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황남기 행정법총론 세트(2017)

황남기 행정법총론 세트(2017) 7급 9급 공무원시험대비 (전2권)

  • 황남기
  • |
  • 윌비스
  • |
  • 2016-08-25 출간
  • |
  • 1060페이지
  • |
  • 210 X 270 mm
  • |
  • ISBN 9791159621253
★★★★★ 평점(10/10) | 리뷰(3)
판매가

45,000원

즉시할인가

40,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0,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의 특징
행정법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려면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첫째, 기본이론은 간단히 정리해야 하나 뚜렷하게 알아야 합니다.
둘째, 판례는 통째로 공부해야 합니다. 중요 판례는 전체적인 쟁점을 모두 한 번에 공부해야 합니다.
셋째, 문제 접근성을 높여야 합니다.

본서는 저자의 수험공부방법론에 입각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첫째,각 장마다 배워야 할 내용을 정리하여 전체적인 개관을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둘째,판례를 사례 위주로 구성했습니다.
셋째,중요 판례는 전체적인 쟁점을 모두 보여주려고 했습니다.
넷째,중요 사항은 날개로 완벽하게 정리하여 최종 정리와 암기에 도움을 주려고 했습니다.

목차

제1편
행정법 통론

제01장
행정 / 3
제1절 행정의 의의 3
Ⅰ. 행정 관념의 성립 3
Ⅱ. 형식적 의미의 행정과 실질적 의미의 행정 4
제2절 행정의 분류 7
Ⅰ. 주체에 의한 분류 7
Ⅱ. 내용에 의한 분류 7
Ⅲ. 목적에 의한 분류 7
Ⅳ. 형식에 의한 분류 8
Ⅴ. 상대방에 대한 효과에 의한 분류 8

제02장
행정법 / 13
제1절 행정법의 의의 13
Ⅰ. 행정법은 행정에 관한 법이다. 13
Ⅱ. 행정법은 행정에 관한 공법이다. 14
Ⅲ. 행정법은 국내법이다. 14
제2절 행정법의 성립과 특징 14
Ⅰ. 행정법의 성립 14
Ⅱ. 행정법의 특징 18
Ⅲ. 행정법의 최근 경향 19
제3절 행정법의 법원 19
Ⅰ. 개 설 19
Ⅱ. 행정법의 성문법원 20
Ⅲ. 행정법의 불문법원 25
Ⅳ. 법원(法源)의 단계구조 28
제4절 행정법의 효력 29
Ⅰ. 시간적 효력 29
Ⅱ. 지역적 효력 35
Ⅲ. 대인적 효력 35

제03장
행정법의 일반원리 / 41
제1절 우리나라 행정법의 지도원리 41
Ⅰ. 실질적 법치주의 41
Ⅱ. 민주행정주의 41
Ⅲ. 복지국가원리 41
Ⅳ. 권력분립주의 41
Ⅴ. 사법국가주의 41
Ⅵ. 지방분권주의 41
제2절 법치주의 42
Ⅰ. 법치주의 역사 42
Ⅱ. 법치행정의 원리 44
제3절 법치주의와 통치행위 53
Ⅰ. 의 의 53
Ⅱ. 통치행위이론 54
Ⅲ. 통치행위의 주체와 범위 55
Ⅳ. 통치행위와 판례 56
Ⅴ. 통치행위의 한계 59
Ⅵ. 관련 문제 59
제4절 행정법의 일반원칙 61
Ⅰ. 의 의 61
Ⅱ. 행정법의 일반원칙의 효력 61
Ⅲ. 행정법의 일반원칙에 위반되는 행정행위 61
제5절 평등의 원칙과 자기구속의 법리 62
Ⅰ. 평등의 원칙 62
Ⅱ. 행정의 자기구속의 법리 66
제6절 비례의 원칙 70
Ⅰ. 의 의 70
Ⅱ. 비례원칙의 내용 71
Ⅲ. 적용범위 72
Ⅳ. 비례원칙 위반의 효과 72
Ⅴ. 비례원칙의 위반 여부 72
제7절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76
제8절 신뢰보호의 원칙 81

