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물류와 SCM의 이해(2판)(양장본 HardCover) [물류관리/SCM]

물류와 SCM의 이해(2판)(양장본 HardCover) [물류관리/SCM]

  • 양창호
  • |
  • 박영사
  • |
  • 2016-01-25 출간
  • |
  • 570페이지
  • |
  • 188 X 257 mm /1063g
  • |
  • ISBN 9791130302737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7,72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72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리말

초판에 보여준 여러분의 관심에 감사드리며, 초판발행 이후 바뀌고 있는 물류환경을 반영하고, 일부 미진한 부분을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생겨 2판을 발행하게 되었다. 특히 2판에서는 초판과 달리 각 장별 요약부분을 추가했고, 학습에 도움이 될 사례를 더 추가하였다.
글로벌 화주는 세계 각지에서 원자재 및 부품을 조달하고, 세계적으로 분업화된 생산 활동을 원활하게 연결하고, 전 세계 판매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여 나가기 위해서는 고도의 공급사슬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글로벌 시대에 전 세계적으로 퍼져 있는 복잡한 공정을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것이 공급사슬관리이다.
수요를 전망하여 대량으로 싸게 제품을 생산하고 신속하게 수송하는 것을 우선으로 했던 물류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생산 및 배송을 세밀하게 동기화하는 물류, 즉 공급사슬관리로 진화하였다. 즉 글로벌 시대의 시장에서의 가치창조는 제품의 생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요구에 치밀하게 대응하는 공급사슬관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공급사슬관리 전문가는 저비용으로 상품을 목적지로 운송하기 위한 최적의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이를 시스템으로 구현해서 복잡한 물류 프로세스를 최적화시키는 하이테크 엔지니어이다.
물류업체 입장에서 보면 글로벌 다국적 기업들이 요구하는 이러한 물류 최적화를 달성시켜 주는 것이 공급사슬관리의 주된 업무영역인 것이다. 바로 제3자 물류전문업체(third-party logistics provider: 3PL)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3PL 사업자는 물류에 대한 전문지식은 물론 화주에 대한 지식도 갖추어야 한다. 고도의 물류전문지식과 높은 서비스 능력, 화주 니즈의 이해와 알맞은 제안능력, 정보시스템(IT) 능력, 국제복합일관수송능력 같은 종합물류 전반에 걸친 능력, 시장분석 등 컨설팅 능력이다.
SCM, 물류최적화가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전략적 개념의 물류인력 교육이 화주기업이나 물류기업에게도 필요한 이유이다. 이 책이 이러한 물류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기초교재로 사용되기를 바란다.

이 책은 총 4부 25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개념 및 전략에서는 우선 물류와 SCM의 개념과 전략에 대해 살펴본다. 물류는 기업의 고객서비스 향상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며, 동시에 기업의 경쟁우위의 원천을 위한 활동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물류와 SCM의 전략을 설명한다. 제2부 공급사슬과 물류관리에서는 물류의 구성요소, 재고관리, 글로벌 운송관리, 해상물류, 국제물류거점, 창고관리 및 하역, 반입물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제3부 물류관리 이슈에서는 물류원가분석, 물류표준화와 공동화, 물류정보시스템, 제3자 물류서비스 제공자, 수요관리와 물류보안을 살펴본다. 그리고 제4부에서는 미래 물류관리 과제와 공급사슬 위험관리, 녹색물류, 동아시아 물류현황 및 미래과제 등을 살펴보게 된다.

이 책에서 특히 강조한 주요 내용 몇 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공급사슬관리에 대한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목표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SCM은 기업활동의 이상적 성과를 추구하는 관리기법이다. 공급사슬관리를 정의한다면 공급사슬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활동들이 마치 하나의 기업처럼 조화롭게 협력하여, 각 단계별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고, 혁신을 증강시키며, 리드타임을 줄이고, 재고를 흘러가게 만들고, 고객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궁극적으로 고객만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특히 공급사슬관리를 하는 주된 목적은 공급사슬 내 가용한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하는 일이겠지만, 궁극적으로는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키고, 고객에 대한 가치를 부가시키는 일이다.
두 번째는 재고와 운송 등 주요 물류분야 의사결정이 전략적인 개념이 없이 판매나 생산부분에 의해 이루어져, 물류최적화를 못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에서 재고유지는 대부분 영업부문이 담당하고 있다. 재고는 많은 고객의 주문에 응답하기 위해서 존재하기 때문에 자신들이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공급사슬관리에서 채찍효과(Bullwhip effect)가 발생하는 요인인 것이다. 창고 안에 필요 없는 재고를 쌓아두고 있는 것은 생산부문도 마찬가지이다. 시장에서의 판매동향과 관계가 없는 형태로 생산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무에서는 운송이나 배송관리에서 물류부문은 기본적으로 관여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는 경우도 많다. 영업부문에서 언제 얼마만큼의 재고보충을 요청하느냐에 따라 운송비용이 결정되고, 또한 고객이 어떻게 주문하고 어떻게 납품조건을 정하느냐에 따라 배송비용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목차

