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먼저 먹이라

먼저 먹이라

  • 마더 테레사
  • |
  • 학고재
  • |
  • 2016-08-25 출간
  • |
  • 420페이지
  • |
  • 153 X 225 X 31 mm /638g
  • |
  • ISBN 9788956253411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7,000원

즉시할인가

15,3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5,3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2016년 9월 4일 ‘자비의 특별 희년’ 마더 테레사의 시성식 개최
마더 테레사의 삶을 집대성한 단 한 권의 책


빈자의 성녀로 알려져 있는 마더 테레사의 삶과 업적을 집대성한 책 『먼저 먹이라: 마더 테레사, 무너진 세상을 걸어간 성녀』(도서출판 학고재)가 그의 시성식에 맞추어 영어와 한국어판으로 동시 출간되었다.

2016년 9월 4일은 많은 사람들에게 특별한 날로 기억될 것이다. 자비의 특별 희년을 맞아 프란치스코 교황이 집전하는 마더 테레사의 시성식이 열리기 때문이다. 1997년 9월 5일 세상을 떠난 마더 테레사는 사후인 2003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시복되었으며 이제는 공식적으로 성인?성녀(saint)의 반열에 들게 되었다. 바티칸에서는 이번 시성식을 위해 마더 테레사 기념우표를 제작하여 9월 2일부터 선보이는 등 전 세계적인 행사로 준비하고 있다.

이 책 『먼저 먹이라』는 마더 테레사의 시성식을 기념하기 위하여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그분이 보여주었던 말과 행동을 집대성하여 엮은 책이다. 이 책을 엮은 브라이언 콜로제이축 신부는 마더 테레사의 시복 및 시성 청원자이며, 1997년 마더 테레사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20년간 함께 활동했던 최측근이기도 하다.

이 책은 마더 테레사가 몸소 실천했던 자비와 사랑을 꾸밈없이 보여주는데, 이는 “자비의 육체적?영적 실천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기를 간절히 바라”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요청에 응답하는 것이다. 마더 테레사의 본보기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요청대로 “가난이라는 비참함에 무뎌진 우리의 양심을 다시 일깨워”주게 되는 것이다.

마더 테레사는 굶주리고 아픈 사람들을 보면, 다른 것을 생각하기 전에 먼저 그들을 먹이고 씻긴 다음에 그 영혼을 돌보았다. 제목인 ‘먼저 먹이라’는 말은 “뱃속이 빈 사람은 하느님을 생각하기가 힘듭니다. 예수께서는 사람들에게 먹을 것을 주셨습니다.”라고 말해 왔던 마더 테레사의 가르침을 담고 있다.
그렇다고 마더 테레사가 빵과 밥에 대한 굶주림만 이야기한 것은 아니다. 사랑과 관심이 모자라서 고통받는 굶주림 역시 항상 이야기했다. 따라서 ‘먼저 먹이라’는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주위에 우리가 바라보아야 할 아픔이 존재한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도전이다.

마더 테레사는 그야말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이었다.
자비의 14가지 육체적 영적 활동으로 나뉘어 있는 각 장에는 마더 테레사의 말과 글(Her Words), 마더 테레사의 실천과 그에 대한 증언(Her Example)을 담았다. 또한 각 장의 끝부분에는 성찰을 위한 짧은 글(Reflection)과 기도(Prayer)가 나온다.
이 책에 담긴 내용은 진실성을 위해 최소한의 편집만 거쳐 소개되는 것이다. 다만 관련된 사람들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기 위해 개인의 이름보다는 그 개인에 관한 짧은 설명을 미주로 표시했다.

한국에도 마더 테레사를 흠모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책이 출간되었다. 하지만 이 책만큼 마더 테레사에 대한 다양한 문서와 풍부한 일화를 모아놓은 책은 없다. 이 책은 “비범한 사랑으로 평범한 것들을” 해나가는 그분의 모습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책으로 오래도록 남아 있을 것이다.

목차

마더 테레사의 책 출간에 부쳐 6
마더 테레사의 시성식을 맞이하며 9
머리말 12

하나, 굶주린 이에게 먹을 것을 주다 21
둘, 목마른 이에게 물을 주다 49
셋, 헐벗은 이에게 옷을 주다 63
넷, 집 없는 이에게 쉴 곳을 81
다섯, 병든 이를 찾아가다 113
여섯, 감옥에 갇힌 이를 찾아가다 149
일곱, 죽은 이를 묻어주다 167
여덟, 모르는 사람을 가르치다 187
아홉, 의심하는 이에게 조언하다 213
열, 죄지은 이를 타이르다 237
열하나, 부당함을 인내하며 견디다 271
열둘, 모욕을 기꺼이 용서하다 307
열셋, 고통받는 이를 위로하다 337
열넷, 산 자와 죽은 자를 위해 기도하다 371

맺음말 400
미주 402

저자소개

저자 마더 테레사 Mother Teresa는 1910년 마케도니아의 스코페에서 ‘아네저 곤제 보야지우Anjez? Gonxhe Bojaxhiu’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1928년 수녀가 되기로 결심하여 로레토 수녀회에 지원하였고, 이듬해 인도로 파견되어 학생들을 가르치며 봉사를 시작한다.
“가난한 사람들 중에서도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라는 하느님의 부름을 받고 사랑의 선교회를 설립하여 세계 각지에 구호시설을 세웠다. 가난하고 아픈 사람들을 위해 몸을 내던진 마더 테레사의 활동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고, 사랑의 선교회는 캘커타를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
1979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고 1980년 인도의 최고 시민 훈장인 바라트 라트나를 수여받았다. 1997년 영면에 들었으며 장례는 인도 국장으로 치러졌다. 2003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시복되었고, 2016년 프란치스코 교황이 집전하는 시성식에서 성녀로 추대되었다.

도서소개

마더 테레사의 삶과 업적을 집대성한 책.

2016년 9월 4일은 자비의 특별 희년을 맞아 프란치스코 교황이 집전하는 마더 테레사의 시성식이 열리는 날이다. 1997년 9월 5일 세상을 떠난 마더 테레사는 사후인 2003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시복되었으며 이제는 공식적으로 성인 성녀의 반열에 들게 되었다. 『먼저 먹이라』는 빈자의 성녀로 알려져 있는 마더 테레사의 삶과 업적을 집대성한 책으로 그의 시성식에 맞추어 영어와 한국어판으로 동시 출간되었다.

마더 테레사가 몸소 실천했던 자비와 사랑을 꾸밈없이 보여주는 이 책은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그분이 보여주었던 말과 행동을 집대성하여 엮었다. 마더 테레사는 굶주리고 아픈 사람들을 보면 다른 것을 생각하기 전에 그들을 먹이고 씻긴 다음 그 영혼을 돌보았다. 책의 제목인 ‘먼저 먹이라’는 말은 “뱃속이 빈 사람은 하느님을 생각하기가 힘듭니다. 예수께서는 사람들에게 먹을 것을 주셨습니다.”라고 말해 왔던 마더 테레사의 가르침을 담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