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 로버트 스칼라피노 , 이정식
  • |
  • 돌베개
  • |
  • 2015-01-26 출간
  • |
  • ISBN 978897199639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50,000원

즉시할인가

4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 공산주의의 기원과 발전과정에 관한 독보적 연구

한국 공산주의의 원천은 무엇이고, 각각의 발전단계에서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공산주의운동과 어떤 관계를 맺었는가? 초기 공산주의 지도자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어떤 것이고, 운동의 발전과정에서 지도자들의 성격은 어떻게 변화해갔는가? 일본식 경찰국가는 극렬한 공산주의자들을 다루는 데 얼마나 효과적이었는가? 지하운동과 해외운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은 무엇이었는가? 운동선상에서 코민테른과 소련의 지도자들이 수행한 역할은 어떤 것이었으며, 해방 이전의 공산주의운동이 실패한 근본 원인은 무엇이었는가?

이와 같은 문제의식하에 ‘공산주의, 생성, 전통’이라는 세 가지 변수를 활용하여 식민지 시대 민족해방운동과 북한 체제를 분석한 이 책은 북한 사회를 이해하는 데 더없이 훌륭한 길잡이다.

▶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개정판 출간과 그 의의

1980년대 초중반 수많은 청년을 가슴 뛰게 했던 ‘공산주의운동’이라는 주제는 1980년대 말 동구 현실사회주의 체제의 붕괴와 1991년 소비에트연방의 해제 이후 급속히 그 관심과 활력을 잃어버렸다. 그러나 지금도 분단 상황이 지속되고 있고 북한 정권이 실재하는 한 이 주제는 여전히 중요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2014년 12월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통합진보당이 해산되고 5명의 국회의원이 의원직을 잃게 된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이후 이 주제는 다시금 대중의 관심 영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1973년 초 미국에서 출간된 로버트 스칼라피노와 이정식 교수의 공저 Communism in Korea를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한홍구 교수가 심혈을 기울여 번역한 『한국 공산주의운동사』(초판 전 3권)는 오랫동안 큰 도서관 혹은 헌책방을 통해서나 접할 수 있었던 이 분야의 고전이었다. 운동 편과 사회 편 두 권으로 된 총 1,532쪽의 방대한 원서 중 1986~1987년에 운동 편만 번역해 세 권짜리로 냈던 것을 근 30여 년 만에 합본 개정판으로 새로 단장해 선보이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세월의 흐름을 감안해 북한 쪽 자료를 접하기 어려웠던 초판 출간 당시에는 의미가 있었으나 이제는 굳이 소개할 필요가 없어진 90여 쪽의 북한 관련 자료는 수록하지 않은 대신 ‘21세기의 북한’이라는 주제로 이정식 교수의 새로운 분석을 추가했으며 이 분야 연구자들을 위해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연구 전반의 흐름을 논한 이정식-한홍구 교수의 특별대담 ‘이정식이 걸어온 학문의 길’을 부록으로 실어 그 의의를 더했다. 또한 초판에는 수록되지 않았던 중요 도판 다수를 추가해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역사를 모르면 아무것도 제대로 이해하거나 설명할 수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책을 번역하는 데 3년이라는 공을 들인 한홍구 교수는 이 책의 의의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힌다.

오늘날의 입장에서 볼 때 다소 반공적이고, 1970년대 이후 이북이 겪은 역사에 대한 설명이 빠져 있는 점이 아쉽긴 하지만, 근 100년에 이르는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전체를 아우르는 책으로는 아직도 이 책을 능가하는 것이 없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 공산주의운동사나 이북 현대사의 특정 시기나 특정 주제에 대해서는 뛰어난 연구 성과가 상당히 나왔지만, 이 책처럼 일관성을 갖고 큰 흐름을 설명하는 책은 서구 학계에서도 한국 학계에서도 아직 출간되지 않았다.

일제시대부터 지금까지 진보운동은 지배세력으로부터 늘 극심한 탄압과 경계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권위적인 독재체제의 으뜸 이데올로기는 언제나 ‘반공주의’였다. 3대 세습을 강고히 하고 자기들 말로 주체의 혁명 전통을 중시하는 북한을 우리가 함께 손잡고 일으켜야 할 형제이자 통일의 파트너로 보느냐 흡수 통일해야 할 주적으로 보느냐에 따라 우리 미래 세대의 운명이 달린 만큼 지나온 우리 역사부터 바로 보는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태도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진보운동의 전열을 가다듬고 향후 더욱 장기적이며 치밀한 전략을 구축하기 위해서라도 한국 공산주의운동의 흐름과 한계를 함께 인식할 필요가 있다.