제04장
행정상 법률관계 / 110
행정상 법률관계 / 106
제1절 행정상 법률관계의 유형 106
Ⅰ. 공법관계와 사법관계 106
Ⅱ. 행정상 법률관계의 종류 107
Ⅲ. 공법관계와 사법관계의 구체적 구별 110
제2절 행정상 법률관계의 당사자 118
Ⅰ. 행정주체 118
Ⅱ. 행정객체 122
제3절 행정상 법률관계의 특성 122
제4절 행정상 법률관계의 내용 123
제1항 국가적 공권 123
Ⅰ. 의 의 123
Ⅱ. 성 질 123
Ⅲ. 국가적 공권의 종류 123
제2항 개인적 공권 124
Ⅰ. 의 의 124
Ⅱ. 개인적 공권의 성립배경 및 기능 124
Ⅲ. 개인적 공권의 성립요건 125
Ⅳ. 개인적 공권과 반사적 이익 128
Ⅴ. 개인적 공권의 확대 129
제3항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 140
Ⅰ. 의 의 140
Ⅱ.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의 성질 140
Ⅲ.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의 성립요건 141
Ⅳ.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의 인정영역 141
Ⅴ.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의 내용 141
Ⅵ.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의 침해와 구제 141
Ⅶ. 재량권의 영으로서의 수축과 청구권 143
제4항 행정개입청구권 145
제5절 공권과 공의무의 특성 148
Ⅰ. 개인적 공권의 특성 148
Ⅱ. 공의무 149
Ⅲ. 공권ㆍ공의무의 승계 151
제6절 특별행정법관계 154
Ⅰ. 전통적 특별권력관계이론 154
Ⅱ. 현대적 특별권력관계이론 155
제7절 행정법 규정의 흠결과 보충 159
Ⅰ. 개 설 159
Ⅱ. 행정법 규정의 흠결이 있는 경우 159
Ⅲ. 사법규정의 유추적용 159

제05장
행정법상 법률관계의 발생과 소멸 / 164
제1절 행정법상 법률관계의 법률요건과 법률사실 164
Ⅰ. 의 의 164
Ⅱ. 법률사실의 종류 164
제2절 공법(행정법)상 사건 165
Ⅰ. 시간의 경과 165
Ⅱ. 시 효 166
Ⅲ. 주소와 거소 172
제3절 공법상 사무관리 172
Ⅰ. 의 의 172
Ⅱ. 종 류 172
Ⅲ. 적용법규 173
제4절 공법상 부당이득 173
Ⅰ. 의 의 173
Ⅱ. 효 과 175
Ⅲ.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 176

제06장
공법상 행위 / 180
제1절 공법상 행위 180
Ⅰ. 공법행위 180
Ⅱ. 사인의 공법행위 180
제2절 사인의 공법행위로서의 신청과 신고 184
Ⅰ. 신 청 184
Ⅱ. 사인의 공법행위로서의 신고 185