PARTⅠ 개념 및 전략
Chapter 01 물류와 SCM의 개념
1. 물류와 로지스틱스 4
2. 물류개념의 발전 5
3. 공급사슬의 개념 8
4. 물류활동 12

Chapter 02 물류, 기업 경쟁우위의 원천
1. 물류와 경쟁우위 18
2. 고객지향 공급사슬, 경쟁우위의 새로운 원천 21
3. 경영상 물류관심 고조 이유 23

Chapter 03 공급사슬관리
1. 공급사슬관리 33
2. 공급사슬과 공급사슬관리 36
3. 공급사슬관리와 로지스틱스 37
4. 공급사슬관리의 효과 43
5. 공급사슬관리의 장벽 46
6. 정보공유 48
7. 공급사슬에서의 역할분담 재구축 50

Chapter 04 고객서비스
1. 물류시스템에서의 고객서비스 53
2. 고객서비스의 의미 54
3. 고객서비스의 특성 57
4. 고객서비스의 목표 설정 58
5. 고객서비스 향상의 장애요인 60
6. 시장별 고객서비스 개발 62

Chapter 05 통합물류
1. 총비용분석 67
2. 물류활동 간의 통합 69
3. 기업활동과의 통합 80
4. 공급사슬 내 통합 89

Chapter 06 물류와 SCM 전략
1. 기업 전략계획 93
2. 전략계획 수립 기법 94
3. 물류 전략계획 96
4. 공급사슬 전략 99
5. 물류에 영향을 미칠 향후 이슈 105

PARTⅡ 공급사슬 및 물류관리
Chapter 07 물류의 구성요소 및 네트워크
1. 운송 활동 110
2. 보관 활동 112
3. 포장 활동 114
4. 하역 활동 116
5. 유통가공 활동 118
6. 물류정보 활동 121
7. 물류네트워크 122

Chapter 08 재고관리
1. 재고관리의 의미 126
2. 재고와 고객서비스 128
3. 재고의 유형 및 기능 130
4. 적정재고와 재고비용 132
5. 재고모델 134
6. ABC 재고분석 139
7. 재고관리 문제점 143
8. 재고관리 개선방안 145
9. 공급사슬 재고관리 전략 149

Chapter 09 운송시스템
1. 전략적 측면의 화물운송 153
2. 운송의 기능 155
3. 운송수단 157
4. 복합운송 172
5. 운송산업의 규제완화 및 민영화 182
6. 운송에 있어 정부의 역할 188

Chapter 10 운송관리
1. 운송관리의 당면과제 192
2. 운송관리시스템 194
3. 운송인의 선정 197
4. 운송운임 결정 199
5. 운송관련 서류 204

Chapter 11 해상물류
1. 해상운송 208
2. 컨테이너 해상운송 213
3. 해상물류와 공급사슬 216
4. 글로벌리제이션과 해운산업 경쟁심화 219
5. 초대형 컨테이너선 시대 221
6. 화주위주의 해운정책 226

Chapter 12 국제물류거점
1. 국제물류거점 형태 231
2.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 233
3. 물류 노드 236
4. 국제 분업과 항만 241
5. 물류거점으로서의 항만 242
6. 항만배후단지 247
7. 자유무역지대와 항만도시 250

Chapter 13 창고, 물류센터
1. 물류거점으로서의 창고시설 255
2. 창고 내 화물 흐름 257
3. 물류혁신과 창고 262
4. 물류센터 입지 266
5. 창고 유형 273

Chapter 14 창고관리 및 하역
1. 창고 설계시 고려사항 277
2. 창고관리시스템 279
3. 창고통제시스템의 기능 281
4. 재래 하역방식과 자동하역시스템 282
5. 하역시스템의 목적과 선택 286

