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김영환 형사소송법(2016)

김영환 형사소송법(2016) 법무사 법원행시 법원검찰승진 5급공채 변호사시험 사법시험

  • 김영환
  • |
  • 학연
  • |
  • 2016-08-22 출간
  • |
  • 789페이지
  • |
  • 189 X 260 X 34 mm /1298g
  • |
  • ISBN 9791158240981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4,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리말

1. 2016년판을 내며
2016년판에서는 최근 형사소송법의 일부개정(2015. 7. 29., 2016. 1. 6., 2016. 5. 29.)을 반영·소개하였고, 2015년 7월 이후의 각종 기출문제 및 중요 판례를 추가하였습니다.그리고 구판의 내용 중 출제가능성이 낮은 형사소송법의 지도이념, 수사의 종결, 불기소처분 등은 삭제하여 100여 쪽의 분량을 줄였습니다.

2. 개정법의 내용
⑴ 2015. 7. 31. 일부개정(법률 제13454호, 시행 2015.7.31)
①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2011헌가36) 취지에 따라 법원의 구속집행정지결정에 대한 검사의 즉시항고권(제101조 제3항)을 삭제하고, 각 지방검찰청에 형집행정지 심의위원회를 설치하도록 하는 근거를 법률에 마련하였고(제471조의2), ② 사람을 살해한 범죄(종범은 제외)로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에 대하여 공소시효를 폐지하고, 이 법 시행 전 행하여진 범죄로써 이 법 시행 당시 공소시효가 완성되지 아니한 범죄에 대하여도 이를 적용하도록 하였고(제253조의2 신설, 부칙 제2조), ③ 헌법불합치결정(2008헌가13) 취지에 따라 판결선고 후 판결확정 전 구금일수 전부를 본형에 산입하도록 하였습니다(제482조 제1항 등).
⑵ 2016. 1. 6. 일부개정(법률 제13720호, 시행 2016.1.6)
①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2008헌마578 등) 취지에 따라 재정신청 기각결정에 대하여 제415조에 따른 즉시항고를 할 수 있도록 하였고(제262조 제4항 전단), 재정신청이 있으면 재정결정이 확정될 때까지 공소시효의 진행이 정지되도록 하였습니다(제262조의4 제1항). 그리고 ② 벌금, 과료, 소송비용 등의 분할납부제도도 도입하였습니다(제477조 제6항 신설).
⑶ 2016. 5. 29. 일부개정(법률 제18769호, 시행 2016.5.29)
① 재판장은 피해자, 증인 등 사건관계인의 생명 또는 신체의 안전을 현저히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소송계속 중의 관계 서류 또는 증거물의 열람 복사에 앞서 사건관계인의 성명 등 개인정보가 공개되지 아니하도록 보호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였고(제35조 제1항, 제3항, 제4항),
② 제313조 제1항 본문에도 불구하고 진술서(피고인 또는 피고인 아닌 자가 작성하였거나 진술한 내용이 포함된 문자 사진 영상 등의 정보로서 컴퓨터용디스크,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것을 포함한다)의 작성자가 공판준비나 공판기일에서 그 성립의 진정을 부인하는 경우에는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감정 등 객관적 방법으로 성립의 진정함이 증명되는 때에는 증거로 할 수 있도록 하되, 피고인 아닌 자가 작성한 진술서는 피고인 또는 변호인이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 그 기재 내용에 관하여 작성자를 신문할 수 있었을 것을 요하도록 하였고(제313조 제1항 본문, 제2항 제3항), 제314조 본문을 “조서 및 그 밖의 서류(피고인 또는 피고인 아닌 자가 작성하였거나 진술한 내용이 포함된 문자·사진·영상 등의 정보로서 컴퓨터용디스크,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것을 포함한다)”로 변경하였고,
③ 재심에서 무죄의 선고를 한 때 피고인 등 재심을 청구한 사람이 원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예: 간통죄에 대한 재심법원에서의 무죄판결시) 재심 무죄판결을 공시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제440조).