제2편
일반행정작용법

제01장
행정의 행위형식 개관 / 200
Ⅰ. 공법행위 200
Ⅱ. 사법적 행위(국고행위와 행정사법행위) 200

제02장
행정입법 / 205
제1절 개 설 205
Ⅰ. 행정입법의 의의 205
Ⅱ. 행정입법의 종류 205
제2절 법규명령 206
Ⅰ. 의 의 206
Ⅱ. 법규명령의 종류 206
Ⅲ. 법규명령의 실정법상 문제점 207
Ⅳ. 법규명령의 근거 208
Ⅴ. 법규명령의 한계 211
Ⅵ. 법규명령의 적법요건과 효력발생요건 216
Ⅶ. 법규명령의 하자와 소멸 217
제3절 행정규칙 218
Ⅰ. 의 의 218
Ⅱ. 행정규칙의 효력 220
Ⅲ. 행정규칙의 적법요건과 한계 224
제4절 명령의 형식과 효력의 불일치 226
Ⅰ. 의 의 226
Ⅱ. 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 226
Ⅲ. 행정규칙 형식의 법규명령 230
Ⅳ. 규범구체화 행정규칙 234
제5절 행정입법에 대한 통제 235
Ⅰ. 법규명령에 대한 통제 235
Ⅱ. 행정규칙에 대한 통제 241
Ⅲ. 행정입법부작위에 대한 통제 243

제03장
행정행위 / 252
제1절 행정행위의 개념과 종류 253
Ⅰ. 행정행위의 개념 253
Ⅱ. 행정행위의 종류 255
제2절 이중효과적 행정행위(복효적 행정행위, 제3자효 행정행위) 258
Ⅰ. 의 의 258
Ⅱ. 복효적 행정행위의 문제 259
제3절 기속행위ㆍ재량행위ㆍ불확정개념 260
Ⅰ. 의 의 260
Ⅱ. 기속행위와 재량행위의 구별기준 261
Ⅲ. 재량권의 한계와 재량하자 272
Ⅳ. 불확정개념과 판단여지 275
Ⅴ. 재량행위에 대한 통제 278
제4절 다단계 행정행위 287
Ⅰ. 부분허가(부분승인) 287
Ⅱ. 예비결정(사전결정) 288
Ⅲ. 가행정행위 290
제5절 행정행위의 유형 291
Ⅰ. 법률행위적 행정행위 291
Ⅱ.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292
제6절 명령적 행정행위 292
Ⅰ. 하 명 292
Ⅱ. 허 가 293
Ⅲ. 면 제 308
제7절 형성적 행정행위 308
Ⅰ. 특 허 308
Ⅱ. 인 가 313
Ⅲ. 공법상 대리 320
제8절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324
Ⅰ. 개 설 324
Ⅱ. 확 인 324
Ⅲ. 공 증 326
Ⅳ. 통 지 331
Ⅴ. 수 리 333
제9절 부 관 334
Ⅰ. 의 의 334
Ⅱ. 부관의 기능 335
Ⅲ. 부관의 종류 336
Ⅳ. 부관의 가능성과 한계 342
Ⅴ. 위법한 부관과 행정쟁송 346
Ⅵ. 위법한 부관과 사법행위의 효력 350

제04장
행정행위의 요건과 효력 / 355
제1절 행정행위의 요건 355
Ⅰ. 개 설 355
Ⅱ. 행정행위의 성립요건 355
Ⅲ. 행정행위의 효력발생요건:상대방에 대한 통지 356
제2절 행정행위의 효력 360
Ⅰ. 구속력 360
Ⅱ. 공정력과 구성요건적 효력 361
Ⅲ. 존속력(확정력) 367
Ⅳ. 강제력 371

