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논어로 논어를 풀다

논어로 논어를 풀다

  • 이한우
  • |
  • 해냄출판사
  • |
  • 2012-05-11 출간
  • |
  • 1408페이지
  • |
  • 223 X 152 X 70 mm /2300g
  • |
  • ISBN 9788965743415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58,000원

즉시할인가

52,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52,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논어』로 『논어』를 풀어낸 최초의 책!
인간학이자 정치학, 윤리학이자 인간경영학,
그리고 조직심리학이자 인생의 네비게이션,『논어』 다시 읽기


이 책 앞에서 더 이상 『논어』를 논하지 말라!
20개의 편(篇)과 498개의 장(章)이 거미줄처럼 복합적인 상호연계,
이중삼중으로 치밀하게 편집한 저술방식에 따라 중첩체계를 이루는『논어』의 세계
학술 저널리스트 이한우가 명쾌하게 읽어낸『논어』읽기의 결정판

최근 고전 읽기 바람이 3040 독자들에게 불어오면서 동서양 고전을 콘텐츠로 한 책들이 다수 출간되어 사랑받고 있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공자와 맹자…… 수천 년 전의 현인들이 일궈낸 인문학적 성취들이 21세기 들어 마치 새로운 트렌드인 양 크게 각광받고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우리가 고전에 열광하는 만큼 원전을 제대로 읽고 있기는 한 걸까?
『조선왕조실록』에 드러난 조선 국왕들의 리더십을 본격 분석해 <이한우의 군주열전> 6권으로 펴내며 원전에 충실한 역사 읽기를 제안한 바 있는 학술 저널리스트 이한우가 이번에는 동양 고전에 대한 탐구로서 <이한우의 사서삼경>을 집필, 그 첫 번째 책으로 『논어로 논어를 풀다』를 내놓았다.
저자는 십여 년의 『조선왕조실록』 읽기를 통해 조선의 명군들과 뛰어난 경세가들이 왜 사서삼경을 읽고 또 읽었으며 ‘조선의 숨은 왕’이라 일컬어지는 ‘송익필’이 어떻게 『논어』안에서 예학과 ‘直(직)’ 사상을 정립해 냈는지를 추적하던 중, 조선의 사상적 뿌리라 불러도 과언이 아닌 『논어』를 처음부터 끝까지 한 글자도 빠짐없이 읽어보자 결심하고 100여 번을 반복해서 독파했다.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이며 유가의 성전(聖典)이라고도 불리는 『논어』는 고대 중국의 사상가 공자의 가르침을 전하는 옛 문헌으로, 공자와 그 제자와의 문답을 주로 하고, 공자의 발언과 행적, 인생의 교훈이 되는 말들이 간결하고도 함축성 있게 기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철학자와 한문학자의 눈을 통해 읽음으로써 철학자에 의해서는 동양사상이, 한문학자에 의해서는 한문 한 글자 한 글자의 뜻이 강조되어 옴으로써 그 본래 뜻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점이 많았다. 또한 성리학의 영향으로 학계에서는 공자의 말씀보다는 『논어』를 해석한 주자의 『논어집주』에 의미를 가둬놓기 일쑤였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저자는 공자가 중시한 사상인 ‘仁(인)’과 학문적 통찰력을 말한 ‘學(학)’의 개념을 밝히고, 『논어』를 읽는 방법을 찾던 중 공자의 사상이 애씀을 뜻하는 ‘文(문)’과 바탕을 뜻하는 ‘質(질)’ 안에 모두 담겨 있음을 말한다. 주자가 ‘文(문)’을 단순히 글로 해석한 것과는 천양지차의 번역이다. 기존의 번역서들은 한결같이 ‘文(문)’을 글로 번역하고 있다. 그러나 저자는 ‘文(문)’을 애쓰다, 애씀, 애쓰는 법 등으로 풀어야 함을 『논어』안에 등장하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입증해내고 있다.

