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현대사회와 범죄학(5판)(양장본 HardCover) [경찰/경호]

현대사회와 범죄학(5판)(양장본 HardCover) [경찰/경호]

  • 허경미
  • |
  • 박영사
  • |
  • 2015-08-25 출간
  • |
  • 552페이지
  • |
  • 180 X 250 mm
  • |
  • ISBN 979113030213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31,68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68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얼마 전 서점에 들렀다가 빨강색 표지의 책 한 권을 발견하고 정말 반가웠다.
캐나다의 프린스에드워드 섬을 배경으로 한, 어린 고아 소녀의 성장기를 그린…아마 여기까지 읽고도 벌써 빨강머리 앤을 떠올릴 독자들이 꽤 많을 것이다.
그런데 범죄학자인 필자는 주인공 소녀보다도 그녀를 입양한 마릴라와 매슈 남매를 더 주목한다. 이들의 앤에 대한 무한한 사랑과 믿음, 그리고 일관성 있는 훈육이 앤을 에이번리 지역의 교사로 찬란하게 성장케 한 원동력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이른바 이슬람국가(IS)의 용사가 되겠다고 국경을 넘어 잔인한 살육현장의 가·피해자가 되는 어린 십대들과 친구를 성판매의 도구로 팔아넘기거나, 단순히 눈이 마주쳤다는 이유로 또래를 집단 폭행하고 사체를 훼손하는 청소년들 역시 누군가의 자녀이고, 이웃집 아이이다.
최근 범죄학계에서는 ‘사람은 성장하는 과정에 누구나 범죄적 환경에 노출될 수는 있지만, 모두가 성인 범죄자가 되진 않는다’라는 범죄발달론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 가설이 성립되려면 가족과 이웃, 학교, 국가가 일관성 있게 한목소리로 청소년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 천방지축의 빨강머리 앤을 훌륭한 지역사회의 자원으로 성장케 한 마릴라와 매슈가 그 답을 우리에게 보여주었다.
현대사회와 범죄학 제5판 개정판은 다음과 같이 좀 더 정교하게 범죄원인론 및 새로운 범죄유형, 그리고 그 대책 등을 제시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첫째, 가능한 가장 최신의 공식통계 및 법률 제·개정 정보를 반영하여 강의 및 연구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둘째, 대마초 흡연 및 성매매 등 일부 비범죄화 경향을 보이고 있는 범죄 및 관련 국가들의 최근 정책 변화를 세세하게 설명함으로써 관련 문제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변화를 교수와 학생, 그리고 연구자들이 함께 고민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다문화사회 및 IT사회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증오범죄, 테러, 조직범죄, 사이버범죄 등의 원인 및 현상, 그리고 세계적인 대응경향을 소개하고, 현재, 그리고 미래에 당면할 사회적 과제들을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그 방향성을 제시해 보았다.
넷째, 이 책은 대학의 ?범죄학?, ?현대사회와 범죄?, 혹은 ?현대사회와 문제?, ?사회병리학? 등의 교재로 사용하거나, 경찰공무원, 교정공무원, 경비지도사, 법원직이나 검찰직 등 공안직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수험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편성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모두 여섯 장으로 제1장 범죄 및 범죄학에 대한 이해, 제2장 범죄 원인에 대한 다양한 관점, 제3장 현대사회의 범죄유형, 제4장 범죄의 예방 및 피해자 지원, 제5장 형사사법기관, 제6장 범죄자 처벌 및 교정이 있다. 특히 제5장과 제6장을 통하여 범죄자에 대한 형사사법기관 및 교정기관 등을 정비하는 한편, 보호관찰, 수강명령 등을 시행하는 사회내처우기관을 새롭게 편입하여 형사사법기관제도를 모두 아우르도록 구성하였다.
유난히도 무더운 8월이다. 오늘 치료감호 대상자가 치료받던 병원에서 탈출했다는 소식과 플로리다주 경찰이 일가족 세 명이 종교적 의식살인인 일명 블루문(blue moon)살인을 당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벌인다는 소식 등이 폭염보다도 뜨겁게 인터넷 뉴스 사이트를 달구고 있다.
부디 현대사회와 범죄학이 이와 같은 복잡다단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희망하며, 그대가 있기에 행복하다는 꽃말을 가진 빨강색 제라늄 한 다발로 독자 여러분의 사랑과 관심에 감사드린다.