3. 추가된 최근 판례들
⑴ 2016년
① 형사소송법 제72조 규정은 피고인을 구속함에 있어 법관에 의한 사전 청문절차를 규정한 것으로서 법원이 피고인에 대하여 구속영장을 발부함에 있어 사전에 제72조의 규정에 따른 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채 구속영장을 발부하였다면 그 발부결정은 위법하지만, 이미 변호인을 선정하여 공판절차에서 변명과 증거의 제출을 다하고 그의 변호 아래 판결을 선고받은 경우 등과 같이 위 규정에서 정한 절차적 권리가 실질적으로 보장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청문절차 흠결의 위법이 치유될 수 있다는 대결 2016.6.14. 2015모1032, ② 수사기관이 별건압수물을 피압수자 등에게 환부하고 후에 임의제출받아 다시 압수한 경우, 제출에 임의성이 있다는 점에 관하여는 검사가 합리적 의심을 배제할 수 있을 정도로 증명하여야 하고, 임의로 제출된 것이라고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는 대판 2016.3.10. 2013도11233, ③ 현행범 체포현장 또는 범죄장소에서 소지자 등이 임의로 제출하는 물건을 형사소송법 제218조에 따라 영장 없이 압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검사·사법경찰관이 사후에 영장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대판 2016.2.18. 2015도13726, ④ 제365조에 따라 항소심에서 피고인 진술 없이 판결하기 위해서는 피고인이 적법한 공판기일 통지를 받고서도 2회 연속 불출석이어야 한다는 대판 2016.4.29. 2016도2210, ⑤ ‘영상녹화물이나 그 밖의 객관적인 방법’에 조사관 또는 조사과정에 참여한 통역인 등의 증언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대판 2016.2.18. 2015도16586 등이 있습니다.
⑵ 2015년
① 지방법원 지원에 제1심 토지관할이 인정된다는 사정만으로 당연히 지방법원 본원에도 제1심 토지관할이 인정된다고 볼 수는 없다는 대판 2015.10.15. 2015도1803, ② 진술거부권 고지 대상이 되는 피의자 지위는 수사기관이 조사대상자에 대한 범죄혐의를 인정하여 수사를 개시하는 행위를 한 때 인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피의자 지위에 있지 아니한 자에 대하여는 진술거부권이 고지되지 아니하였더라도 진술의 증거능력을 부정할 것은 아니라는 대판 2015.10.29. 2014도5939, ③ 피고인들의 이해가 상반되는 경우에 동일한 국선변호인의 선정은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피고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는 대판 2015.12.23. 2015도9951, ④ 소송조건 흠결이 경합된 경우(공소기각판결의 사유와 무죄판결의 사유)에 피고인의 이익을 위하여 예외적으로 무죄판결을 할 수 있다는 형식재판 우선원칙에 대한 예외를 인정한 대판 2015.5.14. 2012도11431, ⑤ 소송조건의 존부는 법원의 직권조사사항이므로 고소권자가 비친고죄로 고소한 사건을 검사가 친고죄로 구성하여 공소를 제기한 경우, 법원이 친고죄에서 소송조건이 되는 고소가 유효하게 존재하는지 직권으로 조사·심리하여야 한다는 대판 2015.11.17. 2013도7987, ⑥ 공소장변경의 경우 공소시효 완성여부의 판단시점은 공소제기시, 공소시효 완성여부 판단의 법정형은 변경된 공소사실에 대한 법정형이라는 대판 2015.10.15. 2015도10779[상해→폭행] 등을 들 수 있습니다.

4.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부족했던 본서를 이용하신 독자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학연출판사 이인규 박사님, 이기철 실장님, 그리고 전희주 편집실장님께도 지면을 통하여 재삼 감사의 마음과 죄송함을 전합니다.
아무쪼록 본서가 여러분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016년 8월 22일
편저자 김영환 올림

목차

001 형사소송법의 기초 1

002 형사절차의 개관 7

003 형사소송법의 지도이념 13
Tip 적정절차 위반의 효과 13
Tip 소위 ‘하자의 승계’ 14
Tip 형사소송의 기본구조(직권주의와 당사자주의) 16

004 법원의 의의와 구성 19

005 법원의 관할 22

006 제척·기피·회피 36

007 검 사 48

008 검사의 이중성격 51
Tip 피고인의 특정 56

009 피고인의 소송법상 지위 65

010 무죄추정의 원칙 71

011 진술거부권 74

012 변호인 82

013 국선변호인 선정의 지연과 항소이유서제출기간의 기산점 등 95
Tip 국선변호인이 법정기간 내에 피고인의 귀책사유 없이 항소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경우 항소법원의 조치 [법무사 2014] 97
Tip국선변호인 선정과 병합사건 98
판례 변호인의 접견교통권 99