저자는 ‘文(문)’과 ‘質(질)’의 원리를 통한다면 공자가 『논어』에서 제자들에게 강조했던 내용을 보다 쉽고 명확하게 간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저자의 해석을 따라가면『논어』그 자체를 쉽게 풀이할 수 있기 때문에 독자들 스스로 『논어』를해석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 책은 동양사상의 핵심이며 사서삼경의 으뜸이라 할 수 있는 공자의 『논어』를 역사적 콘텍스트를 넘어 텍스트 자체만으로 해석한 한중일 최초의 책으로, 동양사상을 알고는 싶으나 배경지식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미처 시작하지 못하는 이들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해설서가 될 것이다. 조직이나 정치, 인본 등에 대해 저널리스트의 관찰자적 시각이 돋보이는 풀이 또한 기존의 해설서와 차별화된다. 공자의 사상을 내용별로 분류해 정리한 요약판을 넘어서 본연의 뜻을 간파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독자들에게 친절한 인문 읽기의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 분명하다.
(주)해냄출판사는 동서양의 고전을 음미하고 풀이로써 그 가르침을 익힐 수 있는 <이한우의 사서삼경> 시리즈를 계속 출간할 것이며, 다음 권인 『논어로 중용을 풀다』는 2012년 하반기에 예정되어 있다. 원문의 깊이와 풀이의 넓이를 두루 아우르는 책으로 인문학에 대한 갈증으로 목말라하고 있는 남녀노소 독자들에게 영혼의 양식이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孟懿子問孝(맹의자문효)하자 子曰(자왈) 無違(무위)다
樊遲御(번지어)할 때 子告之曰(자고지왈) 孟孫(맹손)이 問孝於我(문효어아)하길래 我對曰(아대왈) 無違(무위)라 했다.
樊遲曰(번지왈) 何謂也(하위야)입니까? 子曰(자왈) 生事之以禮(생사지이례)하며 死葬之以禮(사장지이례)하며 祭之以禮(제지이례)하는 것이다.

맹의자가 효에 대해 묻자 공자는 말했다. “어기지 않는 것이다.”
번지가 공자가 타는 수레를 몰고 있을 때였다. (이때 공자는 문득 맹의자와의 문답이 떠올랐다.) 그래서 공자가 일러 말하기를 “맹의자가 효를 묻길래 답하기를 ‘어기지 않는 것’이라고 했노라”고 한다.
번지가 “어기지 않는다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라고 묻자 공자는 말했다. “아버지 살아계실 적에는 예로써 섬기고, 돌아가시면 예로써 장사지내고, 예로써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한다.”

禮(예)란 무엇인가? ‘살아계실 적에는 예로써 섬긴다, 돌아가시면 예로써 장사지낸다, 예로써 제사를 지낸다’는 것은 과연 어떻게 하는 것을 말하는가? 이미 ‘學而’ 12, 13, 15와 바로 앞의 ‘爲政 3’에 禮에 관한 언급이 나온 바 있다. 그것은 일단 ‘사람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위의(威儀)로 규정해 놓은 절차’라고 정의할 수 있다. ‘內德外禮(내덕외례)’, 德(덕)과 禮(예)는 안팎이 서로 조응해야 한다. 마음[內]만 있고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도 문제이고 겉[外]만 있고 마음이 뒷받침해주지 않는 것도 문제이다. 德은 바탕[質]이고 禮는 애씀[文]이다.
공자는 당연히 맹의자가 어기고 있다[有違]고 본 것이다. 아버지와 관련해서 禮를 어기고 있고 나아가 군주에 대한 禮도 어기고 있음을 넌지시 시사하려 한 것은 아닐까? 맹의자에 대한 은근한 질타의 의미를 읽어낼 수 있다.
이 점에서 주희의 풀이를 참고할 만하다. “이때 삼가(三家)가 참람한 예(禮=정변)를 행하였으므로 공자께서 이것으로써 경계하신 것이다. 그러나 말씀한 뜻이 원만하여 또 오로지 삼가(三家)만을 위해 말씀하시지 않은 듯하니, 이 때문에 성인(聖人)의 말씀이 되는 것이다.”
―2편 「爲政(위정) 5」 중에서

子曰(자왈) 君子無所爭(군자무소쟁)이나 必也射乎(필야사호)한다. 揖讓而升(읍양이승)하여 下而飮(하이음)하니 其爭也君子(기쟁야군자)답다.

