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축간사|국역 초은시집 간행을 축하합니다
간행사|책머리에
해설
지은이에 대하여
일러두기
樵隱詩集卷一
초은고서 樵隱稿序
초은유고서 樵隱遺稿序
오언절구 五言絶句
밤에 앉아 ‘미味’자로 즉석에서 읊다 夜坐口占得味字
형님의 묘비에 쓰다 題伯氏墓碑面
족형 쌍봉을 애도하다 悼族兄雙峯
산행山行
장내원 집에서 묵다 宿張乃元舍
청림 묘사에서 머물다 留靑林墓舍
내소사 향각 來蘇香閣
월정대에서 이상국의 운을 차운하다 月精臺 次李相國韻
우금암 禹金巖
용추龍湫
실상사 實相寺
사자암 獅子庵
지장암 智藏庵
웅연熊淵
검모포 黔毛浦
와룡소 卧龍沼
용각대 龍角臺
동지 冬至
옷을 재단하다 裁衣
콩나물을 키우다 長太菜
서림정을 지나며 過西林亭
명산을 생각하며 憶名山
운수상인에게 주다 贈雲水上人
안경 眼鏡
의호에서 밤에 앉아 衣湖夜坐
오언율시 五言律詩
월명암에서 어일재 운을 차운하다 月明庵 次魚一齋韻
실상사 벽에 쓰다 題實相寺壁
월명암에서 백상사 청전의 운을 차운하다 月庵次白上舍青田韻
승렬 아우를 곡하다 哭升烈弟
청련암에 쓰다 題靑蓮庵
삼현동에서 비석에 쓰다 三峴洞題碑
월명암에 올라서 전복야의 영은사 운을 차운하다 上月明次全僕射
강수은 항의 원효암 운을 차운하다 次姜睡隱沆元曉菴韻
쌍선봉에 올라 금계군 박오창의 원효암 운을 차운하다 登雙仙峯 次錦溪君朴梧窓元曉庵韻
유시남의 제실상사 운을 차운하다 次兪市南題實相寺韻
응산재각에서 재숙 동미 동농과 함께 짓다 鷹山齋閣共再叔東湄田東農作
눈꽃 雪花
실상사에서 자다 宿實相寺
만하루의 운을 차운하다 次挽河樓韻
밥섬의 정양신 집 食島鄭良信家
절에 올라가 판상의 운을 차운하다 豋寺次板韻
청련암에서 동미의 운을 차운하다 靑蓮庵次東湄韻
다시 월명암의 원운을 차운하다 更次月庵原韻
오언고시 五言古詩
옛 생각 古意
봄날의 산방 春日山房
장암령에 올라가 가마소로 내려오다 登壯巖嶺下釜沼
청림추사에서 짓다 青林楸舍作
치통 齒痛
우금암에서 ‘어魚’자로 연구를 짓다 禹金巖聯句得魚字
실상사 고적을 살피다가 월파 최경의 고시를 얻어 그 운을 차운하여 ‘택宅’자로 연구를 짓다 閱實相古蹟得月坡崔勁古詩用其韻作聯句得宅字
사랑하는 꽃을 읊다 愛花吟
실상사에서 일찍 출발하다 實相早發
산행에 부치다 寄山行
석양 夕陽
성묫길 楸行
산행하다가 ‘마麻’자로 짓다 山行得麻字
칠언절구 七言絶句
동미의 국화 화분을 차운하여 次東湄盆菊
신풍 여행에서 주선을 만나다 新豐旅會逢酒仙
동미의 ‘고분叩盆’ 운을 차운하다 次東湄叩盆韻
실상동 성묫길 10칙實相洞省行十則
남숙에서 이순중과 함께 바둑을 관람하다 南塾與李舜中觀碁
서림정 옛터를 지나다 過林亭古墟
글방을 보수하다 修文房
병중 한식 病中寒食
운정의 초여름 雲亭初夏
정호곡 定湖曲
운정에서 감회를 쓰다 雲亭感題
용추를 지나 내소사에 이르다 過龍湫至來蘇
웅연에서 성묘하다 省熊淵
동지 새벽에 짓다 冬至曉作
원고를 산정하다 刪藁
가친의 생신 家親晬辰
아우의 시를 붙임 附舍弟