2015년 8월에
계명대학교 쉐턱관에서

저자 허경미

목차

제1장

범죄 및 범죄학에 대한 이해
제1절 범죄 및 범죄학에 대한 이해 | 3
1. 범죄의 개념 3
2. 범죄학의 개념 및 학문적 영역 5
제2절 범죄학의 연구방법 | 9
1. 공식범죄통계연구 9
2. 피해자조사연구 14
3. 자기보고식조사연구 16
4. 참여관찰연구 17
5. 실험연구 18

제2장
6. 사례연구 20

범죄 원인에 대한 다양한 관점
제1절 고전주의적 범죄원인론 | 23
1. 고전주의적 범죄학의 서막 23
2. 고전주의적 범죄학자 24
2.1 베카리아(Cesare Beccaria) 24
2.2 하워드(John Howard) 25
2.3 벤담(Jeremy Bentham) 26
2.4 포이어바흐(Paul J. A. Feuerbach) 27
3. 고전주의적 범죄학의 평가 27
제2절 초기 실증주의적 범죄원인론 | 29
1. 초기 실증주의 범죄학의 서막 29
2. 고전주의와 실증주의의 비교 30
3. 롬브로조의 생래적 범죄인론 30
4. 페리의 사회적 범죄원인론 33
5. 가로팔로의 심리적 범죄원인론 34
6. 케틀레의 통계론 및 타르드의 모방론 35
7. 초기 실증주의적 범죄원인론의 평가 36
제3절 생물학적 범죄원인론 | 38
1. 생물학적 범죄원인론의 서막 38
2. 유전과 범죄(heredity and crime) 40
2.1 가계사와 범죄 40
2.2 쌍생아 및 양자와 범죄 41
2.3 XYY 슈퍼메일과 범죄 42
2.4 모노아민효소와 범죄 43
2.5 성과 범죄(sex and crime) 45
2.6 체형과 범죄(body type and crime) 46
3. 신체생화학적 요인과 범죄
(chemical and environmental precursors of crime) 48
3.1 호르몬 이상과 범죄 48
3.2 포도당 등 이상과 범죄 49
3.3 뇌파 이상과 범죄 50
4. 생물학적 범죄원인론의 평가 51
제4절 심리학적 범죄원인론 | 53
1. 심리학적 범죄원인론의 서막 53
2. 정신장애와 범죄(mental disorder and crime) 54
2.1 정신장애의 개념 54
2.2 DSM·Ⅴ상 정신장애의 유형 55
2.3 정신분열증과 범죄 56
2.4 불안장애와 범죄 60
2.5 성격장애와 범죄 61
3. 정신분석이론과 범죄 70
4. 인지발달이론과 범죄 74
5. 욕구불만·공격이론과 범죄 77
6. 모델이론과 범죄 78
7. 행태이론과 범죄 79
8. 심리학적 범죄원인론의 평가 81
제5절 사회학적 범죄원인론 | 83
1. 사회학적 범죄원인론의 서막 83
2. 사회적 과정이론(social process theory) 84
2.1 사회적 과정이론의 의의 84
2.2 학습과 범죄 84
2.3 사회적 통제이론(social control theory) 89
2.4 사회적 낙인이론(social labeling theory) 94
2.5 드라마 연출과 범죄(dramaturgy and crime) 97
2.6 사회적 과정이론의 평가 98
3. 사회적 발달이론(social development theory) 99
3.1 사회적 발달이론의 의의 99
3.2 생애경로이론(life course theory) 101
3.3 연령·성숙이론(age·graded theory) 102
3.4 이원적 경로이론(two path theory) 103
3.5 비행적 발달이론(delinquent development theory) 105
3.6 진화론적 생태이론(evolutionary ecology theory) 106
3.7 사회적 발달이론의 평가 107
4. 사회적 구조이론(social structure theory) 108
4.1 사회적 구조이론의 의의 108
4.2 긴장이론(strain theory) 109
4.3 사회적 해체이론(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115
4.4 문화적 갈등이론(cultural conflict theory) 119
4.5 사회적 구조이론의 평가 127
5. 사회적 갈등이론(social conflict theory) 128
5.1 사회적 갈등이론의 의의 128
5.2 급진주의적 이론(radical theory) 129
5.3 갈등이론의 평가 133
6. 페미니스트 범죄이론(feminist crime theory) 134
6.1 페미니스트 범죄이론의 의의 134
6.2 페미니스트 범죄이론의 유형 136
6.3 페미니스트 범죄이론의 평가 137
7. 포스트모던 범죄이론(postmodern Criminology theory) 138
7.1 포스트모던이론의 의의 138
7.2 포스트모던 범죄이론의 대표적인 연구 138
7.3 포스트모던이론의 평가 139
8. 평화주의 범죄이론(peacemaking crime theory) 140

