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남강오백리 물길여행

남강오백리 물길여행

  • 권영란
  • |
  • 피플파워
  • |
  • 2016-09-05 출간
  • |
  • 424페이지
  • |
  • 153 X 226 X 25 mm /635g
  • |
  • ISBN 979118635108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 소개

아버지와 함께한 물 따라 길 따라 ‘물길여행’
남강이 품은 전설과 풍경, 그리고 민중생활사를 만나다

[남강오백리 물길여행]은 남강을 보며 평생을 살아온 아버지와 딸이 함께한 걸음이다.

지금까지 남강을 주인공으로 한 책은 없었다. 남강은 돋보이지 않고 묵묵하게만 흐르던 강이었다. 그 때문에 남강 가에 살던 사람들에 대한 기록도 없었다. 이 책은 최초로 남강을 터전으로 살아온 이들의 삶을 기록한 책이기도 하다.

자랑스러운 인물 이야기, 민중의 절규가 서린 역사 현장… 특히 저자는 물길 곳곳에 묻힌 이야기에 주목했다. 사람들 입을 타고 내려온 이야기를 모으고, 철저한 자료 조사를 통해 기록으로서의 가치도 높였다. 이 책에 ‘여행’이라는 이름을 붙이긴 했지만 여행 안내서나 여행 에세이와 거리가 멀다. 여행을 통해 발굴한 민중생활사를 담은 책이라 하는 게 더 맞다.

남강 물줄기 189km 따라 여행을 떠나 보자. 즐겁기만 한 여행은 아니다. 아름다운 풍경에는 아픈 역사가 스며있고 고된 삶을 강물은 바라보기만 할 뿐이다. 그래서 이 책을 꼭 읽어야 한다. 남강의 이야기는 잊혀서는 안 될 민중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남강(南江), 이 물길 어디에서 왔을까
500리 물길 따라가며 만난 자연과 역사 그리고 사람

진주 남강 가에서 흐르는 물길을 바라보고 섰다. 촉석루, 진주성을 지나 도도히 흘러가는 강물을 보다 시선을 반대로 거슬러 돌려본다.

문득 오래된 기억 속 고향 같은 남강이 궁금해졌다. 남강 물을 마시고 남강 가에서 놀았지만 이 물이 어디서 온 것인지, 이 강의 가치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다.

그래서 남강물이 태어나는 곳부터 찾았다. 물소리는 들리지만 물이 보이지 않는 남덕유산 골짝에서 저자의 걸음은 시작된다. 산줄기를 따라 곳곳에서 모여든 연약한 물줄기는 계곡, 시내, 강, 댐을 채우는 물이 된다. 그 유유한 물길을 따라 사람들이 모인다. 더 풍부하게 듣고 담기 위해 아버지와 함께 길을 나섰다. 그렇게 남강오백리 물길여행은 시작된다. 어림잡아도 189km라는 남강 물길을 부지런히 따라다녔다.

물길을 따라가니 가는 곳마다 당연히 물이다. 강가 사는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눠도 이 남강 없이는 나눌 이야깃거리가 없다. 강은 강가 사람들의 터전 그 자체다. 남덕유산과 지리산, 두 명산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린 물길을 다 모은 것이라는 남강은 물길여행을 하면서 이름이 요리조리 바뀐다. 강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산, 숲 속, 시내, 계곡, 호수, 댐을 지나는 물에게 ‘남강’이라 부르기도 조금 쑥스럽다. 그래서 ‘남강여행’이 아닌 ‘물길여행’이다.

[남강오백리 물길여행]은 한 장 한 장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책이다. 물길 따라가며 만난 전설, 역사, 사람 이야기가 이 책을 가득 채우고 있다. 홍수를 다스리기 위한 함양 상림, 곽재우와 의병들이 왜적을 몰살시킨 정암진, 왜장을 껴안고 투신한 진주 관기 논개… 고장을 대표하는 자랑스러운 이야기라며 사람들은 지역 이름을 내세울 뿐 그 이야기에 얽힌 남강은 늘 뒷전이었다.

남강 물길은 낙동강을 향해 간다. 저자는 낙동강과 합수하는 강물을 보며 물길여행을 마쳤다. 하지만 마음이 후련하지 않다. 온전하게 흐르는 강을 끊고, 가두고, 망가뜨린 대가로 강물은 독(毒)을 품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이 그물로 고기를 잡던 강, 강모래를 돗자리 삼아 소풍 즐기던 강… 그 강이 사라질지 모른다. 강을 지키는 것은 우리를 지키는 것과 같다. 그래서 이 물길여행이 남긴 기록은 더욱 값지다.