▶ 뜨거운 민족주의운동으로 시작된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일제가 극심한 무단통치를 시행하던 1917년 10월 러시아에서 일어난 볼셰비키 혁명은 국내 대다수의 한국인들에게는 별다른 영향을 줄 수 없었던 반면, 동부 시베리아와 만주에 산재해 있던 많은 한인韓人이주자를 혁명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려들도록 했다. 물론 그들 모두가 독립운동가가 될 수는 없었지만, 그 가운데는 열정적인 민족주의자들이 있었다. 이들은 시베리아에서 동맹군을 절실히 필요로 했던 볼셰비키들에게 대단히 중요한 존재였다. 일본으로부터 직접적인 위협을 받았던 러시아인들이 보기에 최근 나라를 빼앗긴 쓰라린 아픔을 겪은 한국인보

목차

개정판 서문 7
개정판 옮긴이 서문 10
한국어판을 내면서 15
옮긴이 서문 18

머리말 28
서장 38
21세기의 초엽에 서서: 소련 붕괴 후의 북한 - 이정식 42

1부 식민지 시대

제1장 한국 공산주의의 기원

1. 시베리아에서의 한인 급진주의 70
2. 중국과 민주에서의 한국 공산주의 80
3. 소련과의 협상 87
4. 분열의 심화와 코민테른의 간섭 93
5. 아시아 공산주의운동의 파종播種 101
6. 자유시사변과 그에 따른 영향 108
7. 모스크바의 극동 ‘피압박인민대회’ 114
8. 파벌투쟁의 심화 127
9. 지령에 의한 화해 131
10. 국내의 공산주의 134
11. 초기 국면의 개요 148

제2장 시련의 시기

1. 파벌투쟁의 지속 158
2. 제2차 조선공산당과 그 와해 164
3. 제3차 조선공산당 181
4. 제4차 조선공산당과 당의 해체 185
5. 코민테른, 안내자와 개혁자 188
6. 민족주의, 공산주의, 협동전선 193
7. 국제노선의 좌경화와 그 반향 211
8. 협동전선의 해체 219
9. 프롤레타리아 문예운동 230
10. 제1세대 한국 공산주의자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234
11. 실패와 그 근본 원인 244

제3장 노동자, 농민, 유격대

1. 1925년 이후 만주에서의 한인 공산주의운동 256
2. 중국 내에서 한인 공산주의자들의 활동 297
3. 소련의 역할 310
4. 일본 내의 급진적 한국인들 311
5. 1928년 이후 국내의 공산주의 322
6. 김일성의 등장 338
7. 1945년 이전의 한국 공산주의에 대한 몇 가지 관찰 375

2부 해방 후(1945~1953년)

제4장 미군정기의 한국 공산주의

1.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387
2. 남한에서의 공산당 출현 394
3. 미국의 초기 정책과 한국의 ‘좌익’ 399
4. 공산당의 강령 402
5. 파벌투쟁 405
6. 당과 외곽단체의 강화 415
7. 경쟁적 합작 공세 435
8. 남한공산당 내부의 투쟁 455
9. 남로당의 조직구조 465
10. 공산당과 미군정 간의 격증하는 충돌 468
11. 공산폭동과 군부반란 479
12. 평가 484

제5장 소련 ‘후견’하의 북국 공산주의

1.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권력 참여 490
2. 김일성의 등장 503
3. 민족주의자들에 대한 탄압 527
4. 새로운 공산국가의 구조와 정책 531
5. 북한에서의 통일전선운동 544
6. 북조선노동당의 창립 551
7. 해방 이후 일 년간의 주요 흐름 562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565
9. ‘국내파’에 대한 탄압 581
10. 소련 대對 미국 587

제6장 한국전쟁과 북한

1. 공산주의자들의 정치적 통합과 재편 596
2. 군사력 강화와 전쟁의 발발 602
3.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원회의 618
4. 제4차 전원회의와 그 여파 623
5. 전시의 주요 문제 630
6. 정전과 박헌영 일파의 숙청 661
7. 정전 무렵의 북한 682

