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하빈신후담의대학후설과사칠동이변-02(실시학사실학번역총서)

하빈신후담의대학후설과사칠동이변-02(실시학사실학번역총서)

  • 신후담
  • |
  • 신후담
  • |
  • 2014-05-30 출간
  • |
  • 386페이지
  • |
  • ISBN 9791155500477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비판철학자, 신후담’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1702~1761)은 근기 남인계의 학문 정신을 계승한, 성호학파 내의 진보 성향을 가진 대표적인 학자이다. 성호에게서 회의를 통한 본지탐구의 방법을 익혀 주자학만을 절대존신하지 않고 항상 새로운 해석을 추구하였으며, 관념적 유희보다는 실제의 행사를 중시하는 실학적 사유를 이어간 인물이다.
이 책은 재단법인 실시학사에서 펴내는 ‘실학번역총서’의 두 번째 책으로, 신후담의 주저이기도 한 『대학후설(大學後說)』과 『사칠동이변(四七同異辯)』을 현대어로 옮기고, 각각 그에 해제를 붙인 것이다. 후미의 부록에는 각각 그 원문을 표점과 함께 실어, 학인들에게 제대로 된 독서 환경을 제공하고자 했다.

제1편 하빈 신후담의 『대학후설(大學後說)』

신후담은 『대학』을 해석하는 데 있어, 당시 주류였던 주자의 『대학장구』를 저본으로 삼지 않고, 본디 『예기』에 수록되어 있던 원본 그대로인 『고본대학』을 취하여 『대학』을 독자적으로 해석해 냈다.
주자학만을 존신하는 조선 후기의 경직된 학문 풍토 속에서 주자의 『대학장구』를 저본으로 하지 않고 『고본대학』을 취하여 독자적인 시각으로 새롭게 해석―격물치지에 대한 새로운 해석, 팔조목의 성의(誠意)에 중점을 둔 해석, 자의 파악과 조응 관계 분석을 통한 해석, 제설의 비판적 수용 등―한다는 것은 실로 어려운 일이었다. 더구나 청대 초기 학자들의 설까지 광범위하게 채취하여 좀 더 합리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는 점만으로도 신후담의 『대학』 해석은 경학사적으로 충분히 그 의의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념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현실에 바탕을 둔 실제의 행사(行事)에 초점을 둔 해석이 나타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제2편 하빈 신후담의 『사칠동이변(四七同異辯)』

『사칠동이변』은 신후담이 40세 되던 해(1741)에 완성된 저술로, 본래 총 네 장(章)으로 구성되었다가 이를 빌려 본 성호와 사칠론에 대한 견해를 주고받으면서, 편찬 이후 다섯 장이 새로이 추가되어 총 아홉 장으로 확장됐다.
신후담의 사칠설은 사단과 칠정의 현상적인 구분을 없애고, 시발점과 지향점이 어디인가에 따라 그 정감이 달라진다. 즉, ‘순수한 천지의 리(理)의 작용이며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성(性)에서 발한, 공(公)적인 가치를 지향하는 정감’과 ‘오행(五行)의 리의 작용이며 성색취미(聲色臭味)의 성에서 발한, 사(私)적인 가치를 지향하는 정감’으로 구분한다. 전자는 사단과 공(公)칠정 혹은 성인의 희노(喜怒)이고, 후자는 일반인의 칠정이다. 공적인 정감과 사적인 정감은 그것의 구성요소인 리와 기의 상태부터 애초에 다르며,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인성 역시 다르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사단과 공칠정을 한 종류의 정감으로 묶고 있는 신후담은 스스로 고봉이나 율곡, 즉 칠정과 선한 사단을 동일시하는 학자들에게도 일면의 정당성이 있으며, 퇴계의 설에도 다소간의 출입(出入)이 없지 않다고 인정하고 있다. 그의 이러한 사칠론은 후의 정산 이병휴나 다산 정약용의 사칠론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목차

