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1원융(圓融)회통(回通)
공적(空寂)한 무심(無心)의 예술
간화결의(看話決疑)와 화리(畵理)
중관사상(中觀思想)의 ‘공(空, śūnya)’과 예술
이기(理氣)로서 성정(性情)과 화리(畵理)
무위심(無爲心)과 원융무애(圓融無礙)의 선서화(禪書畵)
융섭으로서 ‘체용(體用)’의 민화(民畵)
상생(mutual-relationship)의 동양 예술—순환성(circularity)으로서 교차(chiasme)
동양화론 탐미
화쟁(和諍) 사상과 예술 철학
화쟁(和諍)으로서 한국화(韓國畵)
CHAPTER2혼화(混化)모색
무의식(unconscious)이 일으키는 예견으로서 카오스(chaos)
뉴미디어 예술의 환영주의(illusionism) 언어로서 알고리즘(algorism)
현존재의 시간성(Die Zeitlichkeit Dasein)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AlfWhitehead)의 위상(phases)과 창작의 공명
‘장소-의식 시학(place-conscious poetic)’의 예술론
공존(coexistence)의 동시대(contemporary) 예술론
융합(融合, coniunctionis)으로서 혼화(混化)와 예술 섭리(藝術攝理)
무한(無限, infinite) 감응(response)에 따른 무의식(unconsciousness) 작용
시간이 갖는 영속성(permanence)으로서 순응(conformation)
관계 형성으로서 정신 분석학과 현대 예술
보편화한 접목(La greffe généralisée): 여백(la marge)
상생(Mutual-Relationship)의 신체론 9
정신 분석으로서 에크리(Écrits)와 예술
회화에 나타나는 모리스 메를로-퐁티 철학
예술에서 열림의 ‘애매성(l’ambiguïté)’
파편(fragment)으로서 현대 미술의 언어
해체 철학과 현대 예술
존재론으로서 흔적(ontological trace)
차이(la différance)와 대리보충(supplément)으로서 융화(harmony)
감관(Sinne)이 품어 내는 느낌의 순응(Confornation of Feeling)
변화로서 영속성을 품는 도전
예술에서 원융(圓融)의 목소리
현대 미술과 비평
시각 해체(deconstruction)
CHAPTER3공적(空寂)한 심정(心情)
이쾌대(李快大) 예술의 무아(無我)로서 자기 동일체 세계
극재(克哉) 정점식(鄭點植)의 예술 세계
이우환(李禹煥)의 예술성과 작품 진단
한국 미술이 품은 원융불이(圓融不二)한 공적(空寂)
처용화(處容畵)의 화해(和諧) 구조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