입춘 立春
생일 初度
운정에서 읊조리다 雲亭口占
추랑에게 주다 贈秋娘
초파일 燈辰
작약 芍藥
추려에 쓰다 題楸廬
부숴진 절 敗寺
모친 묘소에 비석을 세우다 親塋立石
초한 初寒
빗속에 그리운 사람 雨中懷人
월암에서 밤에 앉아 청림사 선탄의 운을 차운하다 月庵夜坐次青林寺禪坦韻
전동농의 시를 붙임 附田東農
기억 記憶
꿈속의 신선 夢仙
봄날 낮에 후원에 들어가 살펴보다가 우연히 짓다 春晝入後園觸覽偶成
매화 梅花
딸의 결혼 女婚
산행 山行
청련암 靑蓮庵
운정의 윤달 봄 雲亭閏春
접시꽃 蜀葵花
장마비 霖雨
추석 전야 秋夕前夜
만국 晩菊
서림정에 오르다 登林亭
막내 동생의 묘를 지나다 過季弟墓
화분에 심은 파초 盆蕉
창주군에게 주다 贈滄洲君
사동 재실에서 자다 宿獅洞楸舍
그리운 사람 懷人
춘일을 보내며 친구를 만나다 餞春日逢舊
호수 언덕을 지나다 過湖岸
청림 집에서 자다 宿青林舎
성묫길 도중 省行路中
‘시사의 우울한 소식은 어떻게 생겼는가’ 운을 차운하다 次時事鬱報烏有生韻
산행 뒤에 짓다 山行後作
춘일을 보내며 짓다 餞春日作
두견화에 쓰다 題鵑花
비 온 뒤 경치 雨後景
초당 草堂
추전을 초하다 草鄒傳
송첨 松簷
중양 重陽
김도사를 애도하다 輓金都事
집거위 宅居羽
난을 그리다 畵蘭
경승을 찾다 搜勝
김영북을 애도하다 輓金瀛北
저포 놀이樗蒲
칠서七書
고깃배 불漁火
토끼섬兎嶼
빗속雨中
고향에 돌아가는 곽안성을 송별하다 送郭安城還鄉
바다 위에서 자다 宿海上
진사를 지나다 過鎭舍
집에 돌아오다 還家
배로 가다舟行
감회를 적다書感
뱃속에서 밤에 운자를 집어들다 舟中夜拈
조상서의 운정 운을 차운하다 次趙尙書雲亭韻
황사군 화암의 팔경 운을 차운하다 次黃使君華庵八景韻
삼종형 직천의 운정잡영을 차운하다 次三從兄直川雲亭雜詠
벼슬길에 나가는 동미를 송별하다 送東湄旅宦
한식일에 짓다 寒食作
추석 시를 차운하다 次秋夕詩
중양 重陽
큰 바람 大風
관아의 차인을 탄식하다 歎府差
생강을 먹다 食薑
패상행 沛上行
후당의 절구 後唐絕句
악부 樂府
생일날 감회 晬懷
수은집을 보고 감회가 있어 見睡隱集有感
樵隱詩集卷二
칠언절구 七言絶句
마른 언덕에 물을 대어 심다 乾坂注秧
월명암에서 차운하여 짓다 月明庵拈韻
돼지와 뱀 豕蛇
박덕재가 보여준 시운을 차운하여 次朴德齋示韻
매창 묘 梅窓墓
포고문 布文
춘사 春詞
백낙천의 시를 차운하여 뜻을 적다 次白樂天詩寫意
엄자릉의 조대 운을 차운하다 次子陵釣臺韻
전가 田家
권사군을 이별하다 别權使君
태종우 太宗雨
동미의 운을 차운하다 次東湄
동미를 애도하다 輓東湄
칠언율시 七言律詩
눈 내리는 달밤에 시 친구를 맞이하다 雪月夜邀詩伴
동미 집에서 밤에 모이다 東湄堂夜會
눈과 달 가운데 시 친구와 함께하다 雪月中與詩伴
전동농을 만나다 逢田東農
제석 종을 칠 때 전동농이 찾아와 회포를 풀다 歲除隔數鍾田東農委訪敘懷
제석에 동미 집에서 除夕東湄堂
신정에 사람을 만나다 新正逢人
대보름 밤에 소암에서 上元夜蘇庵
동미 집에서 다시 모이다 東湄堂更會
삼월 초하루에 전동농을 만나다 三月初吉逢田東農
