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레벨 1] AWS 입문하기
00장 AWS 실습 환경 구축하기
_0.1 AWS 회원 가입하기
_0.2 AWS 사용 방법 살펴보기
__0.2.1 AWS 루트 사용자
__0.2.2 레벨별 AWS를 사용하는 방법
_0.3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로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 관리하기
__0.3.1 맥OS에서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 관리하기
__0.3.2 윈도우에서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 관리하기
_0.4 예제 코드 저장소 위치
_0.5 클라우드포메이션 사용해보기
_0.6 AWS에서 생성형 AI 활용 방안
__0.6.1 코드 작성
__0.6.2 솔루션과 트러블 슈팅
01장 AWS를 쓰려면 알아야 하는 넓고 얕은 배경지식
_1.1 AWS 입문하기
__1.1.1 AWS란 무엇인가?
__1.1.2 AWS, 어떻게 탄생했고 왜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가?
__1.1.3 ‘AWS’와 ‘Amazon’ 접두사는 무얼 의미하는가?
_1.2 AWS를 쓰려면 알아두면 유용한 클라우드 지식
__1.2.1 온프레미스
__1.2.2 클라우드
__1.2.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__1.2.4 서버리스
__1.2.5 리전
__1.2.6 가용 영역
__1.2.7 에지 로케이션
__1.2.8 가용성
__1.2.9 신뢰성
__1.2.10 내결함성
__1.2.11 탄력성
__1.2.12 확장성
__1.2.13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2장 AWS를 잘 쓰려면 알아야 하는 네트워크 지식
_2.1 네트워크 동작 구조와 원리 파악하기
__2.1.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__2.1.2 통신 규약, 프로토콜
__2.1.3 IP
__2.1.4 IP 주소 체계
__2.1.5 서브넷팅
_2.2 아마존 VPC란?
__2.2.1 아마존 VPC 구성 요소 살펴보기
__2.2.2 서브넷
__2.2.3 인터넷 게이트웨이
__2.2.4 NAT 게이트웨이
__2.2.5 라우팅 테이블
__2.2.6 VPC 엔드포인트
_2.3 AWS 네트워크 설계 시 고려사항
__2.3.1 CIDR은 어떻게 나누어야 할까?
__2.3.2 VPC 분할 패턴
_2.4 AWS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알아보기
__2.4.1 VPC 피어링
__2.4.2 Site to Site VPN
__2.4.3 트랜짓 게이트웨이
__2.4.4 다이렉트 커넥트
_2.5 AWS 네트워크 환경 구축하기
__2.5.1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네트워크 환경 구축하기
__2.5.2 UI로 불러와 AWS 네트워크 환경 구축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레벨 2] AWS를 잘 쓰려면 알아야 하는 기본 서비스 짚어보기
03장 AWS를 잘 쓰려면 알아야 하는 기본 서비스
_3.1 AWS에서 동작하는 웹 서비스 구조와 원리 파악하기
_3.2 권한 관리 서비스, AWS IAM 파악하기
__3.2.1 AWS IAM이란?
__3.2.2 AWS IAM 살펴보기
_3.3 AWS IAM 생성하기
__3.3.1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AWS 사용자 생성하기
__3.3.2 UI로 불러와 AWS 사용자 리소스 생성하기
__3.3.3 AWS CLI 환경 구성하기
__3.3.4 AWS MFA 설정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4장 가상 클라우드 서버 파악하기
_4.1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란?
_4.2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살펴보기
__4.2.1 AMI
__4.2.2 인스턴스 유형
__4.2.3 스토리지 옵션
__4.2.4 보안 그룹
__4.2.5 키 페어
_4.3 아마존 EC2 구축하기
__4.3.1 맥OS 환경에서 EC2 인스턴스 접속
__4.3.2 윈도우 환경에서 EC2 인스턴스 접속
_4.4 아마존 EC2 접속 패턴 살펴보기
__4.4.1 인터넷을 통한 EC2 인스턴스 접속
__4.4.2 EC2 인스턴스 연결 엔드포인트 이용
__4.4.3 세션 관리자 이용한 콘솔에서의 접속
__4.4.4 세션 관리자 이용한 포트 포워딩 접속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5장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파악하기
_5.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아마존 RDS란?