목차


1. 남덕유산 골짝에서 첫 물길을 이루다
-남강 발원지 남덕유산 참샘
물길의 시작과 끝이 모두 경남이라 / 진주 남쪽 1리에 있어 남강이라 / 최장발원지가 어디냐고 묻는다면 / 참샘을 찾아 오르다 / 다양한 식생, 살아있는 자연에서 물길 이루고 / 마침내 남강 발원지, 남덕유산 참샘 / 참샘은 산꾼이나 화전민의 식수원

2. 개울은 강이 되어 마을 속으로 사람 속으로
-경남 함양군 서상면 영각교에서 구평교까지
상남리 골짝 사람들은 정작 남강을 모르더라 / 마을에서는 족대로, 어항으로 고기잡이하고 / 지척에 ‘전 논개묘역(傳 論介墓域)’이 있다 / 구평들녘 수많은 시름을 담아 서하로 흘러가고

3. 꽃부리징(鉦) 울리며 천하절경 화림동으로
-함양군 서상면 구평교에서 서하면 서하교까지
세 갈래 물길이 만나는 곳에 징(鉦) 터가 있는 까닭 / 마을 수호신이 된 운곡리 은행나무 이야기 / 안의삼동 중 남강 본류를 낀 화림동 계곡

4. 농월정에서 달을 기다리다 심진동에 오르다
-함양군 서하면 서하교에서 지곡면 남효교까지
월연암에 앉아 달 뜨기를 기다릴까 / 남강 지류 지우천에 최초 물레방아가 있었다 / 남강은 안의면에 닿아 금호강이라 불린다

5. 위천에서 고운 최치원과 남도부 하준수를 만나다
-함양군 지곡면 남효교에서 유림면 성애교까지
처서 지나 다리 짓고 망종 때는 허물고 / 천지간의 일두(一?) 정여창과 남계서원 / 남강 지류 위천변에 남도부 하준수 고향 있다 / 최치원은 물길 잡아 함양 상림을 펼쳐놓았다

6. 강 때문에 울고 웃었던 함양·산청 사람들
-함양군 유림면 성애교에서 산청군 생초면 고읍교까지
본통재가 원래 분통(憤痛)재였던 까닭 / 임천과 남강이 만나는 강정 두물머리 / 강 때문에 먹고살고 강 때문에 운다

7. 람천 물길 한가운데 너럭바위가 붉은 이유는
-전북 남원시 운봉읍에서 인월면 풍천교까지
백두대간 골짝물들이 람천을 이루었다 / “태조 이성계의 황산대첩 승전을 기록하라” / 인월면 피바위…달을 끌어당겨 적장을 쏘다 / 람천을 건너 인월장터에 가다

8. 뱀사골은 여순사건을 기억하고 있다
-전북 남원시 인월면 풍천교에서 산내면 소재지까지
변강쇠전 배경은 남원 땅일까 함양 땅일까 / 산내면 귀농·귀촌인들은 ‘뭔가 다르다’ / 지리산 고봉 물길들이 만수천을 이뤄 / 뱀사골 계곡에서 여순사건은 종결됐다

9. 천년고찰 실상사 ‘격변의 시대’ 민중의 부처로
-전북 남원시 람천교에서 함양군 의탄교까지
실상사는 흩어진 지기(地氣)를 모으고 지켜 / 칠선계곡 물길도 임천으로 흘러들고

10. 용유담 아홉 마리 용들은 어디로 가고
-함양군 마천면 의탄교에서 휴천면 용유교까지
오도재는 지리산제일문이라 / 용유담에서 용들과 노닐다

11. 방곡에서 자혜나루를 건너 학살은 계속됐다
-함양 마천면 문정리에서 산청 생초면 상촌리 곱내들까지
지리산댐(문정댐) 예정지는 온통 가을빛 / 나루터와 줄배 이야기 / 민간인 학살 아픔 서린 4개 마을

12. 산청 물은 마음병까지 씻은 듯이 낫게 해
-산청군 생초면 곱내들에서 산청읍 경호교까지
생초 골짜기 물꼬싸움 이야기 / 생초면 하둔마을은 새마을금고 발상지 / 류의태 말고 명의 신연당 유이태가 있었다 / 대포서원(大浦書院)과 서계서원(西溪書院)

13. 경호강에 대 띄워보내 진주 남강에서 건져
-산청군 산청읍 경호교에서 신안면 신안리 명동마을까지
산청초등학교에는 ‘거북돌’이 있다 / 크고 작은 산이 흐르는 물길을 호위하고 / 새고개 임걸룡 전설과 참전기념공원 / 솔밭 잉어도 팔아먹고 대도 팔아먹고 / 도천서원(道川書院)과 삼우당 문익점 묘

14. 물난리 잦던 양천에는 도깨비가 보를 만들고
-산청군 신안면 신안리 명동마을에서 단성면 묵곡리까지
옛 신안나루터와 ‘밀침방아’ / 적벽산과 읍청정(揖淸亭) / 원지 두물머리와 양천강 이야기 / 물길을 모아 진양호로 향하다

15. 푸른 무청 대평들은 붉은 딸기로 꽉 차고
-산청군 단성면 새들교에서 진주시 대평면 대평리까지
충의공 대소헌 조종도는 누구인가? / 소남진(召南津) 이야기 / 대평리 한들이야기

16. 진양호, 낙동강 수계 최초의 인공호수
-진주시 대평면 대평교에서 당촌리까지
벗들은 섬이 되고 물을 건너 밭에 가다 / 귀곡동은 섬이다, 섬이 아니다? / 엄마 우리 엄마, 얼마나 배고팠으면…