전동농이 낙방하고 찾아오다 田東農下第而來訪
중양절 다음 날 여러 동료와 함께 산에 오르다 重陽翌日與諸伴登高
전동농의 조카 학포와 함께 하다 與田東農族侄鶴圃
금릉 명사인과 함께 산에 오르다 與金陵明詞人登高
단오절 길사 端午吉事
학포와 함께 절에 오르다 與鶴圃豋寺
한가한 날 운정에서 暇日雲亭
세모에 감회를 풀다 歲暮叙懷
호중 여사에서 제석에 동미 운을 차운하다 湖中旅舍除夕次東湄
명오정, 김동산과 함께 산에 오르다 共明梧亭金東山登高
9일에 산에 오르다 九日登高
가을 끝자락에 산에 오르다 秋盡豋高
시월 보름날 박독연재의 시 모임 十月之望朴獨蓮齋詩契
여러 동료와 함께 소암에서 수세하다 與諸伴蘇庵守歲
약천당 시회 若川堂詩會
가을날에 김금하와 전동농을 만나다 秋日逢金錦霞田東農
백청전・이간재와 함께하다 共白青田李艮齋
소래사에서 수세하다 蘇寺守歲
맏아들의 죽음을 당한 뒤… 若川弟爲慰我設詩會
동미 집에서 눈 내리는 밤에 東湄堂雪宵
동미가 보내준 운을 차운하다 次東湄寄示韻
벽지 수령 조석초의 ‘풍성야음’을 차운하다 次碧池倅趙石樵豐城夜吟
봄날 성안의 사찰 春日城寺
부친이 첫생일인 아이에게 관례를 올려주다 家君初度良兒加冠
금성 도중에 은난정과 함께 짓다 錦城路中共殷蘭汀作
남한 김풍남를 만나 읊다 逢南漢金豐南吟
약천 집에서 양석치를 만나다 若川堂逢粱石癡
김풍남에게 주다 贈金豊南
소한 밤에 약천 집에서 눈을 읊다 小寒夜若川堂詠雪
김계파에게 주다 贈金桂坡
이한초에게 주다 贈李漢樵
동미 집에서 이향농을 만나다 東湄堂逢李香農
이향농과 함께하다 共李香農
오성재와 함께하다 共吳性齋
김시은과 함께하다 與金詩隱
동미의 홍백매화 병풍 운을 차운하다 次東湄紅白梅屏韻
소래사에서 수세하다 蘇寺守歲
동미 집에서 짓다 東湄堂作
김영북 집에서 시회하다 金瀛北堂詩會
함라 조연농을 만나 산에 오르다 逢咸羅趙研農登山
월명암 月明庵
토란을 처음 평정하고… 김만취를 만나 심정을 말하다 土亂初平適逢金晚翠叙情
설날 아침 元朝
김윤문과 함께 실상동에 들어가다 共金潤文入實相洞
청림별장 青林别庄
완산 박긍농과 함께 절에 오르다 與完山朴肯農登寺
청심헌에서 밤에 앉아 清心軒夜坐
김동운・김율재와 함께 임정에서 짓다 共金東雲金栗齋林亭作
동미와 함께 전동농을 방문하다 共東湄訪田東農
국사와 함께 절에 오르다 共菊史登寺
인일 밤에 동미 집에서 여러 동료와 함께 짓다 人日夜東湄堂共諸伴作
상원일 밤에 화성 파범운과 함께 절에 오르다 上元夜共華城波泛雲登寺
상사일 임정에서의 시 모임 上巳林亭詩契
상사일 밤에 임지은과 함께 짓다 上巳夜共林芝隱作
한식일에 범운・동농과 함께 짓다 寒食日共泛雲東農作
산에 들어가는 도중에 入山途中
중계 도중에서 지주 민의 마천대 운을 차운하다 中溪途中次地主閔摩天臺韻
청림에서 묵으며 이상사의 마천대 운을 차운하다 宿青林次李上舍摩天臺韻
동미 숙부가 남군에서 돌아오니… 不期而成巨集
동농・범운과 함께 절에 오르다 共東農泛雲登寺
신추에 조지천씨・심범운・전동농과… 遊眞洞林齋
앞의 동료와 함께 또 개암사에 들어가다 共前伴又入開巖寺