공자는 말했다. “군자는 다투는 바가 없으나 반드시 활쏘기에서는 경쟁을 한다. 상대방에게 읍하고 사양하며 올라갔다가 내려와 술을 마시니 이러한 다툼이 군자다운 것이다.”

조선 시대 때도 大射禮는 국가 차원의 의례였다. 이에 관해서는 조선의 학자군주 正祖(정조)의 풀이가 참고할 만하다. “다툼[爭]은 힘을 통한 승부를 겨루는 것이 아니라 바로 心力(심력)을 견주어보는 것이니, 다툼과 유사한 점이 있지만 실제로는 다투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논어』에 ‘그 다툼이 군자답다’고 한 것이다. 맹자가 이르기를 ‘자기를 이긴 자를 원망하지 않고 돌이켜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는다’고 하였으니 맹자의 이 말은 바로 『논어』의 이 장에 대한 풀이라 하겠다.”(『홍재전서』)
정리하자면 이 장은 활쏘기의 사례를 통해 승부[質]과 격식[文]이 잘 조화된 禮, 즉 大射禮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 점에서 ‘八佾 16’도 함께 논의하는 것이 禮樂의 文質(문질) 문제를 살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3편 「八佾(팔일) 7」 중에서

子曰(자왈) 里仁爲美(이인위미)하니 擇不處仁(택불처인)이면 焉得知(언득지)이겠는가?

공자는 말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마을은 어짊이 중요하니, 가려서 어진 마을에 가서 살지 않는다면 어찌 사람을 보는 지혜를 가진 자이겠는가?”

‘八佾’ 편에서 禮樂(예악)에 관한 기본적인 논의를 마친 후 이제 인간적 본바탕이라 할 수 있는 ‘어짊[仁]’으로 넘어왔다. 그런 점에서 어짊은 禮樂보다는 좀 더 추상적이고 근본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어짊이 있고 나서야 禮樂이 바로 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자는 여기서 어짊은 추상적 개념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주변에 실재하고 있는 가장 구체적인 실천행위임을 보여준다. 마을의 ‘어짊’ 혹은 ‘어진 마을’에 관한 글로 ‘里仁’ 편을 시작하는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중략)

이 장에서 눈여겨봐야 하는 것은 어짊[仁]의 문제와 관련해 마을의 중요성을 지적한 놀라운 통찰이다. 사람처럼 마을에도 인심이 박한 마을이 있고 후한 마을이 있다. 어진 마을이 있고 그렇지 못한 마을도 있다. 유유상종(類類相從). 어진 이들과 가까이 하면 어질어지고 그렇지 못한 이들과 가깝게 지내면 어짊에서 멀어진다. 어짊[仁]은 사람의 마음속에 들어있는 불변의 성질이나 성향이 아니라 끊임없는 노력[文]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일깨워준다. ‘陽貨 2’는 그 점을 일깨워주는 기본적인 명제다.
―4편 「里仁(이인) 1」 중에서

文質의 文이 애쓰다로 풀이할 경우 『논어』의 어느 한 구절이 어떻게 완벽하게 해명되는지를 잠깐만 짚어보겠다. ‘學而 6’에서 공자는 “젊은이들은 집에 들어오면 효도해야 한다”고 말한다. 효도는 바탕(質)이다. 그리고 이어지는 ‘學而 7’에서 자하는 “부모 섬기기를 기꺼이 온 힘을 다하여 해야 한다”고 말한다. 효도에 ‘기꺼이 온 힘을 다하여’가 추가된 것이다. 質에 文이 추가된 것이다. 文은 애쓰는 것이라고 했다. ‘기꺼이 온 힘을 다하여’는 곧 애쓰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기꺼이 온 힘을 다하여’라는 말은 다소 추상적이다. 그에 대한 해답은 ‘里仁 18’에 나온다.