제05장
행정행위의 하자와 승계 / 375
제1절 행정행위의 하자 375
Ⅰ. 의 의 375
Ⅱ. 하자의 판단시점 375
Ⅲ. 행정행위 하자의 유형 376
제2절 행정행위의 무효 380
Ⅰ. 주체상 무효원인 380
Ⅱ. 절차상 무효원인 384
Ⅲ. 형식상 무효원인 388
Ⅳ. 내용상 무효원인 389
Ⅴ. 위헌인 법률에 근거한 행정행위의 효력 390
제3절 행정행위의 폐지(취소와 철회) 393
제1항 행정행위의 취소 393
Ⅰ. 행정행위의 직권취소 393
Ⅱ. 직권취소와 쟁송취소의 구별 394
Ⅲ. 직권취소권자와 법적 근거 397
Ⅳ. 직권취소사유 398
Ⅴ. 취소권의 제한 398
Ⅵ. 취소절차 400
Ⅶ. 취소의 효과 400
제2항 행정행위의 철회 403
Ⅰ. 철회의 의의 403
Ⅱ. 철회의 법적 근거와 철회권자 403
Ⅲ. 철회권의 제한 405
Ⅳ. 철회이유의 제시 406
Ⅴ. 철회의 효과 406
Ⅵ. 철회의 하자 406
Ⅶ. 철회와 취소의 비교 406
제4절 행정행위의 실효 407
Ⅰ. 의 의 407
Ⅱ. 실효사유 408
Ⅲ. 실효의 효과 409
제5절 하자 있는 행정행위의 치유와 전환 410
Ⅰ. 하자 있는 행정행위의 치유 410
Ⅱ. 하자 있는 행정행위의 전환 416
제6절 하자(흠)의 승계 417
Ⅰ. 의 의 417
Ⅱ. 하자승계의 인정범위 419

제06장
그 밖의 행정의 행위형식 / 433
제1절 행정상 확약 433
Ⅰ. 의 의 433
Ⅱ. 확약의 법적 성질 433
Ⅲ. 법적 근거가 없는 경우에 확약을 할 수 있는가? 434
Ⅳ. 확약의 요건 435
Ⅴ. 확약의 효과 435
Ⅵ. 확약과 권리구제절차 437
제2절 공법상 계약 437
Ⅰ. 의 의 437
Ⅱ. 공법상 계약의 성립요건 440
Ⅲ. 공법상 계약의 종류 441
Ⅳ. 공법상 계약의 특수성 441
Ⅴ. 공법상 계약의 한계 444
Ⅵ.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445
제3절 행정계획 447
Ⅰ. 행정계획의 의의 447
Ⅱ. 행정계획의 종류 448
Ⅲ. 행정계획의 법적 성질 448
Ⅳ. 행정계획의 법적 근거 451
Ⅴ. 행정계획의 효력 453
Ⅵ. 행정계획에 대한 통제 455
Ⅶ. 계획재량 457
Ⅷ. 행정계획존속 또는 변경청구권 459
제4절 행정상 사실행위 463
Ⅰ. 의 의 463
Ⅱ. 행정상 사실행위와 법률유보ㆍ법률우위의 원칙 463
Ⅲ. 행정상 사실행위와 권리구제 464
Ⅳ. 공적 경고 465
Ⅴ. 행정지도 465
제5절 그 밖의 행정작용 473
Ⅰ. 비공식적 행정작용 473
Ⅱ. 행정의 자동화 작용 474
Ⅲ. 사법형식의 행정작용 474

제3편
행정절차, 개인정보보호와 행정정보공개

제01장
행정절차 / 482
제1절 행정절차의 의의 482
Ⅰ. 행정절차의 개념 482
Ⅱ. 행정절차의 이념과 기능 482
Ⅲ. 각국의 행정절차 482
제2절 행정절차의 법적 근거 483
Ⅰ. 행정절차의 헌법적 근거 483
Ⅱ. 행정절차의 법률적 근거 483
제3절 「행정절차법」의 내용 484
Ⅰ. 일반론 484
Ⅱ. 처분을 함에 있어 적용되는 행정절차 490
Ⅲ. 신 고 510
Ⅳ. 행정상 입법예고 511
Ⅴ. 행정예고 512
Ⅵ. 행정지도 513
Ⅶ. 국민참여의 확대 513
Ⅷ. 비용부담 513
제4절 특별행정절차 514
Ⅰ. 「민원 처리에 관한 법률」 514
Ⅱ. 「행정규제기본법」 516
제5절 행정절차의 하자 518
Ⅰ. 행정절차상 하자의 의의 518
Ⅱ. 절차상의 하자와 행정행위의 효력 518
Ⅲ. 절차상 하자의 치유 519

