ. 주 경 찰 262
Ⅲ. 수 사 권 264
제3절 독일의 경찰공무원 265
Ⅰ. 채용과 교육 265
Ⅱ. 승진과 징계 등 266

제5장 프랑스경찰
제1절 프랑스경찰의 역사 268
제2절 프랑스경찰의 조직 270
Ⅰ. 국가경찰 270
Ⅱ. 자치경찰 273
Ⅲ. 수 사 권 274
제3절 프랑스의 경찰공무원 275

제6장 일본경찰
제1절 일본경찰의 역사 277
Ⅰ. 명치유신 이후 구경찰법 이전 277
Ⅱ. 구경찰법시대 278
Ⅲ. 신경찰법의 내용 278
제2절 일본의 경찰조직 279
Ⅰ. 국가경찰기관 279
Ⅱ. 자치경찰기관 281
Ⅲ. 경찰기관 상호간의 관계 284
Ⅳ. 긴급사태시의 특별조치 284
Ⅴ. 수 사 권 284
제3절 일본의 경찰공무원 285

제7편
제복경찰의 업무영역

제1장 조직 및 인사관리 경찰
제1절 조직 및 인사관리 경찰의 의의 291
제2절 조직관리 및 인사관리 경찰의 조직 292
Ⅰ. 홍보업무 292
Ⅱ. 기획조정 292
Ⅲ. 경무인사기획 293
Ⅳ. 감사 및 인권보호 293
Ⅴ. 정보화장비정책 294

제2장 생활안전경찰
제1절 생활안전경찰의 의의 295
제2절 생활안전경찰의 조직 295
Ⅰ. 경 찰 청 295
Ⅱ. 지방경찰청 및 경찰서 296
제3절 지역경찰의 운영 297
Ⅰ. 임 무 297
Ⅱ. 제복의 착용 및 장비 298
Ⅲ. 지구대의 설치 298
Ⅳ. 지역경찰관의 근무 299
Ⅴ. 파출소, 치안센터, 분소 및 초소 304

제3장 교통경찰
제1절 교통경찰의 의의 306
제2절 교통경찰의 조직 306
Ⅰ. 경 찰 청 306
Ⅱ. 지방경찰청 및 경찰서 307
제3절 도로교통업무 307
Ⅰ. 도로교통업무처리와 관련된 용어의 정의 307
Ⅱ. 신호 또는 지시에 따를 의무 311
Ⅲ. 교통상 질서유지 312
Ⅳ. 교통사고발생시의 조치 312
Ⅴ. 도로의 사용허가 등 314
제4절 운전면허 316
Ⅰ. 운전면허의 발급 및 시험 316
Ⅱ. 운전면허증 갱신 319
Ⅲ. 적성검사 319
Ⅳ. 운전면허 정지 및 취소 320
Ⅴ. 국제운전면허증 324
제5절 교통사고처리 특례 325
Ⅰ. 교통사고처리특례의 의의 325
Ⅱ. 교통사고처리의 준칙 325

제4장 경비경찰
제1절 경비경찰의 의의 328
제2절 경비경찰의 조직 328
Ⅰ. 경 찰 청 328
Ⅱ. 지방청 및 경찰서 330
제3절 경비경찰의 수단과 원칙 330
Ⅰ. 경비경찰의 수단 330
Ⅱ. 경비경찰수단의 한계 331

제8편
사복경찰의 업무영역

제1장 수사경찰
제1절 수사경찰의 의의 335
제2절 수사경찰의 조직 335
Ⅰ. 경 찰 청 335
Ⅱ. 지방경찰청 및 경찰서 337
제3절 수사경찰 인사관리 337
Ⅰ. 수사경과경찰의 의의 및 배치부서 337
Ⅱ. 선발 및 수사경과 부여 338
Ⅲ. 교육 및 보직관리 339
제4절 범죄수사 341
Ⅰ. 수사의 기본원칙 341
Ⅱ. 지휘 및 보고 343
Ⅲ. 특별사법경찰관리와의 관계 345
Ⅳ. 수사의 단서 345
Ⅴ. 수사서류 350
Ⅵ. 공조와 수배 352
Ⅶ. 증 거 358
Ⅷ. 체포 및 구속 361
Ⅸ. 피의자 신문 및 피의자 아닌 자에 대한 조사 369
Ⅹ. 압수수색 및 검증 373
ⅩⅠ.송치와 송치 후 수사 등 378
ⅩⅡ.수사의 특칙 381
ⅩⅢ. 수사장부와 비치서류 392

제2장 정보경찰
제1절 정보경찰의 의의 395
제2절 정보경찰의 조직 395
Ⅰ. 경 찰 청 395
Ⅱ. 지방경찰청 및 경찰서 396
제3절 정보활동 396
Ⅰ. 정보의 의의 396
Ⅱ. 정보의 가치 397
Ⅲ. 정보의 배포 398
Ⅳ. 정보와 보안 399
제4절 집회시위의 관리 400
Ⅰ. 집회시위관리의 의의 400
Ⅱ. 용어의 정의 401
Ⅲ. 집회시위의 원칙 402
Ⅳ. 옥외집회 및 시위의 신고 403
Ⅴ. 집회 및 시위의 금지 또는 제한 통고 406
Ⅵ. 집회 및 시위의 금지 통고에 대한 이의 신청 등 408
Ⅶ. 집회시위 주최인의 의무 409
Ⅷ. 질서유지인 및 참가자의 준수사항 410
Ⅸ. 경찰관의 출입 410
Ⅹ. 집회 또는 시위의 종결 및 해산 411
ⅩⅠ. 집회ㆍ시위자문위원회 411

