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역량: 합격을 결정하는 6가지
- 이 학생이 스스로 성장하며, 더 깊은 공부와 협업을 이어갈 힘
이 있는가?
역량 1. 학업 역량-모든 입시의 기초
역량 2. 자기주도성-스스로 공부하는 힘
역량 3. 탐구 역량-질문하고 파고드는 힘
역량 4. 전공적합성 - 우리 학과에 맞는 학생인가?
역량 5. 인성-성실하고 함께하는 태도
역량 6. 의사소통 능력-듣고 쓰고 말하는 힘
더보기. 고교학점제 _‘내 아이가 무엇을 좋아하고, 어떤 세상에서 살아가고 싶은가’
2부 전략: 반드시 통하는 초중고 12년 입시 전략 8
- 문제 유형을 읽고 설명하는 힘, 이 학생은 입시의 본질을 꿰뚫고 있는가?
전략 1. 정답보다 중요한 건 ‘설명하는 힘’
전략 2. 상위 1%를 가르는 힘은 ‘문제의 유형’ 파악에 있다
전략 3. 상위권 대학이 원하는 역량, 영재교육원 문제에 있다
전략 4. 초등 공부, 영재교육원 질문에서 방향을 찾다
전략 5. 중학교 입시를 들여다보라, 공부 방향이 보인다
전략 6. 고입 자기주도학습전형, 대입 학종의 축소판
전략 7. 고입 면접과 대입 구술, 본질은 하나다
3부 공부법: 고교학점제 시대, 아이의 공부법을 재설계하라
- 달라진 문항과 평가 방식, 공부법의 혁신이 합격을 결정한다
공부법 1. 문제를 보면 공부의 방향이 보인다
공부법 2. 고교학점제, 사고와 표현력을 준비하라
공부법 3. 시대가 바뀌면 문제도 바뀐다
공부법 4. 문항이 달라지면 공부법도 혁신하라
공부법 5. 이해·적용·표현·성찰을 아우르는 4단계 학습법
더보기. 고교학점제에서 더욱 빛나는 프로젝트형 인재로 성장하는 5가지 방법
4부 평가: 일반고 VS 특목고 VS 자사고, 내신 문항 무엇이 다른가?
- 학교 유형마다 달라지는 시험, 공부 전략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평가 1. 내신의 대세가 된 서술형·논술형
평가 2. 서술형과 논술형, 무엇이 다른가
평가 3. 일반고·특목고·자사고, 난이도의 차이
평가 4. 일반고·특목고·자사고 서술형·논술형 문제 특징과 예시
평가 5. 수행평가가 세특의 깊이를 결정한다
5부 관문: 대입을 가르는 4가지 관문 돌파하기
- 수능·논술·구술·학생부, 대학 문 앞에서 학생을 시험하는 네 가지 열쇠
관문 1. 변별력은 약해졌지만 영향력은 커진 수능
관문 2. 나의 내신보다 대학을 높여갈 수 있는 논술
관문 3. 대입의 마지막 관문 구술면접
관문 4. 학교생활기록부가 입시의 시작이자 끝인 이유
6부 표현의 기술: 입시를 이기는 글쓰기 스킬
- 탐구보고서·발표·토론까지, 말하고 쓰는 힘이 곧 경쟁력이다
표현 1. 탐구보고서 주제 잡는 법
표현 2. 탐구보고서 작성법
표현 3. 발표, 말하기로 설득하는 힘
표현 4. 토론과 토론 후 글쓰기
부록 초중고 12년 입시 로드맵
로드맵 1. 초등학교 6년 - 공부 DNA를 만드는 시간
: 진로의 가능성을 열고 역량을 키워라
필요할 때 공부할 수 있는 힘, ‘공부 정서’
경쟁 무대에 너무 일찍 올리지 않기
초등 때 놓치면 돌이킬 수 없는 독서력 + 표현력
부모가 아닌 아이의 눈으로 진로 보기
초3부터 시작하는 국영수 학습 전략
로드맵 2. 중학교 3년 - 대학을 결정하는 공부법
: 진로를 발견하고 학업의 흐름을 만들어라
고교학점제 시대, 중학교 진로 설정이 답이다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대학 학과 연계해 탐색하기
학교생활기록부, 입시의 설계도를 완벽 분석하라
선행학습, ‘빠르게 많이’보다 ‘천천히 확실히’
1등급 사수가 중요한 5등급제 내신과 평가 변화
내 아이에게 맞는 고등학교 선택 가이드(일반고·특목고·자사고)
로드맵 3. 고등학교 3년 - 대학 합격을 설계하는 시간
: 현실적인 전략으로 나만의 합격 로드맵을 완성하라
고등학교 3년, 학년별 전략 로드맵을 짜라
고등학교 1학년, 무조건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시작
고등학교 2학년, 학종·논술·수능 전략의 분기점
고등학교 3학년, 수시원서 6장으로 완성하는 입시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