제3장

현대사회의 범죄유형
제1절 폭력 관련 범죄 | 145
1. 폭력(violence) 145
2. 살인(homicide) 146
2.1 살인의 개념 146
2.2 살인의 원인 147
2.3 살인의 실태 148
2.4 연쇄살인 152
3. 강도(robbery) 162
3.1 강도의 개념 162
3.2 강도의 원인 162
3.3 강도의 유형 163
3.4 강도의 실태 165
4. 가정폭력(domestic violence) 167
4.1 가정폭력의 개념 167
4.2 가정폭력의 가해자 및 피해자의 특징 168
4.3 가정폭력의 실태 170
4.4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175
4.5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제도 186
5. 아동학대 189
5.1 아동학대의 개념 189
5.2 아동학대의 원인과 유형 192
5.3 아동학대의 실태 198
5.4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 특례법 201
제2절 복수 및 증오 관련 범죄 | 211
1. 방화(arson) 211
1.1 방화의 개념 211
1.2 방화범의 유형 213
1.3 연쇄방화 220
2. 스토킹(stalking) 222
2.1 스토킹의 개념 222
2.2 스토킹의 처벌입법화 222
2.3 스토킹의 유형 224
2.4 스토킹의 피해자 228
3. 증오 및 제노포비아 범죄(hate and xeophobia crime) 231
3.1 증오범죄의 개념 231
3.2 증오범죄의 유형 233
3.3 각국의 증오범죄 관련 입법 234
3.4 증오범죄 피해자의 특징 238
3.5 증오범죄의 대응 243
4. 테러(terror) 248
4.1 테러의 개념 248
4.2 테러동기 및 형성과정 248
4.3 테러단체의 입단 및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252
4.4 테러범의 프로파일링 254
4.5 테러단체의 프로파일링 258
4.6 테러단체 리더의 역할 및 프로파일링 265
4.7 테러의 위협 및 대응 271
제3절 성범죄 및 제재 | 274
1. 포르노그래피(pornography) 274
1.1 포르노그래피의 개념 274
1.2 포르노그래피에 대한 처벌논쟁 277
1.3 현행 포르노그래피의 규제 및 실태 279
2. 성폭력 282
2.1 성폭력의 개념 282
2.2 성폭력의 실태 283
2.3 연쇄강간(serial rape) 285
3. 아동성범죄 294
3.1 아동성도착 294
3.2 아동성폭력 299
3.3 아동·청소년 성매수 303
4. 성매매(prostitution) 305
4.1 성매매의 개념 305
4.2 성매매 관련 국제사회의 태도 305
4.3 금지주의 307
4.4 비범죄주의 311
4.5 합법화주의 315
4.6 성매매의 합법화 및 범죄화의 쟁점 322
4.7 성매매 실태 324
4.8 성매매규제 법규 및 정책 324
5.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 332
6. 신상정보 등록제도 336
6.1 의의 337
6.2 등록대상 337
6.3 신상정보의 제출의무 337
6.4 등록정보의 관리 339
7. 신상정보 공개제도 340
7.1 의의 340
7.2 공개대상 340
7.3 공개정보 341
7.4 공개명령의 집행 341
7.5 열람권자 342
7.6 공개기간 342
8. 신상정보 고지제도 343
8.1 의의 343
8.2 고지대상 343
8.3 고지정보 343
8.4 고지기간 344
8.5 고지명령의 집행 344
9. 성범죄자의 취업제한 제도 345
9.1 의의 345
9.2 대상자 및 기간 345
9.3 취업금지 시설 등 346
9.4 범죄경력조회 347
9.5 해임 및 폐쇄, 벌칙 347
10. 성범죄자 전자감시제도 348
10.1 의의 348
10.2 전자장치 부착명령의 청구대상 350
10.3 청구시효 및 제한 351
10.4 부착명령 집행기간 및 청구기각 351
10.5 준수사항 및 위반시 제재 352
10.6 보호관찰소와 경찰과의 피부착자의 신상정보 제공 353
11. 성범죄자 화학적 거세제도 354
11.1 의의 354
11.2 약물치료명령의 청구대상 355
11.3 치료명령의 판결과 집행 356
11.4 준수사항 356
11.5 성폭력 수형자에 대한 치료명령 356
11.6 치료감호처분자에 대한 치료명령 357
제4절 청소년 비행 및 범죄 | 359
1. 청소년 비행(juvenile delinquency) 359
1.1 청소년 비행의 개념 359
1.2 청소년 비행의 원인 360
2. 소년범죄 369
2.1 소년범죄의 추세 369
2.2 소년 형법범 현황 371
2.3 소년 특별법범 375
2.4 소년범 프로파일링 377
2.5 소년범 처벌 379
제5절 화이트칼라범죄 및 사이버범죄 | 382
1. 화이트칼라범죄(white collar crime) 382
1.1 화이트칼라범죄의 개념 382
1.2 화이트칼라범죄의 원인 384
1.3 화이트칼라범죄의 유형 384
1.4 화이트칼라범죄의 특징 389
2. 사이버범죄(cyber crime) 392
2.1 사이버범죄의 개념 392
2.2 사이버범죄의 유형 392
2.3 사이버범죄의 특징 395
2.4 사이버범죄의 실태 399
2.5 사이버범죄에 대한 처벌법규 400
제6절 약물범죄 및 조직범죄 | 404
1. 약물범죄(drug crime) 404
1.1 약물범죄의 개념 404
1.2 약물범죄의 원인 405
1.3 약물의 종류 407
1.4 약물범죄의 실태 411
1.5 대마초의 비범죄화 414
2. 조직범죄(organized crime) 417
2.1 조직범죄의 개념 417
2.2 조직범죄의 특징 420
2.3 범죄조직의 활동영역 421
2.4 주요국의 범죄조직 428

