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경찰조직론(개정판) [경찰/경호]

경찰조직론(개정판) [경찰/경호]

  • 최응렬
  • |
  • 박영사
  • |
  • 2015-09-10 출간
  • |
  • 400페이지
  • |
  • 170 X 245 mm
  • |
  • ISBN 9791130302386
★★★★★ 평점(10/10) | 리뷰(2)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 리 말

지난 2013년 3월 ?경찰조직론? 초판을 발행하면서 미진한 부분은 앞으로 수정하고 보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힌 지가 벌써 2년 6개월이 지났다. 그 사이 경찰의 임무를 추가하여 ?경찰법?과 ?경찰관 직무집행법?이 개정되었으며, ?경찰관 집무집행법?은 손실보상 규정이 추가된 개정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또 이성한 경찰청장을 거쳐 2014년 8월 25일 강신명 경찰청장이 취임하였고, 경찰조직에도 다음과 같이 많은 변화가 있었다.
사람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생을 마감하는 생명 주기(life cycle)가 있듯이 경찰조직에도 생명주기가 그대로 존재한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기능이 사이버 분야이다. 1999년 경정 계급이 책임자인 사이버수사대로 출범하였다가 2000년 사이버테러대응센터로 명칭이 바뀌면서 센터장이 총경 계급으로 격상되었고, 2014년 6월 11일에는 사이버안전국이라는 별도의 국으로 승격되었고 경무관이 국장을 맡게 되었다. 사이버안전국의 업무도 기존의 수사 중심의 사후 대응 체계에서 사이버범죄 위협 분석을 통한 범죄예방, 피해 확산 방지 및 디지털포렌식 고도화 등 종합적인 사이버 안전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대대적인 기구 개편이 있었다.
제18대 대통령 선거 당시 박근혜 후보는 ‘국민행복 10대 공약’ 중 8번째 공약으로 ‘국민안심 프로젝트’를 추진하였고, 2013년 2월 25일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성폭력, 학교폭력, 가정폭력, 불량식품을 하나의 정책 개념으로 묶어서 ‘4대 사회악’이라는 이름으로 규정하면서 경찰에서도 4대 사회악 근절을 위한 대대적인 경찰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 결과 경찰서에 생활안전과 여성청소년계가 여성청소년과로 분리 독립되었고, 오원춘 사건을 계기로 112 운영시스템의 문제점이 거론되어 112 종합상황실로 확대 개편되었으며, 대규모 경찰서인 송파경찰서의 경우 2014년 수사과가 지능범죄수사과와 경제범죄수사과로 분리되었다.
경찰청 차장, 서울지방경찰청장, 경찰대학장, 경기지방경찰청장, 부산지방경찰청장에 이어 인천지방경찰청장의 계급도 치안정감으로 승격되었고, 1차장 체제에서 3부장 체제로 바뀌었다. 차장 1명을 두던 지방경찰청은 8개 지방경찰청이 2부장 체제로 바뀌었고, 경무관이 경찰서장인 중심경찰서는 5개에서 7개로 늘어났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교재에 담아야 되겠다는 마음이 있었으나 이제야 개정판을 내면서 정리하게 되었다. 개정판의 전반적인 내용은 초판과 마찬가지로 경찰조직과 관련된 내용을 깊이 있고 폭넓게 다루었고, 학부생들이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기술하고자 하였다. 그 일환으로 강의를 하면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은 최대한 평이하게 기술하려고 노력하였으나 그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도 있으리라고 본다.
이번 개정판을 통하여 경찰조직 관련 법령 및 제도의 변화를 최대한 반영하였으나 조직은 환경과 상호 작용하면서 끊임없이 변화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러한 변화는 다음 기회에 반영할 예정이다. 아무튼 이 책이 경찰조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 책의 교정을 위해 애써준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찰행정학과 박사과정의 김은기?박찬혁 군을 비롯하여 석사과정의 심민규 군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이 책의 집필을 위해 분에 넘치는 후원을 베풀어 주신 박영사 임직원 여러분과 편집 및 교정을 위해 수고해 주신 편집부 직원 여러분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5년 9월 일
사회과학관 연구실에서 저자 씀

목차

제1편 경찰조직일반론
제1장 경찰조직의 의의 및 이념
제1절 경찰조직의 의의 및 특징 3
1. 경찰조직의 개념 3
2. 경찰조직의 중요성 5
3. 경찰조직의 특징 6
제2절 경찰조직의 이념 8
1. 성문법상 이념 8
2. 불문법상 이념 11