17. 진주농민항쟁은 산청 덕산장터에서 시작됐다
-산청군 삼장면 유평골에서 사천시 곤명면까지
대원사와 가랑잎초등학교 / 옛 추억은 실타래처럼 술술 풀리고 / 이 골짜기 이 물길이 예사롭지 않다

18. 다목적댐 남강댐 아래 진주성이 있다
-진주시 진수대교에서 진주교까지
너우니와 굴바위를 찾아서 / 남강과 기개 높은 진주 여성들 / 남강이 키운 근대사 속 진주 인물들

19. 도동 모래벌은 사라졌지만 물길은 기억한다
-진주시 진주교에서 남강교까지
1980년 5월 시위대의 ‘남강도하작전’ / 1970년 도동지구 개발에 큰들은 사라지고 / 김시민대교를 지나 남강교로

20. 소 몰고 정권에 저항하던 역사 현장 지금은…
-진주시 남강교에서 집현면 덕오교까지
‘금산잠수교’ 그리고 1985년 소몰이 시위 / 붕덤이 부엉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21. 툭하면 물에 잠겼던 들판은 풍요의 땅으로
-진주시 집현면 덕오교에서 대곡면 대곡리까지
단목들은 비닐하우스로 꽉 차고 / 진주교도소, 1989년 대곡면으로 이전 / 이제야 돈이 되는 마 농사

22. 학살 아픔 감싸 안고 무심히 봄은 피는데
-진주시 진성면 월강교에서 지수면 용봉리까지
나루터 자리엔 월강교가 놓이고 / 길에서 만난 생명평화 도보순례단 / ‘솥단지 급식’ 지수초교가 있다 / 용봉 모래땅에 우엉 싹 올라오고

23. 장박나루는 진주·의령·함안지역 주요 뱃길
-진주시 지수면 청담리에서 의령군 화정면 상정제를 지나 장박교까지
물길은 진주 동쪽 끝 고랑마을에 닿았다 / 염창-장박나루엔 장박교가 놓이고 / 강변 제방은 ‘남강 자전거길’로 닦여

24. 정암진은 남강에서 가장 큰 나루터였다
-의령·진주의 경계 장박교에서 함안·의령 경계의 정암철교까지
의령·함안·진주 곁에 관란정이 있다 / 강변 뻘굼티논에 고소득 작물을 키워 / 정암진(鼎巖津)을 아십니까

25. 붉은 옷의 의병장 곽재우, 최초 의병 일으키다
-의령군 의령읍 정암진에서 함안군 법수면 석교천까지
곽재우(郭再祐)는 누구인가 / 지략가 홍의장군(紅衣將軍) / 강 가운데 모래톱은 어느 동네 땅?

26. 물길 거스르지 않은 둑…치수란 모름지기 이래야
-함안군 법수면 석교천에서 악양 둑방까지
남강 변 백산들에는 번호가 있다 / 외범이산 ‘콧등 명당’을 차지한 이는? / 악양 둑방, 남강을 고스란히 품은 길

27. 해 질 녘 울음이 타는 강 보겄네
-함안군 함안천에서 함안·의령 잇는 마지막 다리 송도교까지
바위틈 빠져나오니 푸른빛 그리고 악양루 / 건립 뒤 수시로 의혹 제기된 노래비 / 낙동강 가까워질수록 물결은 잔잔해지고

28. 마침내 남강 500리 끝…물빛이 다르다
-함안군 송도교에서 의령군 지정면 기강나루까지
물굼티 이어 한심이들까지 / 보덕각·쌍절각에 새겨진 의병정신 / 반구정·합강정에서 남강을 톺아보다

저자소개

저자 : 권영란 저자 권영란은 나이 40세에 늦깎이 기자가 됐다. 2005년~2007년 [진주신문] 편집국장을 지냈고, 2012~2015년 경남도민일보 프리랜서 기자로 일했다. 현재 인터넷언론 [단디뉴스] 대표이자 취재기자로, [한겨레] 신문에 ‘지역이 중앙에게’라는 칼럼을 쓰고 있다. 1999년 제49회 개천문학상(시 부문)을 수상했고, [하동군 문화관광스토리텔링] 등 여러 작업에 참여했다. 저서로는 경남의 대표 전통시장을 스토리텔링한 [시장으로 여행가자](2014, 도서출판 피플파워)가 있다.

도서소개

[남강오백리 물길여행]은 물길 따라가며 만난 전설, 역사, 사람 이야기를 담은 책으로, 남강이 품은 전설과 풍경, 그리고 민중생활사를 만나볼 수 있도록 쓴 책이다. 홍수를 다스리기 위한 함양 상림, 곽재우와 의병들이 왜적을 몰살시킨 정암진, 왜장을 껴안고 투신한 진주 관기 논개… 고장을 대표하는 자랑스러운 이야기라며 사람들은 지역 이름을 내세울 뿐 그 이야기에 얽힌 남강은 늘 뒷전이었다. 그렇게 남강은 돋보이지 않고 묵묵하게만 흐르던 강이었다. 이 책은 최초로 남강을 터전으로 살아온 이들의 삶을 기록한 책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