범운・동농과 함께 절에 올랐다가 임정으로 내려오다 共泛雲東農登寺又下林亭
동미 집에서 전동농・조효봉과 함께하다 東湄堂共田東農趙曉峯
서정에서 9일의 시 모임 西亭九日詩契
앞의 동료와 함께 절에 올라가 하루 자다 共前伴登寺一宿
김죽사을 애도하다 輓金竹史
세초에 동농과 함께 응산재각에 가서… 歲初與東農往鷹山齋閣
상원 전날… 응산재각에 놀러가서… 上元前日同東農東湄遊鷹山齋閣
내소사에서 자다 宿萊蘇寺
중양일에 임정 시 모임의 운을 차운하다 次重陽日林亭詩契
산행하다가 ‘경輕’자를 얻어 짓다 山行得輕字
쌍 퉁소 雙簫
노인당 벽의 부거 운을 차운하다 次老人堂壁芙蕖韻
세모에 소암에서 동봉・지은과 함께 짓다 歲暮蘇庵共東農芝隱作
오금산의 입춘 운을 차운하다 次吳琹山立春韻
금산의 설날 아침 운을 차운하다 次琴山元朝韻
재종숙 춘촌을 애도하다 輓再從叔春村
전동농을 애도하다 輓田東農
중추 작은 그믐에… 개암사에서 자다 仲秋小晦宿開巖寺
변산에서 단풍을 감상하다 邊山賞楓
9일 임정 시 모임 九日林亭詩禊
김구사과 함께 초산행을 짓다 共金龜史作楚山行
옛 내장산에서 단풍을 감상하다 古內藏賞楓
원적암에서 머물며 앞의 운을 사용하다 宿圓寂庵用前韻
고개를 넘어 구암사에 도착하다 踰嶺到龜巖寺
쌍계루에서 판상의 운을 차운하다 雙溪樓次板上韻
백련암 白蓮庵
약사암 藥師庵
운문암에서 자다 宿雲門庵
영주 혼가에서 자다 宿嬴州婚家
여러 소년과 함께 다음날 두승산에 오르다 共諸少年翌日登斗升山
유선암에서 자다 仍宿遊仙庵
동미 숙부가 완부에서 보여준 운을 차운하다 次東湄叔完府示韻
동미 숙부의 ‘산으로 돌아가는 임돈헌을 송별하다’ 운을 차운하다 次東湄叔送林遯軒歸山韻
동미 재숙부의 ‘완부음’ 운을 차운하다 次東湄再叔完府吟韻
동미가 보여준 운을 차운하다 次東湄示韻
황화탄 黃花歎
수선화탄 水仙花歎
양자․묵자와 거리를 둔다고 말할 수 있는 자는 성인의 무리이다 能言儒墨疎者聖人之徒也
내장산사 內藏山詞
우화사사 牛華寺詞
고경명순절사의 부록 ‘증제애송(김천일의 부인)’을 고치다 改補高敬命殉節祠錄贈祭哀頌
가을날에 송공의 반신상과 오공·이공의 윤각상을 보고 읊다 秋日詠宋公半身像吳公李公輪廓像
자연암사 自然庵詞
다 득봉소곡 多得峰小曲
잠결에 지은 노래는 기억나지 않는다 寐歌不憶
왜구를 물리친 김맹곡을 찬양하다 讚金孟谷破倭
청언은 공명이 불러온 재앙이다 靑言明禍
숭암ㆍ학암ㆍ천사 등의 건립량으로 그의 시운을 차운하다 崇庵鶴庵泉寺等創梁次其詩韻
행애가 幸愛歌
한심가 寒心歌
고군산가 古群山歌
변산행 邊山行
황화탄 黃花歎
수선화탄 水仙花歎
양자․묵자와 거리를 둔다고 말할 수 있는 자는 성인의 무리이다 能言儒墨疎者聖人之徒也
내장산사 內藏山詞
우화사사 牛華寺詞
고경명순절사의 부록 ‘증제애송(김천일의 부인)’을 고치다 改補高敬命殉節祠錄贈祭哀頌
가을날에 송공의 반신상과 오공·이공의 윤각상을 보고 읊다 秋夜長
채석강사彩石江詞
옮긴이에 대하여
附錄|樵隱詩集影印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