제4장

범죄의 예방 및 피해자 지원
제1절 범죄의 예방 | 447
1. 범죄예방의 정의 447
2. 대표적인 범죄예방 전략 451
2.1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전략 451
2.2 지역사회의 범죄예방 전략 455
제2절 범죄의 피해자 지원 | 461
1. 범죄피해자의 정의 461
2. 피해자학의 역사 463
2.1 피해자학의 서막 463
2.2 1970년대 이후의 피해자학 465
3. 범죄피해 관련 이론 466
3.1 생활양식노출이론 466
3.2 일상활동이론 467
3.3 상호작용이론 470
4. 범죄피해자 지원 관련 법규 472
4.1 범죄피해자보호법 472
4.2 범죄피해자보호기금법 473
4.3 소송촉진등에 관한 특례법 473
4.4 형사소송법 474
4.5 기타 피해자보호 관련 특별법 475

제5장

형사사법기관
제1절 수사기관: 경찰 | 479
1. 경찰의 조직 479
1.1 경 찰 청 479
1.2 지방경찰청 482
1.3 경 찰 서 482
2. 경찰의 업무영역 483
2.1 기획·관리경찰 483
2.2 생활안전경찰 484
2.3 수사경찰 484
2.4 경비경찰 485
2.5 교통경찰 486
2.6 정보경찰 486
2.7 보안경찰 486
2.8 외사경찰 487
3. 경찰공무원 487
제2절 기소기관: 검찰 | 489
1. 검찰의 조직 489
1.1 대검찰청 489
1.2 고등검찰청 490
1.3 지방검찰청 490
1.4 지방검찰청지청 491
2. 검찰의 업무영역 491
3. 검 사 493
제3절 재판기관: 법원 | 495
1. 법원의 조직 495
1.1 대법원 495
1.2 고등법원 498
1.3 지방법원 499
1.4 전문법원 500
2. 심급제도 501
2.1 민형사사건의 3심제 501
2.2 행정소송의 3심제 502
3. 법 관 503
제4절 형벌집행: 교정 및 보호관찰 | 506
1. 교정의 조직 506
1.1 교정본부 506
1.2 지방교정청 507
1.3 교 도 소 508
1.4 민영교도소 511
1.5 구치소 512
2. 보호관찰의 조직 513
2.1 범죄예방정책국 513
2.2 보호관찰소·지소 514
3. 교정 및 보호관찰공무원 514

