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권
서문
1장 서론: 바람 아래의 땅
지리적 단위로 보는 동남아시아 | 인문적 단위로 보는 동남아시아
2장 신체적 건강
인구 | 농업의 양상 | 토지소유권과 사용권 | 농업 도구 | 식생활과 식재료 공급 | 의례로서의 고기 먹기 | 물과 술 | 잔치와 음식 | 빈랑과 담배 | 건강한 사람들? | 위생 | 의술 | 풍토병과 역병
3장 물질문화
허술한 집, 장엄한 사원 | 가구와 조명 | 몸치장 | 머리카락 | 복식 | 직물 생산과 무역 | 금은공예 | 특산 공예품 | 도자기류 | 금속기: 권력의 열쇠 | 철 | 구리, 주석, 납
4장 사회조직
전쟁 | 노동력 동원: 노예제와 종속관계 | 법과 재판 | 성관계 | 결혼 | 어린 신부? | 출산과 출생률 | 여성의 역할
5장 축제와 오락
극장 국가 | 시합과 경기 | 대중적 시합 | 연극, 무용, 음악 | 폭넓은 문해력? | 필기구 | 구전문학과 기록문학
2권
서문
6장 교역의 시대, 1400~1650년
향료와 후추 | 1400년 무역의 시작 | 활황기 1570~1630년 | 금은의 수입 | 인도산 직물의 수입 | 환금성 작물 | 동남아시아 정크선의 전성기 | 항해술 | 선상 조직 | 내륙 교통: 강과 육로
7장 도시와 교역
항구-도시와 무역 네트워크 | 도시의 규모 | 동남아시아 도시의 구조 | 시장 | 화폐와 상업화: 은의 승리 | 금율 조직 | 오랑카야: 상업 지배층 | 도시화와 자본주의
8장 종교 혁명
동남아시아 종교 | 개종 또는 귀의 | 1540~1600년: 양극화와 종교적 경계 | 개종의 매력 | 어려운 전환 | 자바의 특별한 경우 | 이슬람 경전적 영향력의 전성기 | 대륙부 동남아시아에서 이슬람의 도전 | 불교와 국가
9장 절대 국가의 문제점
고전 국가의 위기 | 15세기의 항구-국가|장기 16세기의 국가 형성 | 무역 세입 | 군사 혁명 | 외교 | 레몬즙 쥐어짜기 | 절대주의와 그 경쟁자
10장 동남아시아 빈곤의 기원
경제성장의 내재적 한계? | 유럽과의 결정적인 군사적 충돌 | 몬족과 자바인 화물 운송의 몰락 | 17세기의 ‘위기’(무역 퇴조,기후) | 세계경제로부터의 후퇴 | 무역 수익 상실에 대한 반응 | 중국인의 교역과 인종적 양극화 | 이슬람 교역의 마지막 저항, 1650~1688년
결론 연속성과 변화들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