제02장
개인정보보호와 정보공개청구 / 523
제1절 개인정보보호 523
Ⅰ. 의 의 523
Ⅱ. 「개인정보 보호법」 525
제2절 정보공개 536
Ⅰ. 정보공개청구권 536
Ⅱ.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538

제4편
행정의 실효성확보수단

제01장
개 설 / 564
제1절 실효성확보수단의 의미 564
제2절 실효성확보수단의 체계 565

제02장
행정상의 강제집행 / 568
제1절 일반론 568
Ⅰ. 의 의 568
Ⅱ. 사법상의 강제집행과의 구별 568
Ⅲ. 행정상 강제집행의 법적 근거 568
Ⅳ. 행정상 강제집행의 수단 569
제2절 행정대집행(行政代執行) 569
Ⅰ. 의 의 569
Ⅱ. 대집행의 요건 569
Ⅲ. 대집행의 주체와 행위자 574
Ⅳ. 대집행의 절차 575
Ⅴ. 하자의 승계 579
Ⅵ. 대집행에 대한 구제 579
제3절 이행강제금(집행벌) 580
Ⅰ. 서 설 580
Ⅱ. 이행강제금의 근거 581
Ⅲ. 이행강제금의 성질 581
Ⅳ. 이행강제금의 대상 581
Ⅴ. 「건축법」상 이행강제금 582
Ⅵ.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이행강제금 583
Ⅶ. 「근로기준법」상 이행강제금 584
Ⅷ. 이행강제금에 대한 불복 585
제4절 직접강제 586
Ⅰ. 서 설 586
Ⅱ. 직접강제의 근거 586
Ⅲ. 직접강제의 종류 586
Ⅳ. 직접강제의 대상 587
Ⅴ. 직접강제의 한계 587
Ⅵ. 직접강제에 대한 불복 587
제5절 강제징수 588
Ⅰ. 의 의 588
Ⅱ. 강제징수의 근거 588
Ⅲ. 강제징수의 절차 588
Ⅳ. 행정상 강제징수에 대한 구제 594

제03장
행정상 즉시강제와 행정조사 / 597
제1절 행정상 즉시강제 597
제2절 행정조사 603

제04장
행정벌 / 615
제1절 행정벌 서론 615
Ⅰ. 행정벌의 의의 615
Ⅱ. 행정벌의 근거 617
Ⅲ. 행정벌의 종류 617
제2절 행정형벌 619
Ⅰ. 의 의 619
Ⅱ. 행정형벌의 과벌절차 621
제3절 행정질서벌(과태료) 623

제05장
새로운 의무이행 확보수단 / 632
제1절 개 설 632
제2절 금전상의 제재 632
Ⅰ. 과징금(부과금) 632
Ⅱ. 가산금(加算金) 638
Ⅲ. 가산세(加算稅) 639
제3절 공급거부 641
제4절 행정상의 공표 642
제5절 제재적 행정처분(관허사업의 제한) 644
제6절 출국금지 등 645

제5편
행정구제법Ⅰ

제01장
행정구제 / 651
Ⅰ. 행정구제제도 개관 651
Ⅱ. 옴부즈만 제도 651
Ⅲ. 국민권익위원회와 시민고충처리위원회 652
Ⅳ. 청 원 656

제02장
손해배상제도 / 661
제1절 총 설 662
Ⅰ. 의 의 662
Ⅱ. 행정상 손해배상제도의 실정법적 근거 662
Ⅲ. 배상책임의 내용 664
Ⅳ. 손해배상청구절차 668
제2절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669
Ⅰ. 배상책임의 요건 669
Ⅱ. 「국가배상법」과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의 배상 696
Ⅲ. 이중배상금지 698
제3절 영조물의 설치ㆍ관리상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701
Ⅰ. 영조물의 설치ㆍ관리상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의 법적 근거 701
Ⅱ. 영조물의 설치ㆍ관리상 하자로 인한 배상책임요건 702
Ⅲ. 경합문제 713
제4절 국가배상책임자 714
Ⅰ.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배상책임의 본질 714
Ⅱ. 공무원의 배상책임 715
Ⅲ. 선임감독자 또는 설치ㆍ관리자와 비용부담자 717

