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전근대사
1편 원시 사회의 해체와 국가의 형성
1장 역사의 의미 ~ 우리 민족의 기원
1 역사의 의미와 학습 목적
2장 원시 생활과 도구의 사용
1 석기 시대의 비교
2 금속기 시대 비교
3장 고조선과 열국의 성장
1 고조선
2 열국의 성장
2편 전근대사 - 정치
4장 삼국의 성립과 발전
1 삼국의 성립과 고대 국가로의 성장
2 고구려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3 삼국의 통치 체제
5장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
1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2 남북국의 통치 체제
6장 후삼국의 통일과 통치 체제의 정비
1 고려의 건국과 민족 재통일
2 통치 체제의 정비
3 고려의 통치 체제
7장 고려 정치사의 전개
1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
2 고려의 대외 관계
3 원의 간섭과 고려의 정치 변동
8장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1 조선의 건국과 초기 체제 정비 과정
2 통치 체제의 정비
9장 조선 정치사의 전개
1 사림의 등장과 사화의 발생
2 붕당 정치의 전개
3 탕평 정치
4 세도 정치
10장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
1 대명 사대 정책
2 임진왜란
3 정묘ㆍ병자호란
3편 전근대사 - 경제
11장 토지 제도· 조세 제도
1 토지 제도
2 조세 제도
12장 고대 · 고려의 경제
1 삼국의 경제
2 남북국 시대의 경제
3 고려의 경제
13장 조선의 경제
1 조선 전기의 경제
2 조선 후기 농업의 발전과 농민층의 분화
3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4편 전근대사 - 사회
14장 고대 · 고려의 사회
1 삼국의 사회
2 남북국 시대의 사회
3 고려의 사회
15장 조선의 사회
1 신분 제도
2 사회 정책과 제도
3 향촌 사회의 모습
4 신분제의 동요와 향촌 질서의 변화
5 새로운 사회를 위한 노력
5편 전근대사 - 문화
16장 사상사
1 불교
2 도교의 풍수지리
3 유교
17장 유형 문화
1 문화재
2 무형 문화
3 과학 기술의 발달
4 서적 편찬
색인
2권 근현대사
6편 근·현대사 - 근대
18장 흥선 대원군의 개혁과 개화 정책
1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와 통상 수교 거부정책
2 개항과 개화 정책
3 개화 정책에 대한 반발
19장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1 근대화 운동의 전개
2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의 수립
20장 국권 피탈과 저항
1 국권의 피탈
2 의병 투쟁의 전개
3 애국 계몽 운동
21장 경제적 침탈과 저항
1 미곡 유출·상권 침탈과 저항
2 이권의 침탈과 수호
3 토지·금융 침탈
22장 사회·문화의 변화
1 근대 의식의 확산과 사회 모습의 변화
2 근대 문물의 수용
3 근대 교육과 국학 연구, 종교·문화계의 변화
7편 근·현대사 - 일제 강점기
23장 일제의 식민 통치와 경제 수탈
1 일제 통치 체제의 변화
2 일제 경제 수탈의 심화
24장 민족 독립운동
1 1910년대 국내외의 민족 운동
2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3 국내의 만세 운동
4 1920년대 국내외의 무장 투쟁
5 1930년대 이후 국외의 무장 투쟁
25장 사회 · 경제적 민족 운동
1 실력 양성 운동
2 민족 운동의 분화와 합작
3 사회 운동과 한국인의 생활
26장 민족 문화 수호 운동
1 일제의 교육 정책과 역사·언론·종교 탄압
2 국학 연구
3 종교·문학·예술
8편 근·현대사 - 현대
27장 광복과 분단
1 강대국과 민족 세력의 갈등
2 5·10 총선거와 대한민국의 수립
28장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1 제1공화국과 4·19 혁명
2 5·16 군사 정변과 제3공화국
3 유신 헌법과 장기 독재 체제의 구축
4 군사 정권의 연장과 6월 민주 항쟁
5 민주화의 진전
29장 남북 관계의 진전
1 냉전과 남북 대화의 시작
2 남북 대화의 진전과 통일 논의
30장 현대의 경제 · 사회 · 문화
1 정부 수립 전후의 경제 상황
2 경제 개발 5개년 계획과 이후의 경제 변동
3 현대의 사회 문화
부록
1 고고학 용어
2 국왕별 정리
3 역대 연호
4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5 지역사 정리
6 근현대 인물사
7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