014 변호인의 피의자신문참여권 104

015 변호인의 기록·열람등사권(증거개시) 108

016 소송행위의 무효와 치유 116

017 하자의 치유 122
판례 소송조건 126

018 수 사 131

019 수사의 조건 138
020 형사절차 진행단계에 따른 범죄혐의의 정도 140
Tip 소송조건과 수사(친고죄의 고소 전 수사의 허부) 141

021 함정수사 144

022 불심검문 151

023 고 소 158

024 고소불가분의 원칙 168

025 고소와 고발의 이동 175

026 임의수사의 본질과 한계(임의수사와 강제수사의 구별) 178

027 임의동행 184

028 하자의 승계문제 - 위법한 임의동행과 체포·구속과의 관계 189
Tip 피의자신문 191

029 피의자의 체포 197

030 피의자 구속 210

031 피고인의 구속 221

032 구속영장의 성질과 효력 228

033 이중구속·별건구속(여죄수사의 한계) 232

034 피의자·피고인의 접견교통권 236

035 체포·구속적부심사제도 242

036 보증금납입조건부 피의자석방(피의자보석) 246

037 보 석 249

038 현행법상 체포·구속된 피의자·피고인의 석방제도 256

039 압수·수색·검증 260

040 제120조의 압수·수색영장의 집행에 ‘필요한 처분’의 경우 268
Tip 압수영장의 집행과 절차위반 정리 271
Tip 압수·수색에 있어서 영장주의의 예외 274

041 별건압수 286
Tip 플레인 뷰우(Plain View) 이론 287
Tip 체포현장(제216조 제1항 제2호) 의미의 논의실익 289
Tip 대물적 강제처분에 있어서 영장주의의 예외와 사후영장 요부 289
Tip 압수물의 환부·가환부 290

042 신체검사(강제채혈·강제채뇨) 297

043 임의제출물의 압수 305
판례 사실관계에 따라 305
Tip 강제채혈 ⑴ 306
판례 강제채혈 ⑵ 308
판례 수사상의 증거보전 309

044 증거보전과 증인신문청구의 비교 317
tip 검사의 공소권행사에 대한 규제 318

045 공소제기후의 수사 327

046 공소권남용론 334

047 재정신청(기소강제절차) 339

048 항고·재항고, 재정신청, 헌법소원의 관계 346
Tip 공소제기의 방식 347

049 공소사실의 불특정 353

050 예비적·택일적 기재 355
Tip 예·택 기재시 주문 및 판결이유의 표시 및 상소의 문제 360
Tip 공소사실의 예비적·택일적 기재 360
Case 공소장일본주의 361

051 공소제기의 효과 367

052 일죄의 일부에 대한 공소제기 371

053 공소시효 376

054 일반 살인의 죄의 공소시효제도의 폐지 383
Tip 공소장변경과 공소시효 387
Tip 공판절차의 기본원칙 388

055 심판대상론 정리 395
Tip 이원설의 이론체계 395
Tip 공소장변경 396

056 심판대상을 변경하는 방법 398
Tip 축소사실의 인정(공소장변경 불요)과 법원의 심판의무(소위 ‘판결편의주의’ 문제) 416
Tip 공판준비절차 418

057 의견서 제출 제도(제266조의2) 421
Tip 구법과 개정법에 따른 재판진행절차의 차이 421
Tip 소송관계인의 출석 422

058 약식명령에 대한 정식재판청구사건에서의 공시송달 429
판례 퇴정과 제330조 430
Case 증거조사 431

059 증거조사 및 증거결정에 대한 불복방법 440
Tip 증인의 의의와 증인적격 441

060 대판 2008.6.26. 2008도3300[소위 게임장 바지사장 사건]의 의미 447
Tip 증인의 의무와 권리 448

061 증인신문의 방법 456

062 피해자의 형사절차상 지위 464

063 개정법상 피해자 진술권의 변경내용(제294조의2) 470
Tip 증인 및 피해자 보호방안 [사시 2010(피해자보호방안)] 471
Tip 간이공판절차 472

064 공판절차의 정지와 갱신 478

065 국민참여재판 485

066 국민참여재판에서의 제1심의 판단과 항소심 492
판례 증거의 의의, 종류, 수집 494

067 증명과 소명 502
Tip 증거능력과 증명력의 구별 503
Tip 자백의 5관문(1·2·3은 증거능력 문제, 4·5는 증명력 문제) 503
Tip 증거서류와 증거물인 서면 504

068 사실의 인정 또는 사실의 입증(증명)의 문제 507
Tip 증명의 방법(엄격한 증명과 자유로운 증명) 507
Tip 증거재판주의 508

069 거증책임(입증책임) 518

070 거증책임과 입증부담 524
Tip 자유심증주의 525

071 자백배제법칙 533

072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543

073 제주도지사실 사건(대판(全合) 2007.11.15. 2007도3061) 정리 554
Tip 독수과실의 예외 ⑴ [사시 2010, 법사관 2010] 555
판례 독수과실의 예외 ⑵ 555
판례 독수과실의 예외 ⑶ 555
판례 독수과실의 예외 (4-1) 556
판례 독수과실의 예외로 보지 않은 경우 (4-2) 557
판례 독수과실의 예외 ⑸ 557
판례 독수과실의 예외로 보지 않은 경우 ⑹ [입시 2014] 558
판례 전문법칙 개관 559