제03장
행정상 손실보상 / 723
제1절 행정상 손실보상 723
Ⅰ. 손실보상제도의 의의 723
Ⅱ. 손실보상청구권의 요건 725
Ⅲ. 헌법 제23조 제3항의 보상규정의 의미 727
Ⅳ. 분리이론과 경계이론 729
Ⅴ. 손실보상의 기준과 내용 733
Ⅵ. 손실보상의 방법과 불복절차 752
제2절 손해전보를 위한 그 밖의 제도 757
제1항 개 설 757
Ⅰ. 문제상황 757
Ⅱ. 문제의 유형과 해결방법의 모색 757
제2항 수용유사 및 수용적 침해에 대한 손실보상 757
Ⅰ. 수용유사침해에 대한 보상 757
Ⅱ. 수용적 침해에 대한 보상 759
제3항 희생보상청구권 760
제3절 행정상의 결과제거청구권 762
Ⅰ. 개 설 762
Ⅱ. 결과제거청구권의 성질 762
Ⅲ. 결과제거청구권의 법적 근거 762
Ⅳ. 결과제거청구권의 요건 763
Ⅴ. 제거의 의무주체 764
Ⅵ. 제거청구권의 내용과 범위 764
Ⅶ. 절 차 765

제6편
행정구제법Ⅱ

제01장
행정심판 / 770
제1절 행정쟁송 개설 770
제2절 행정심판의 의의와 요건 771
Ⅰ. 일반론 771
Ⅱ. 행정심판위원회 776
Ⅲ. 행정심판청구 779
제3절 행정심판의 심리 789
Ⅰ. 의 의 789
Ⅱ. 심리의 내용 789
Ⅲ. 심리의 범위 789
Ⅳ. 심리의 방식과 절차 790
제4절 행정심판의 재결(裁決) 792
Ⅰ. 재결의 의의와 성질 792
Ⅱ. 재결의 기간ㆍ방식ㆍ범위ㆍ송달 792
Ⅲ. 재결의 종류 793
Ⅳ. 재결의 효력 795
Ⅴ. 재결에 대한 불복 797
Ⅵ. 보 칙 798
제5절 고지제도(불복고지) 798
Ⅰ. 개 설 798
Ⅱ. 고지제도의 법적 근거와 배제 799
Ⅲ. 고지의 종류 800
Ⅳ. 불고지ㆍ오고지의 효과 801
제6절 특별행정심판 801
제7절 기 타 803

제02장
행정소송 / 808
제1절 행정소송의 개설 808
Ⅰ. 행정소송의 의의 808
Ⅱ. 행정소송의 한계 811
제2절 항고소송Ⅰ 취소소송의 소송요건 813
Ⅰ. 취소소송 개설 813
Ⅱ. 취소소송의 요건:대상적격성 814
Ⅲ. 소송요건 2:원고적격 858
Ⅳ. 소송요건 3:소의 이익 868
Ⅴ. 소송요건 4:피고적격 887
Ⅵ. 소송요건 5:제소기간 892
Ⅶ. 소송요건 6:행정심판전치주의 요건 898
제3절 항고소송 Ⅱ 취소소송절차와 판결 901
Ⅰ. 재판관할 901
Ⅱ. 관련 청구의 이송과 병합 901
Ⅲ. 소의 변경 904
Ⅳ. 처분사유의 추가ㆍ변경 905
Ⅴ. 소송참가 911
Ⅵ. 가구제 914
Ⅶ. 취소소송의 심리 920
Ⅷ. 행정소송의 판결유형 925
Ⅸ. 판결의 효력 931
Ⅹ. 취소소송의 종료와 불복 941
제4절 무효등확인소송 944
Ⅰ. 종류와 성질 944
Ⅱ. 소송요건 944
Ⅲ. 소제기의 효과 947
Ⅳ. 심 리 947
Ⅴ. 취소소송과 무효확인소송의 관계 948
제5절 부작위위법확인소송 949
Ⅰ. 의 의 949
Ⅱ. 소송요건 949
Ⅲ. 소 제기의 효과 953
Ⅳ. 소송의 심리 953
Ⅴ. 판 결 954
제6절 당사자소송 956
Ⅰ. 의 의 956
Ⅱ. 종 류 956
Ⅲ. 요 건 963
Ⅳ. 재판관할 965
Ⅴ. 당사자소송과 항고소송의 관계 965
Ⅵ. 가집행 969
ㆍ색인