_5.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아마존 RDS 살펴보기
__5.2.1 아마존 RDS 엔진 유형
__5.2.2 아마존 RDS의 DB 인스턴스 클래스
__5.2.3 아마존 RDS의 스토리지 유형
__5.2.4 아마존 RDS를 구성하는 DB 그룹
__5.2.5 확장성과 고가용성을 위한 옵션들
_5.3 아마존 RDS 구축하기
__5.3.1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아마존 RDS 구축하기
__5.3.2 UI로 불러와 RDS 리소스 생성하기
_5.4 아마존 RDS 접속 패턴 살펴보기
__5.4.1 EC2 인스턴스를 이용한 RDS 접속
__5.4.2 포트 포워딩을 이용한 RDS 접속
__5.4.3 Internet Gateway를 통해 RDS로 접속
__5.4.4 Site to Site VPN을 통해 RDS로 접속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6장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파악하기
_6.1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란?
_6.2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살펴보기
__6.2.1 스토리지 클래스
__6.2.2 버전 관리를 위한 버저닝 기능
__6.2.3 생명주기 규칙을 활용한 객체 관리
_6.3 아마존 S3 생성하기
__6.3.1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S3 생성하기
__6.3.2 UI로 불러와 S3 리소스 생성하기
_6.4 아마존 S3 활용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7장 프론트엔드를 위한 서비스 이해하기
_7.1 프론트엔드 서비스 유형 살펴보기
_7.2 도메인 관리 서비스, 아마존 라우트53 파악하기
__7.2.1 도메인 관리 서비스, 아마존 라우트53란?
__7.2.2 도메인 관리 서비스, 아마존 라우트53 살펴보기
_7.3 아마존 라우트53 활용하기
__7.3.1 아마존 라우트53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 생성하기
__7.3.2 UI로 불러와 아마존 라우트53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 생성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8장 콘텐츠 전송을 위한 프론트 서비스 파악하기
_8.1 콘텐츠 전송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란?
_8.2 콘텐츠 전송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 살펴보기
__8.2.1 콘텐츠 전송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 속도 비교
__8.2.2 콘텐츠 전송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를 구성하는 옵션
_8.3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 활용하기
__8.3.1 아마존 S3와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 연동하기
__8.3.2 UI로 불러와 아마존 S3와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 연동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9장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용 프론트 서비스 파악하기
_9.1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프론트 서비스, AWS 앰플리파이란?
_9.2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프론트 서비스, AWS 앰플리파이 살펴보기
__9.2.1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프론트 서비스, 앰플리파이 스튜디오 살펴보기
__9.2.2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프론트 서비스, 앰플리파이 호스팅이란?
__9.2.3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용 프론트 서비스, AWS 앰플리파이를 위한 다양한 도구들
_9.3 AWS 앰플리파이 활용하기
__9.3.1 앰플리파이 호스팅으로 CI/CD 환경 구축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0장 사용자 인증을 위한 프론트 서비스 파악하기
_10.1 사용자 인증을 위한 프론트 서비스, 아마존 코그니토란?
_10.2 사용자 인증을 위한 프론트 서비스, 아마존 코그니토 살펴보기
__10.2.1 사용자 풀이란?
__10.2.2 자격증명 풀이란?
_10.3 아마존 코그니토 활용하기
__10.3.1 아마존 코그니토로 로그인 및 회원 가입 구현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1장 백엔드 서비스 이해하기
_11.1 백엔드 서비스 유형 파악하기
_11.2 부하 분산 서비스, 탄력적 로드 밸런서란?
_11.3 탄력적 로드 밸런서 살펴보기
__11.3.1 로드 밸런서의 작동 방식
__11.3.2 로드 밸런서의 대상 그룹과 리스너
__11.3.3 부하 분산을 위한 로드 밸런서의 알고리즘
__11.3.4 환경별 로드 밸런서 구성 패턴 살펴보기
_11.4 탄력적 로드 밸런서 활용하기
__11.4.1 탄력적 로드 밸런서를 생성하고 EC2 인스턴스와 연동하기
__11.4.2 UI로 불러와 탄력적 로드 밸런서를 생성하고 EC2 인스턴스와 연동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2장 클라우드 서버 최적화를 위한 백엔드 서비스 파악하기
_12.1 클라우드 서버 최적화, 아마존 EC2 오토스케일링 이란?