제2장 경찰조직목표
제1절 경찰조직목표의 유형 및 기능 18
1. 조직의 목표 18
2. 조직목표의 유형 19
3. 경찰조직목표의 기능 22
제2절 조직 효과성의 측정모형 및 변동 22
1. 조직 효과성의 측정모형 22
2. 목표충돌에 대한 접근모형 24
3. 조직목표의 변동 25

제3장 경찰조직이론의 발달
제1절 고전적 조직이론 28
1. 등장배경 28
2. 유 형 29
3. 특성 및 비판 32
제2절 신고전적 조직이론 33
1. 등장배경 33
2. 유 형 34
3. 특성 및 비판 37
제3절 현대적 조직이론 37
1. 등장배경 37
2. 유 형 38
3. 특성 및 비판 42

제2편 경찰조직구조론
제1장 조직의 편성원리 및 유형
제1절 경찰조직의 편성원리 45
1. 분업의 원리 46
2. 계층제의 원리 50
3. 통솔범위의 원리 54
4. 명령통일의 원리 57
5. 조정의 원리 58
제2절 조직의 유형 62
1. 조직 유형의 개념 62
2. 기능조직 64
3. 계선-막료 조직 64
4. 위원회조직 66
5.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67
6. 임시조직 70

제2장 관 료 제
제1절 관료제의 의의 및 이론 73
1. 관료제의 개념 73
2. Max Weber의 관료제 이론 74
제2절 대표관료제 76
1. 대표관료제의 개념 76
2. 대표관료제의 대두배경 76
3. 대표관료제의 기능 77
4. 대표관료제의 문제점 78
제3절 애드호크라시 79
1. 애드호크라시의 개념 79
2. 애드호크라시의 특징 80
3. 애드호크라시의 유형 81
제4절 경찰관료제 82
1. 경찰관료제의 개념 82
2. 경찰관료제의 특성 82
3. 경찰조직의 관료제 형태 85

제3장 경찰제도 및 조직체계
제1절 경찰제도의 의의 및 유형 90
1. 경찰제도의 개념 90
2. 경찰제도의 유형 92
제2절 한국경찰의 역사 및 발전 96
1. 한국경찰의 역사 96
2. 한국경찰의 발전 103
제3절 한국경찰의 조직체계 111
1. 경찰조직의 구분 111
2. 경찰조직체계 121
3. 제주특별자치경찰단과 특별사법경찰 130

제3편 경찰기획 및 정책결정
제1장 경찰조직의 기획
제1절 경찰기획의 의의 및 본질 143
1. 경찰기획의 개념 144
2. 경찰기획의 중요성 145
3. 기획의 본질 146
제2절 경찰기획의 과정 및 단계 148
1. 경찰기획의 과정 148
2. 경찰기획의 단계 154
제3절 기획의 한계 162
1. 미래예측의 한계 162
2. 자료 및 정보의 부족 162
3. 정치적 인식 및 행정적 지원의 미흡 163
4. 기획가의 능력부족 163
5. 예산 및 관리제도의 비효율성 163
6. 시간과 비용의 제약 164

제2장 경찰정책결정
제1절 정책의 의의 및 구성요소 165
1. 정책의 개념과 특징 165
2. 정책의 구성요소 168
3. 정책의 유형 169
제2절 정책결정 173
1. 정책결정의 개념과 특징 173
2. 정책결정의 참여자 174
3.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176
4. 정책결정의 영향요인 188

제4편 경찰조직관리론
제1장 조직과 개인
제1절 조직과 개인의 관계 193
1. 태 도 194
2. 역 할 195
3. 자아개념 196
4. 지 각 197
5. 의사전달 198
제2절 동기부여이론 200
1. 내용이론 201
2. 과정이론 210
제3절 스트레스 및 시간관리 214
1. 스트레스 214
2. 시간관리 224

제2장 경찰리더십
제1절 경찰리더십의 의의 및 주요요소 229
1. 리더십의 개념 229
2. 경찰리더십의 주요요소 231
3. 경찰리더십의 유형 233
제2절 경찰리더십 관련 이론 237
1. 리더십이론의 흐름 237
2. 최근의 리더십이론 249

제3장 의사전달 및 갈등관리
제1절 의사전달 255
1. 경찰의사전달의 개념 256
2. 경찰의사전달의 유형 256
3. 경찰의사전달의 모델-Johari Window 263
4. 경찰의사전달의 장애요인 267
5. 효과적인 경찰의사전달 방안 272
제2절 갈등관리 273
1. 갈등의 개념과 기능 273
2. 갈등의 유형 275
3. 조직갈등의 발생요인과 갈등관리 281