Chapter 15 반입물류, 조달
1. 조달물류의 중요도 증가 293
2. 조달물류 활동 295
3. 총소유비용의 최소화 298
4. 조달구매의 기능 및 통합 300
5. 공급업체와의 관계 및 선정기준 302

PARTⅢ 물류관리 이슈
Chapter 16 물류원가분석
1. 물류원가분석의 중요성 310
2. 기업물류비 산정 312
3. 물류시스템 재검토로 물류비용절감 318
4. 활동기준 원가계산 319
5. 고객별 물류 채산성 분석 가능 322
6. 물류 활동기준관리(ABM) 324

Chapter 17 물류표준화와 공동화
1. 물류표준화와 유닛 로드 시스템 332
2. 일관 파렛트화 337
3. 파렛트 풀 시스템 339
4. 물류공동화 341

Chapter 18 물류정보시스템
1. 정보시스템 351
2. 전자상거래와 물류 354
3. 물류정보 356
4.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성 359
5. 의사결정지원시스템 362
6. 공급사슬통신시스템 364

Chapter 19 전문 물류서비스 제공자
1. 물류서비스 제공자 371
2. 제3자 물류서비스 제공자 정의 376
3. 3PL의 등장 배경, 특징 380
4. 3PL 사업자의 물류지원 382
5. 3PL 아웃소싱 분야 386
6. 3PL 아웃소싱 과정 391
7. 3PL 도입 지연 이유 393
8. 국내 제3자 물류 현황과 문제점 397

Chapter 20 수요관리
1. 물류에서 수요관리의 중요성 403
2. 수요예측 방법 405
3. 수요 공급 동기화 413

Chapter 21 물류보안
1. 공급사슬에서의 물류안전, 보안 위험 420
2. 물류보안제도 424
3. 민-관 협력 물류보안 428
4. 100% 사전검색 430

PARTⅣ 미래 물류관리 과제
Chapter 22 미래 물류과제
1. 글로벌 물류 전략 438
2. SCM 환경변화 447
3. 물류기술 환경변화 449
4. 해운 환경변화 454
5. 항만 환경변화 459

Chapter 23 공급사슬위험관리
1. 공급사슬위험 증대와 관리 필요성 468
2. 공급사슬위험의 유형 473
3. 공급사슬위험관리 전략 479

Chapter 24 녹색물류
1. 친환경 녹색물류 490
2. 기업의 지속가능 경쟁력 495
3. 녹색물류의 실행 497
4. 친환경 트럭운송 대책 500
5. 해운 항만부문 녹색물류과제 508
6. 회수물류 512

Chapter 25 동아시아 물류현황과 미래과제
1. 글로벌리제이션과 물류 516
2. 동아시아 경제권의 특징 517
3. 동아시아 물류시스템의 동향 519
4. 동북아 물류중심 전략 522

용어(Glossary) 529
참고문헌 555
찾아보기 567

저자소개

저자 양창호는

학 력
연세대학교 및 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경영학석사)
서강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경영학박사)

경 력
산업연구원(KIET) 산업정책실 책임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선임연구위원, 항만시스템연구실장, 기획조정실장, 정책동향연구실장
해양수산부 민자유치사업 평가위원
건설교통부 사회간접자본정보화 추진위원
과학기술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위원
기획재정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위원
국토해양부 국가교통조정실무위원회 민간위원 등

현 재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수
인천대학교 물류특성화 인력양성사업단장(국토해양부 지원)
인천광역시 물류정책위원회 위원, 녹색성장위원회 위원
자산관리공사 선박매입위원회 위원
한국공항공사 이사회 의장(비상임이사)
해양수산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국무총리실 국토정책위원회 민간위원
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자문위원 등

저 서
「해운경제학」(역서), 박영사, 2015
「해운항만산업의 미래 신조류」, 혜민, 2009
「해운항만물류회계」, 박영사, 2009
「세계물류환경변화와 대응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
「컨테이너터미널 선석처리능력 추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1
「A Study on the System Design and Operations of the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KMI, 2000
「해운경기 결정요인 분석」, 해운산업연구원, 1996
「해운산업 합리화 조치의 의의와 평가」, 해운산업연구원, 1993 외 다수

도서소개

▶ 이 책은 물류와 SCM의 이해를 다룬 이론서입니다. 물류와 SCM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