공자는 말했다. “부모를 섬기되 (부모의 잘못이 있을 때) 은미하게 간해야 하니, 부모의 뜻이 내 말을 따르지 않음을 보더라도 더욱 공경하고 어기지 않으며, 수고로워도 원망하지 않아야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바로 ‘기꺼이 온 힘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효와 관련된 文, 즉 애쓰는 법을 정확히 풀이해 내는 것이다.
―「나오는 말_ 드디어 ‘애쓰는 법[文]’을 배우다」 중에서

목차

들어가는 말_ 왜 『논어』인가?

1장 學而(학이)
2장 爲政(위정)
3장 八佾(팔일)
4장 里仁(이인)
5장 公冶長(공야장)
6장 雍也(옹야)
7장 述而(술이)
8장 泰伯(태백)
9장 子罕(자한)
10장 鄕黨(향당)
11장 先進(선진)
12장 顔淵(안연)
13장 子路(자로)
14장 憲問(헌문)
15장 衛靈公(위령공)
16장 季氏(계씨)
17장 陽貨(양화)
18장 微子(미자)
19장 子張(자장)
20장 堯曰(요왈)

나오는 말_ 드디어 ‘애쓰는 법[文]’을 배우다

저자소개

저자 이한우는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및 한국외국어대 철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뉴스위크》 《문화일보》를 거쳐 1994년 《조선일보》로 옮겼다. 2002~2003년 논설위원을 지낸 후 문화부 기자로 학술과 출판 관련 기사를 썼으며, 지금은 주말판 ‘Why?’ 섹션을 담당하는 기획취재부장으로 근무 중이다. 10여 년에 걸쳐 『조선왕조실록』을 탐독하며 조선 군주의 리더십 연구에 몰두해 온 저자는 인문학적 깊이와 감각적 필치가 돋보이는 시리즈, 즉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성종: 조선의 태평을 누리다』 『선조: 조선의 난세를 넘다』 『숙종: 조선의 지존으로 서다』 『정조: 조선의 혼이 지다』를 펴냄으로써 역사학자뿐 아니라 정치학자 들에게까지 통시적 사회 읽기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호평을 받은 바 있다. 또 조선 당쟁의 숨은 실력자인 구봉 송익필의 생애를 생생하게 복원하는 한편, 그의 사상을 입체적으로 조명한 『조선의 숨은 왕』은 당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부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조선사의 행간에 숨겨진 사람 이야기를 밝힌 『조선사 진검승부』, 권력 이면에 담긴 역사 속의 진실과 거짓을 파헤친 『왜 조선은 정도전을 버렸는가』 등도 그간의 연구 성과 중 하나다. 그 외에도 초대 대통령의 행적을 좇아 대한민국 건국의 배경을 살핀 『우남 이승만, 대한민국을 세우다』와 사회비평서 『한국은 난민촌인가』 『아부의 즐거움』 등을 출간했다. 역서로는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역사의 의미』 『여성 철학자』 『폭력사회』『안전의 원칙』등 역사와 사회철학 분야를 아울러 20여 권이 있다.

도서소개

『논어로 논어를 풀다』는 동양사상의 핵심이며 사서삼경의 으뜸이라 할 수 있는 공자의 <논어>를 역사적 콘텍스트를 넘어 텍스트 자체만으로 해석한 한중일 최초의 책으로, 동양사상을 알고는 싶으나 배경지식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미처 시작하지 못하는 독자들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해설서가 될 것이다. 조직이나 정치, 인본 등에 대해 저널리스트의 관찰자적 시각이 돋보이는 풀이 또한 기존의 해설서와 차별화된다. 공자의 사상을 내용별로 분류해 정리한 요약판을 넘어서 본연의 뜻을 간파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독자들에게 친절한 인문 읽기의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