제6장

범죄자 처벌 및 교정
제1절 범죄자 처벌 | 519
1. 범죄자 처벌의 의의 519
2. 형벌의 종류 520
2.1 생 명 형 521
2.2 자 유 형 526
2.3 자 격 형 528
2.4 재 산 형 529
제2절 범죄자 처우 | 531
1. 구금처우 531
1.1 구금처우의 이념 531
1.2 분류심사 533
1.3 수용처우 534
2. 사회내처우 537
2.1 사회내처우의 의의 537
2.2 사회내처우의 역사 537
2.3 사회내처우의 유형 및 준수사항 538
2.4 보호관찰의 민영화 540
찾아보기 | 541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 553

저자소개

저자 허경미는
학 력
-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찰행정학과 졸업(법학 박사)
-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공안행정학과 졸업(행정학 석사)
- 동국대학교 법정대학 경찰행정학과 졸업(행정학 학사)

경 력
현) 계명대학교 법경대학 경찰행정학과 교수
한국공안행정학회 회장
한국소년정책학회 출판이사
한국교정학회 편집위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자문위원
법무부 인권교육 강사
대구지방검찰청 형사조정위원회 위원
대구지방검찰청 형집행정지심의위원회 위원
대구경북지방노동위원회 차별심판 공익위원
대구광역시 인사위원회 위원
경찰청 인권위원회 위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폭력교육모니터링 전문위원

전) 경찰대학 경찰학과 교수(1997-2002)
법무부 범죄예방전문위원
법무부 범죄예방국 심사승진 역량평가위원
여성가족부 원스톱 지원센터 중앙운영위원회 위원
여성가족부 양성평등교육진흥원 외래강사
대구광역시 여성정책위원회 위원
대구지방경찰청 시민인권보호위원회 부위원장
대구지방경찰청 시민감찰위원회 위원
한국범죄심리학회 부회장
한국시큐리티정책학회 부회장
대구광역시 성매매 집결지 정비사업추진자문위원회 위원
행정자치부 행정직 채용·승진시험 출제·선정위원
한국산업인력공단 경비지도사 자격증시험 출제위원
경찰청 경무기획국 업무평가위원
국립중앙도서관 도서선정위원(범죄학 부문)
동국대학교, 한남대학교, 용인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출강 등

수상경력
계명대학교 최우수강의교수상(2008)
한국공안행정학회 학술상(2009)
대통령표창(2013)

저서 및 논문

1. 경찰행정법, 법문사, 2003
2. 정보학특강,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5
3.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혁신과 발전에 기여할 기본법 제정을 위한 연구 및 법령제정안 및 기준(지침)안 작성, 국립과학수사연구소, 2006(공저)
4. 전국 성매매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07(공저)
5. 조직폭력범죄의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공저)
6. 범죄 프로파일링(criminal profiling) 기법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08
7. 경찰학개론, 박영사, 2008, 2011 개정판, 2013 제3판
8. 객관식 경찰학개론, 2008(공저)
9. 피해자학, 박영사, 2011
10. 경찰인사론, 박영사, 2013
11. 허경미, 미국의 보호관찰 민영화의 한계에 관한 연구, 矯正硏究, , 105~128,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3-31
12. 허경미, 강력범 피해실태 및 피해자지원 정책방향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41~274,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3-31
13. 허경미, 신자유주의 시대의 경찰 패러다임 변화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215~236,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4-30
14. 허경미, 미국의 종교교정의 실태 및 도입모델 연구, 경찰학논총, 25,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5-31
15. 허경미, 핵티비즘 관련 범죄의 실태 및 대응,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67~398,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9-30
16. 허경미, 영국의 보호관찰 민영화에 관한 연구, 矯正硏究, 69~92,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09-30
17. 허경미, 미국의 민영교도소의 쟁점에 관한 연구, 矯正硏究, 165~186,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2-12-31
18. 허경미, 수사기관의 피의사실 공표죄의 논쟁점,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81~310,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3-06-30
19. 허경미, 미국 전자감시제의 효과성 및 정책적 시사점연구, 矯正硏究, 35~60, 전국규모전문학술지, 2013-06-30
20. 허경미,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분석: 시민의식과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45~274, 전국규모학술지, 2015-06-30

도서소개

▶ 이 책은 현대사회와 범죄학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현대사회와 범죄학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