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고도 단단한 착실함으로
오늘도 한 칸씩 나아가는 이들에게
회사원, 엄마, 작가 등 여러 정체성으로 삶을 굴리는 박솔미는 봄을 감싸는 향, 여름을 달구는 태양, 가을을 입히는 단풍 같은 사계의 풍류를 넋 놓고 즐기지 못하는 사람이다. 계절을 배경 삼아 사진이나 몇 장 찍어두고, 최종 목적지인 겨울을 향해 열심히 삶을 굴릴 뿐이다. 하루치 해야 할 일, 또 하루치 해내고 싶은 일들을 꼬박꼬박 달성하며 사랑하는 겨울을 향해 앞으로 앞으로 나아간다. 겨울에 이르러서야 편히 호흡을 고른다. 어디까지 왔고, 어디로 가고 있는지 점검할 수 있는 명분이 생기는 계절이기에. 도무지 언제부터 뿌리내린 건지 짐작하기 힘든, 깊고도 단단한 착실함으로 하루하루 살아가는 이들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자신이 믿는 바를 한 겹 두 겹 쌓아가는 과정 그 자체를, 묵묵히 신뢰하자고 말하면서. 성실했던 나날들이 무색하게 대단한 성과를 이루지 못했더라도, 일단 올해를 무사히 완주했음을 담백하게 자축하자고. 그래도 괜찮다고.
겨울을 닮아 고요한 이들에게,
걱정하지 말고 나만의 노래를 부르자고
“솔미는 원래 그렇게 말이 없니?” 저자가 살면서 숱하게 들어온 말이다. 말수가 적게 태어난 그는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는 신중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 몇몇 주변 사람들은 고요한 겨울의 모습을 한 그에게서 마른 가지가 바람에 부딪는 소리가 난다고 말한다. 통통 튀는 말투로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해야 마땅했던 사회 초년생 시절, 특히 오해를 샀다. 하지만 침묵을 인정해 준 따뜻한 선배들 덕분에 분위기를 띄우진 못해도 남의 말을 귀담아듣는 어엿한 사회인으로 자라났다. 귀로 머금은 말들에 자신만의 해석을 덧붙여 담담히 글을 써 내려가는 사람이 되었다. 속에 있는 것을 다 발산하고 비워낼 때 만족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모든 메시지를 수렴한 뒤 버릴 건 버리고 담을 건 담으며 정돈하는 기쁨을 누리는 이들도 있다. 타고난 기질 그대로, 서로 보조를 맞추며 우리는 함께 잘 살 수 있다. 각자의 역할에 대해 생각할 때면 그는 이 가사를 입안에서 주문처럼 굴린다. "네가 가진 노래를 부르려마. 난 미리 걱정하지 않는단다."_김국환 〈아빠와 함께 뚜비뚜바〉
마침표는 마침내 시작점
겨울 마침표로 삶의 지향점을 이어가기를
한 해의 끝자락, 우리는 지나온 시간들을 돌아보며 다음 해의 계획을 세운다. 겨울의 다짐에는 조금 더 잘 살아보고 싶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겨울마다 찍어온 선명한 마침표들을 모아보면 삶의 지향점을 발견할 수 있다. 지향점이 있다면 방향을 잃더라도 다시 길을 찾을 수 있다. 그러니 이 겨울 잠시 멈추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을 꺼내 내 마음에서 잘 보이는 곳에 놓아 두자. 무엇이든 지향점이 될 수 있다. 롤모델로 삼을 만한 인물도, 문학 작품의 글귀도, 울림이 있는 미술 작품도, 누군가의 연주도 좋다. 올겨울에는 이 책도 그 장면에 한 조각을 차지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