3부 북한

제7장 강행군의 시대

1. 당의 재건 704
2. 전후 초기의 최고 정치 엘리트 721
3. 당의 기초 확립 728
4. 군소 정당과 통일전선 735
5. 당의 대 사회단체정책 741
6. ‘특수 문제’로서의 지식인 문제 744
7. 군과 정치 749
8. 당내 무기로서의 민족주의의 등장 752
9. 탈脫스탈린화와 조선노동당 제3차 대회 760
10. 1956년 당시 조선노동당의 성격 763
11. 정치적 위기 769
12. 종파주의 문제의 해결 776
13. 김일성의 패권 789
14. 소련의 모델에 따른 경제발전 793
15. 3개년계획하의 농업정책 801
16. 3개년계획의 평가 803
17. 5개년계획 804
18. 변혁기의 통일정책과 외교정책 815

제8장 유일체제의 형성

1. 유일체제 형성의 정치학 846
2. 조선노동당 제4차 대회 852
3. 경제발전과 그 목표 860
4. 공산주의 세계의 동요 866
5. 통일 문제 882
6. 당내 독재와 유일사상을 향하여 888
7. 전쟁 준비의 강조 891
8. 최고위 간부들의 숙청 902
9. 조선노동당 제2차 대표자회 904
10. 세 발로 걷기: 1960년대의 경제적 성과 922
11. 국제관계에서 주체사상의 적용 928
12. 비틀거리는 ‘남조선해방’ 투쟁 967
13. 제5차 당 대회 977
14. 제5차 당 대회 이후 997
15. 미래를 향하여 1019

옮기고 나서 1023
이정식-한홍구 대담: 이정식이 걸어온 학문의 길 1025

참고자료 1081
찾아보기 1091

저자소개

저자 : 로버트 스칼라피노
저자 로버트 스칼라피노Robert A. Scalapino는 1919년생으로 1948년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캘리포니아대학 교수 겸 동 대학 동아시아연구소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소장을 역임했으며 극동문제 전문학술지 『아시안 서베이』Asian Survey의 편집장을 지내기도 했다. 2011년 타계했다.
주요 저서로는 Democracy and Party Movement in Prewar Japan(1953), Parties and Politics in Contemporary Japan(1962), Asia and Road Ahead(1975), Modern China and Its Revolutionary Process(1986 with George T. Yu) 등이 있다.

저자 : 이정식
저자 이정식李庭植은 1931년 평안남도 태생으로 1961년 캘리포니아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펜실베이니아대학 정치학 교수를 거쳐 현재는 펜실베이니아대학 명예교수이자 경희대 석좌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The Politics of Korean Nationalism(1963), 『김규식의 생애』(1974), Revolutionary Struggle in Manchuria: Chinese Communism and Soviet Interest, 1922-1945(1983), Japan and Korea: The Political Dimension(1985),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2013) 등이 있다. 역자 : 한홍구 역자 한홍구는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워싱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적인 한국 현대사학자이자 현재사학자로 불린다. 현재 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이자 평화박물관 상임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 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국정원 과거사위원회) 민간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대한민국사』(1~4권), 『특강』, 『지금 이 순간의 역사』, 『장물바구니』, 『직설』, 『유신』 등이 있다.
목차

도서소개

한국 공산주의의 원천은 무엇이고, 각각의 발전단계에서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공산주의운동과 어떤 관계를 맺었는가? 초기 공산주의 지도자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어떤 것이고, 운동의 발전과정에서 지도자들의 성격은 어떻게 변화해갔는가? 일본식 경찰국가는 극렬한 공산주의자들을 다루는 데 얼마나 효과적이었는가? 지하운동과 해외운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은 무엇이었는가? 운동선상에서 코민테른과 소련의 지도자들이 수행한 역할은 어떤 것이었으며, 해방 이전의 공산주의운동이 실패한 근본 원인은 무엇이었는가? 이와 같은 문제의식하에 ‘공산주의, 생성, 전통’이라는 세 가지 변수를 활용하여 식민지 시대 민족해방운동과 북한 체제를 분석한 이 책은 북한 사회를 이해하는 데 더없이 훌륭한 길잡이다.
한국 공산주의의 기원과 발전과정에 관한 독보적 연구

한국 공산주의의 원천은 무엇이고, 각각의 발전단계에서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공산주의운동과 어떤 관계를 맺었는가? 초기 공산주의 지도자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어떤 것이고, 운동의 발전과정에서 지도자들의 성격은 어떻게 변화해갔는가? 일본식 경찰국가는 극렬한 공산주의자들을 다루는 데 얼마나 효과적이었는가? 지하운동과 해외운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은 무엇이었는가? 운동선상에서 코민테른과 소련의 지도자들이 수행한 역할은 어떤 것이었으며, 해방 이전의 공산주의운동이 실패한 근본 원인은 무엇이었는가?