ㆍ 간행사 ㆍ 실학번역총서를 펴내며

ㆍ 제1편 『대학후설(大學後說)』
― 해제

1. 주자(朱子)의 ?대장장구서(大學章句序)?
2. ?독대학법(讀大學法)?
3. 대학 편제(大學篇題)
4. 대학(大學) 제일장(第一章)
5. 제이장(第二章) 석격물치지(釋格物致知)
6. 제삼장(第三章) 석성의(釋誠意)
7. 제사장(第四章) 석정심수신(釋正心修身)

ㆍ 제2편 『사칠동이변(四七同異辯)』
― 해제

1. 『사칠동이변』의 서문(四七同異辯序)
2. 사칠설원(四七說原)
3. 사칠설동(四七說同)
4. 사칠설이(四七說異)
5. 성호의 『사칠신편(四七新編)』과 관련하여 의심나는 것을 적다(星湖李丈『四七新編』記疑)
6. 사칠동이변후제(四七同異辯後題)
7. 사칠동이변중발(四七同異辯重跋)
8. 성호에게 올리는 사칠론 별지(上星湖論四七別祗)
9. 정곤재(鄭困齋)의 사칠설에 대한 의문을 기록함(鄭困齋四七說記疑)

ㆍ 부록

ㆍ 『대학후설(大學後說)』 원문
ㆍ 『사칠동이변(四七同異辯)』 원문
ㆍ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 신후담
저자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은 1702(숙종 28)년에 태어나 1761(영조 37)년에 세상을 떠났다. 자는 이로(耳老), 본관은 거창(居昌)으로, 한양에서 태어났다. 23세 때 성호(星湖) 이익(李瀷)을 찾아가 문인이 되었다. 윤휴(尹?)·허목(許穆) 등 근기 남인계의 학문정신을 계승하고, 성호에게서 회의를 통한 본지탐구의 방법을 익혀 주자학만을 절대존신하지 않고 새로운 해석을 추구하였으며, 관념적 유희보다는 실제의 행사를 중시하는 실학적 사유를 드러내고 있다. 동문 이병휴(李秉休)와 함께 성호학파 내의 진보 성향을 가진 대표적인 학자로 후대 정약용(丁若鏞) 등의 경학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조선 후기 경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역자 : 최석기
경상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역자 : 정소이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기타소개

기획 : 재단법인 실시학사
실학사상의 계승 발전을 위해 설립된 공익 재단법인이다. 다양한 학술 연구와 지원 사업, 출판 및 교육 사업 등을 수행하며, 실학사상의 전파와 교류를 위해 힘쓰고 있다. 1990년부터 벽사 이우성 선생이 운영하던 ‘실시학사’가 그 모태로, 2010년 모하 이헌조 선생의 사재 출연으로 공익 법인으로 전환되었다.
경학 관계 저술을 강독 번역하는 ‘경학연구회’와 한국 한문학 고전을 강독 번역하는 ‘고전문학연구회’라는 두 연구회를 두고 있으며, 꾸준하게 실학 관련 공동연구 과제를 지정하여 그에 맞는 연구자들을 선정?지원함으로써 우수한 실학 연구자를 육성하고 연구 결과물을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이번에 상재하는 ‘실시학사 실학번역총서’도 그의 소산이다. 앞으로 아직 세상에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실학자들의 문헌을 선별해 오늘날의 언어로 옮기며, 실학의 현재적 의미를 확인해 나갈 것이다(홈페이지 http://silsihaksa.org).

도서소개

이 책은 재단법인 실시학사에서 펴내는 ‘실학번역총서’의 두 번째 책으로, 신후담의 주저이기도 한 『대학후설(大學後說)』과 『사칠동이변(四七同異辯)』을 현대어로 옮기고, 각각 그에 해제를 붙인 것이다. 후미의 부록에는 각각 그 원문을 표점과 함께 실어, 학인들에게 제대로 된 독서 환경을 제공하고자 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