제4장 경찰문화와 윤리
제1절 경찰문화 288
1. 경찰문화의 개념 및 특징 288
2. 경찰문화의 주요내용 290
3. 바람직한 경찰문화 형성방안 296
제2절 경찰윤리 297
1. 경찰윤리의 개념 및 중요성 297
2. 경찰윤리의 내용 298
3. 경찰부패 301
4. 경찰윤리 확보방안 305

제5장 경찰조직의 성과관리
제1절 성과관리 311
1. 성과관리의 개념 311
2. 성과관리제도의 등장배경 314
제2절 성과관리의 종류 316
1. 목표관리제 317
2. 총체적 품질관리 319
3. 균형성과관리 322
제3절 경찰청 치안종합성과평가 325
1. 치안종합성과평가의 개요 및 연혁 325
2. 치안종합성과평가의 주요내용 328
3. 치안종합성과평가의 성과 330

제6장 경찰정보관리
제1절 정보의 이해 333
1. 정보의 개념 및 요건 333
2. 정보순환 단계 335
3. 정보기관의 분류 339
제2절 정보경찰 조직 및 법적 성격 342
1. 정보경찰의 조직 342
2. 정보경찰의 활동에 관한 법적 성격 344
제3절 정보주도형 경찰활동 345
1. 정보주도형 경찰활동의 개념 및 도입배경 345
2. 정보주도형 경찰활동의 3I 모델 347
3. 정보주도형 경찰활동과 다른 경찰활동과의 패러다임 비교 348
제4절 정보공개제도의 이해 350
1. 정보공개제도의 개념 350
2. 정보공개제도의 추진배경 350
3. 정보공개제도의 필요성과 한계 353

제5편 경찰조직의 미래
제1장 경찰조직의 미래이론
제1절 학습조직이론 357
1. 학습조직이론의 개념과 특징 357
2. 학습조직 모델 361
3. 학습조직의 촉진요인과 저해요인 365
4. 경찰 내 학습조직 367

제2절 네트워크 조직 370
1. 네트워크 조직의 개념 및 유형 370
2. 네트워크 조직의 특성 및 장·단점 373

제2장 경찰조직의 개혁
제1절 경찰개혁 378
1. 경찰개혁의 개념 378
2. 성공적인 경찰개혁의 요건 379
3. 경찰개혁의 장애요인 380
제2절 최근 경찰개혁의 내용 381
1. 서민지향적 치안활동 382
2. 선진 법질서 확립을 통한 공정사회 구현 384
3. 인사정의 실현 및 직급구조 개선 386
4. 보수 및 근무체계 개선 389
5. 소통과 화합 390
제3절 경찰조직의 개혁방안 392
1. 경찰개혁과제의 지속적 추진 392
2. 경찰개혁의 공감대 형성 393
3. 제도적 정비 393

찾아보기 395

저자소개

저자 최응렬은
(학력)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경찰학/범죄학 전공)

(전) 계명대학교 경찰학부 교수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학장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부원장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원 부원장
동국대학교 대외협력본부장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원장
경찰청 마약류 유관기관 협의회 위원
경찰대학 치안연구소 연구위원(비상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자문위원

(현)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경찰청 성과평가위원회 위원(기획지원분과 위원장)
경찰청 국가위기협상 전문위원
경찰청 4대 사회악 근절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국가정보원 국제범죄 정책위원회 위원
국회입법지원 위원
한국경찰연구학회 고문
한국공안행정학회 고문
한국교정학회 부회장
한국경찰학회 회장
한국셉테드학회 이사

[저 서]
·현대사회와 범죄·(공저·2010)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2006)
·경찰개혁론·(편저·2006)
·경찰행정학·(편저·2006)
·경찰학개론·(공저·2006)

[시험 출제 및 면접위원]
◎ 사법시험 출제 및 선정위원
◎ 행정고등고시 출제 및 선정위원
◎ 제5급·제7급·제9급 국가고시 출제위원, 선정위원 및 면접위원
◎ 국가공무원 및 경찰공무원 채용 및 승진시험 출제위원 및 면접위원
◎ 외교부 해외주재관 공개모집 선발심사위원
◎ 경비지도사시험 출제위원 및 선정위원
◎ 신변보호사자격 검정 필기시험 출제위원 및 선정위원

도서소개

『경찰조직론』은 이번 개정판의 전반적인 내용은 초판과 마찬가지로 경찰조직과 관련된 내용을 깊이 있고 폭넓게 다루었고, 학부생들이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기술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찰조직 관련 법령 및 제도의 변화를 최대한 반영하였으나 조직은 환경과 상호 작용하면서 끊임없이 변화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러한 변화는 다음 기회에 반영할 예정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