074 전문증거 또는 본래증거 판단기준 564
Tip 전문증거 유형 565
Tip 전문증거 구별 566
Tip 전문법칙의 예외규정을 찾아가는 Navigation 568
Tip 전문법칙의 예외 569
Tip 전문법칙 예외요건의 기초개념 570
Tip 법원·법관의 면전조서 572

075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579

076 공동자·공동피고인에 대한 피신조서 596
Tip 피의자신문조서의 제314조 적용여부 597
Tip 진술조서의 증거능력 598
077 진술서의 증거능력 606

078 진술기재서류(제313조 제1항) 612
Tip 증언거부권 행사가 제314조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사유’ 해당 여부(소극) [법무사 2014] [硏] 613
판례 피해자가 남동생에게 도움을 요청한 문자메시지의 증거능력 613
판례 감정서의 증거능력 614
Tip 검증조서의 증거능력 616

079 수사보고서의 증거능력 620
판례 수사보고서에 기재된 친고죄의 고소 유무 및 반의사불벌죄에 있어서 처벌불원의 의사표시 621
Tip 수사기관의 검증조서에 기재된 진술의 증거능력 621
Tip 실황조사서의 증거능력 622

080 제314조에 의한 예외 628
Tip 제314조 적용범위와 관련한 판례의 동향 635

082 당연히 증거능력이 있는 서류 636

083 전문진술 641
Tip 제316조 제2항의 ㆍ피고인 아닌 타인ㆍ 644

084 조사자증언 645

085 재전문증거의 증거능력 650
Tip 재전문증거 652
Tip 재전문증거 653

086 사진의 증거능력 654
Tip 현장사진(판례 및 실무의 입장) 659

087 녹음테이프의 증거능력 662
판례 녹음테이프 등 669
Tip 사인의 녹음테이프(판례정리) 673
Tip 컴퓨터 디스켓에 들어 있는 문건의 증거능력 673

088 거짓말탐지기 검사결과의 증거능력 674
Tip 거짓말탐지기 678

089 당사자의 동의와 증거능력 679

090 탄핵증거 691

091 수사기관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 701

092 수사기관 영상녹화물의 실질적 기능 708
Tip 자백의 보강법칙 709

093 자백의 보강법칙과 업무용수첩사건 717
Case 공동피고인의 소송관계 - 공범에 대한 판례 5명제 718
Tip 공범에 대한 판례 5명제 [사시(다수), 변시(다수), 법무사(다수), 법행 2011,2008 등] 719
Tip 공판조서의 증명력 720

094 기판력(일사부재리효력) 724

095 상소의 이익 734

096 불이익변경금지원칙 740

097 일부상소 749

098 파기판결의 구속력(기속력) 757

099 재 심 762

100 제420조 제5호(증거의 신규성, 증거의 명백성) 774

101 형벌조항의 위헌결정과 소급효 제한(헌재법 제47조 제3항 단서) → 합헌 781
Tip 재심과 비상상고의 차이 782
Tip 재심과 비상상고의 이동 783

102 약식절차 784

저자소개

저자 김영환은
[약 력]
ㆍ 한양대학교 법대 졸업, 법대 대학원(형사법전공)
ㆍ 前 한림법학원, 베리타스 변호사시험, 사법시험 형사소송법 강의
ㆍ 現 합격의 법학원 변호사시험, 사법시험 등 형사소송법 강의
ㆍ 現 서울법학원 법무사시험, 법원사무관 등 형사소송법 강의
ㆍ 現 공단기 경찰승진 형사소송법 강의
ㆍ 한대 등 고시반 특강

[편저서]
ㆍ 집중정리 (객)형법판례, 1999년, 보광출판사
ㆍ 사법시험 대비 형사소송법, 2002년, 고담사
ㆍ 법무사시험 등 대비 형사소송법, 2014년, 학연
ㆍ 변호사시험ㆍ사법시험 대비 형사소송법강의, 2016년, 학연
ㆍ 변시 기출시리즈 형사소송법(사례형, 선택형), 2016, 학연
ㆍ 변시 핵심○× 형사소송법, 2016, 학연
ㆍ 공단기 경찰승진시험대비 형사소송법(단문집/사례집), 2016, 기저출판
ㆍ 진도별 변시ㆍ사시ㆍ법행ㆍ법무사 기출 형사소송법 사례연습, 2016, 학연
ㆍ Blackbox 형사소송법, 2016, 학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