제3장 보안경찰
제1절 보안경찰의 의의 413
제2절 보안경찰의 조직 413
Ⅰ. 경 찰 청 413
Ⅱ. 지방경찰청 및 경찰서 414
제3절 보안경찰 인사관리 414
Ⅰ. 보안경과경찰의 의의 및 배치부서 414
Ⅱ. 선발 및 보안경과 부여 415
Ⅲ. 교육 및 보직관리 417
제4절 북한의 대남전략과 전술 417
Ⅰ. 전략의 개념 및 원칙 417
Ⅱ. 전술의 개념 및 유형 419
제4절 방 첩 420
Ⅰ. 방첩의 의의 420
Ⅱ. 방첩의 수단 421
제5절 공 작 422
Ⅰ. 공작의 개념 422
Ⅱ. 공작의 유형 423

제4장 외사경찰
제1절 외사경찰의 의의 424
제2절 외사경찰의 조직 425
Ⅰ. 경 찰 청 425
Ⅱ. 지방경찰청 및 경찰서 425
제3절 한미행정협정 426
Ⅰ. 의 의 426
Ⅱ. 군대 및 구성원의 개념 426
Ⅲ. 접수국 법령의 존중 427
Ⅳ. 출 입 국 427
Ⅴ. 통관과 관세 428
Ⅵ. 형사재판권 428
제4절 인터폴사무 432
Ⅰ. 인터폴의 의의 432
Ⅱ. 인터폴의 기능 433
Ⅲ. 인터폴의 업무영역 433
Ⅳ. 인터폴의 수배 434
제5절 범죄인 인도 437
Ⅰ. 의 의 437
Ⅱ. 범죄인 인도 등의 개념 437
Ⅲ. 인도의 원칙 및 범죄 438
Ⅳ. 인도절차 441
Ⅴ. 외국에 대한 인도요구 441

찾아보기 443

저자소개

저자 허경미는

학 력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찰행정학과 졸업(법학 박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공안행정학과 졸업(행정학 석사)
동국대학교 법정대학 경찰행정학과 졸업(행정학 학사)

경 력
현) 계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찰행정학과 교수
한국공안행정학회 회장
한국소년정책학회 감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자문위원
법무부 인권교육 강사
대구지방검찰청 형사조정위원회 위원
대구지방검찰청 형집행정지심의위원회 위원
대구경북지방노동위원회 차별심판 공익위원
대구광역시 인사위원회 위원
경찰청 인권위원회 위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폭력교육모니터링 전문위원

전) 경찰대학 경찰학과 교수
법무부 범죄예방전문위원
법무부 범죄예방국 심사승진 역량평가위원
여성가족부 원스톱 지원센터 중앙운영위원회 위원
여성가족부 양성평등교육진흥원 외래강사
대구광역시 여성정책위원회 위원
대구지방경찰청 시민인권보호위원회 부위원장
대구지방경찰청 시민감찰위원회 위원
한국범죄심리학회 부회장
한국시큐리티정책학회 부회장
대구광역시 성매매 집결지 정비사업추진자문위원회 위원
행정자치부 행정직 채용·승진시험 출제·선정위원
한국산업인력공단 경비지도사 자격증시험 출제위원
경찰청 경무기획국 업무평가위원
국립중앙도서관 도서선정위원(범죄학 부문)
동국대학교, 한남대학교, 용인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출강 등

수상경력
계명대학교 최우수강의교수상(2008)
한국공안행정학회 학술상(2009)
대통령 표창(2013)

저서 및 논문
1. 경찰행정법, 법문사, 2003
2. 정보학특강,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5
3.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혁신과 발전에 기여할 기본법 제정을 위한 연구 및 법령제정안 및 기준(지침)안 작성, 국립과학수사연구소, 2006(공저)
4. 전국 성매매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07(공저)
5. 조직폭력범죄의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공저)
6. 범죄 프로파일링(criminal profiling) 기법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08
7. 경찰학개론, 박영사, 2008, 2011 개정판, 2013 제3판
8. 객관식 경찰학개론, 2008(공저)
9. 피해자학, 박영사, 2011
10. 경찰인사론, 박영사, 2013
11. 허경미, 미국의 보호관찰 민영화의 한계에 관한 연구, 矯正硏究, , 105~128,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3-31
12. 허경미, 강력범 피해실태 및 피해자지원 정책방향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41~274,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3-31
13. 허경미, 신자유주의 시대의 경찰 패러다임 변화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215~236,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4-30
14. 허경미, 미국의 종교교정의 실태 및 도입모델 연구, 경찰학논총, 25,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5-31
15. 허경미, 핵티비즘 관련 범죄의 실태 및 대응,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67~398,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9-30
16. 허경미, 영국의 보호관찰 민영화에 관한 연구, 矯正硏究, 69~92,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9-30
17. 허경미, 미국의 민영교도소의 쟁점에 관한 연구, 矯正硏究, 165~186,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12-31
18. 허경미, 수사기관의 피의사실 공표죄의 논쟁점,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81~310,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3-06-30
19. 허경미, 미국 전자감시제의 효과성 및 정책적 시사점연구, 矯正硏究, 35~60,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3-06-30
20. 허경미,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분석: 시민의식과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45~274, 전국규모학술지, 2015-06-30

도서소개

▶ 이 책은 경찰학개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경찰학개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