이와 같은 문제의식하에 ‘공산주의, 생성, 전통’이라는 세 가지 변수를 활용하여 식민지 시대 민족해방운동과 북한 체제를 분석한 이 책은 북한 사회를 이해하는 데 더없이 훌륭한 길잡이다.

▶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개정판 출간과 그 의의

1980년대 초중반 수많은 청년을 가슴 뛰게 했던 ‘공산주의운동’이라는 주제는 1980년대 말 동구 현실사회주의 체제의 붕괴와 1991년 소비에트연방의 해제 이후 급속히 그 관심과 활력을 잃어버렸다. 그러나 지금도 분단 상황이 지속되고 있고 북한 정권이 실재하는 한 이 주제는 여전히 중요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2014년 12월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통합진보당이 해산되고 5명의 국회의원이 의원직을 잃게 된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이후 이 주제는 다시금 대중의 관심 영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1973년 초 미국에서 출간된 로버트 스칼라피노와 이정식 교수의 공저 Communism in Korea를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한홍구 교수가 심혈을 기울여 번역한 『한국 공산주의운동사』(초판 전 3권)는 오랫동안 큰 도서관 혹은 헌책방을 통해서나 접할 수 있었던 이 분야의 고전이었다. 운동 편과 사회 편 두 권으로 된 총 1,532쪽의 방대한 원서 중 1986~1987년에 운동 편만 번역해 세 권짜리로 냈던 것을 근 30여 년 만에 합본 개정판으로 새로 단장해 선보이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세월의 흐름을 감안해 북한 쪽 자료를 접하기 어려웠던 초판 출간 당시에는 의미가 있었으나 이제는 굳이 소개할 필요가 없어진 90여 쪽의 북한 관련 자료는 수록하지 않은 대신 ‘21세기의 북한’이라는 주제로 이정식 교수의 새로운 분석을 추가했으며 이 분야 연구자들을 위해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연구 전반의 흐름을 논한 이정식-한홍구 교수의 특별대담 ‘이정식이 걸어온 학문의 길’을 부록으로 실어 그 의의를 더했다. 또한 초판에는 수록되지 않았던 중요 도판 다수를 추가해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역사를 모르면 아무것도 제대로 이해하거나 설명할 수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책을 번역하는 데 3년이라는 공을 들인 한홍구 교수는 이 책의 의의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힌다.

오늘날의 입장에서 볼 때 다소 반공적이고, 1970년대 이후 이북이 겪은 역사에 대한 설명이 빠져 있는 점이 아쉽긴 하지만, 근 100년에 이르는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전체를 아우르는 책으로는 아직도 이 책을 능가하는 것이 없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 공산주의운동사나 이북 현대사의 특정 시기나 특정 주제에 대해서는 뛰어난 연구 성과가 상당히 나왔지만, 이 책처럼 일관성을 갖고 큰 흐름을 설명하는 책은 서구 학계에서도 한국 학계에서도 아직 출간되지 않았다.

일제시대부터 지금까지 진보운동은 지배세력으로부터 늘 극심한 탄압과 경계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권위적인 독재체제의 으뜸 이데올로기는 언제나 ‘반공주의’였다. 3대 세습을 강고히 하고 자기들 말로 주체의 혁명 전통을 중시하는 북한을 우리가 함께 손잡고 일으켜야 할 형제이자 통일의 파트너로 보느냐 흡수 통일해야 할 주적으로 보느냐에 따라 우리 미래 세대의 운명이 달린 만큼 지나온 우리 역사부터 바로 보는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태도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진보운동의 전열을 가다듬고 향후 더욱 장기적이며 치밀한 전략을 구축하기 위해서라도 한국 공산주의운동의 흐름과 한계를 함께 인식할 필요가 있다.

▶ 뜨거운 민족주의운동으로 시작된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일제가 극심한 무단통치를 시행하던 1917년 10월 러시아에서 일어난 볼셰비키 혁명은 국내 대다수의 한국인들에게는 별다른 영향을 줄 수 없었던 반면, 동부 시베리아와 만주에 산재해 있던 많은 한인韓人이주자를 혁명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려들도록 했다. 물론 그들 모두가 독립운동가가 될 수는 없었지만, 그 가운데는 열정적인 민족주의자들이 있었다. 이들은 시베리아에서 동맹군을 절실히 필요로 했던 볼셰비키들에게 대단히 중요한 존재였다. 일본으로부터 직접적인 위협을 받았던 러시아인들이 보기에 최근 나라를 빼앗긴 쓰라린 아픔을 겪은 한국인보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