저자소개

행정법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려면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첫째, 기본이론은 간단히 정리해야 하나 뚜렷하게 알아야 합니다.
둘째, 판례는 통째로 공부해야 합니다. 중요 판례는 전체적인 쟁점을 모두 한 번에 공부해야 합니다.
셋째, 문제 접근성을 높여야 합니다.

본서는 저자의 수험공부방법론에 입각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첫째,각 장마다 배워야 할 내용을 정리하여 전체적인 개관을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둘째,판례를 사례 위주로 구성했습니다.
셋째,중요 판례는 전체적인 쟁점을 모두 보여주려고 했습니다.
넷째,중요 사항은 날개로 완벽하게 정리하여 최종 정리와 암기에 도움을 주려고 했습니다

도서소개

이책을내면서...

행정법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려면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첫째, 기본이론은 간단히 정리해야 하나 뚜렷하게 알아야 합니다. 이론을 구체적 사례에 적용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둘째, 판례는 통째로 공부해야 합니다. 단순 판례까지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만, 중요 판례는 전체적인 쟁점을 모두 한 번에 공부해야 합니다. 조각난 판례 공부로는 종합적인 사례 문제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습니다. 고득점을 할 수 있는지 여부는 사례형에서 결정된다는 것을 유념하고 종합적인 판례 공부에 역점을 두기 바랍니다.
셋째, 문제 접근성을 높여야 합니다. 아는 것과 정답 맞추기 간에 Gap을 줄여야 합니다. 안다고 해서 정답을 맞출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수험생들도 공부를 해보면서 절실하게 느끼는 일이겠지만 안다고 해서 정답을 맞추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아는 것과 정답을 맞추는 것 간의 Gap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줄이려면 이론, 판례, 문제를 삼위일체식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본서는 저자의 수험공부방법론에 입각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첫째,각 장마다 배워야 할 내용을 정리하여 전체적인 개관을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둘째,판례를 사례 위주로 구성했습니다.
셋째,중요 판례는 전체적인 쟁점을 모두 보여주려고 했습니다.
넷째,중요 사항은 날개로 완벽하게 정리하여 최종 정리와 암기에 도움을 주려고 했습니다.

본서의 출간에는 여러 분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교정을 맡아준 7급?9급 합격생 여러분과 좋은 지적으로 집필에 도움을 준 황남기 공무원수험연구소 여러분, 내용 검토 및 자료 작성을 도와준 행시 합격생 조창우, 정원석 변호사 등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자신의 저서를 기꺼이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신 서정욱 변호사에게도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원고의 수정과 편집 틀을 여러 번 바꾸는 바람에 고생하신 윌비스의 편집부 직원 여러분들께도 다시 한 번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수험생들은 여러 과목을 공부해야 하므로 시간적 여유가 없습니다. 여러분이 최소한의 시간투자로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도록 여러분을 대신해 좋은 자료와 문제 정리를 꾸준히 할 예정입니다.
수험생 여러분은 공부방법론에서 제안한 공부방법을 충실히 이행하여 좋은 성과 거두기를 기원합니다.

2016.08.18.
황남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