_12.2 클라우드 서버 최적화 서비스, 아마존 EC2 오토스케일링 살펴보기
__12.2.1 클라우드 서버 최적화 백엔드 서비스, 오토스케일링 그룹이란?
_12.3 아마존 EC2 오토스케일링 생성해보기
__12.3.1 오토스케일링 그룹 생성해보기
__12.3.2 UI로 불러와 오토스케일링 그룹 생성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3장 컨테이너를 위한 백엔드 서비스 파악하기
_13.1 컨테이너 서비스, 아마존 ECS란?
_13.2 컨테이너 서비스, 아마존 ECS 살펴보기
__13.2.1 컨테이너 서비스, 아마존 ECR 살펴보기
__13.2.2 컨테이너 서비스, 아마존 ECS 구성 요소
_13.3 아마존 ECS on 파게이트 생성해보기
__13.3.1 아마존 ECS on 파게이트 생성해보기
__13.3.2 UI로 불러와 아마존 ECS on 파게이트 생성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4장 이벤트 기반 코드 실행 백엔드 서비스 파악하기
_14.1 이벤트 기반 코드 실행 서비스, AWS 람다란?
_14.2 이벤트 기반 코드 실행 서비스, AWS 람다 살펴보기
__14.2.1 이벤트 기반 코드 실행 서비스, AWS 람다 이점
__14.2.2 이벤트 기반 코드 실행 서비스, AWS 람다 구성 요소
_14.3 AWS 람다 함수 생성해보기
__14.3.1 AWS 람다 함수로 Hello World 출력해보기
__14.3.2 UI로 불러와 AWS 람다 함수로 Hello World 출력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5장 API 관리를 위한 백엔드 서비스 파악하기
_15.1 API 관리 백엔드 서비스,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란?
_15.2 API 관리 백엔드 서비스,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 살펴보기
__15.2.1 API 관리 백엔드 서비스,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 장단점
__15.2.2 API 관리를 위한 백엔드 서비스,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 구성 요소
_15.3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 활용하기
__15.3.1 API 게이트웨이를 활용해 람다 함수 실행해보기
__15.3.2 UI로 불러와 API 게이트웨이를 활용해 람다 함수 실행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6장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파악하기
_16.1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아마존 다이나모DB란?
_16.2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아마존 다이나모DB 살펴보기
__16.2.1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아마존 다이나모DB 제약
__16.2.2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아마존 다이나모DB 구성 요소
_16.3 아마존 다이나모DB 활용하기
__16.3.1 AWS 람다 함수로 아마존 다이나모DB 테이블 데이터를 호출해보기
__16.3.2 UI로 불러와 AWS 람다 함수로 아마존 다이나모DB 테이블 데이터를 호출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레벨 4]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서비스를 활용한 웹사이트 구축하기
17장 서버 기반 워드프레스 구축해보기
_17.1 서버 기반 워드프레스 구성도 이해하기
_17.2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리소스 생성하기
_17.3 EC2 인스턴스와 RDS for MySQL 연동하기
_17.4 EC2 인스턴스에서 워드프레스 구성하기
_17.5 밸런서의 DNS를 이용해 워드프레스로 접근하기
_17.6 워드프레스에서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사항들
__17.6.1 도메인과 고속 콘텐츠 제공
__17.6.2 HTTPS와 로그 설정
__17.6.3 트래픽 분산과 자동 스케일 설정
__17.6.4 데이터베이스 고가용성
_학습 마무리
18장 서버리스 기반 웹사이트 구축해보기
_18.1 서버리스 기반 웹사이트 구성도 이해하기
_18.2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리소스 생성하기
_18.3 데이터를 관리하는 다이나모DB 테이블 항목 생성하기
_18.4 웹사이트를 호스팅하는 AWS 앰플리파이 생성하기
_학습 마무리
[레벨 5] 6가지 AWS 관리 기술 익히기
19장 AWS를 관리하는 서비스 파악하기
_19.1 AWS를 관리하는 서비스 유형 파악하기
_19.2 백업 및 복원 관리 서비스 파악하기
__19.2.1 백업 및 복원 관리를 위한 서비스, AWS 백업이란?
__19.2.2 백업 및 복원 관리 서비스, AWS 백업 살펴보기
_19.3 AWS 백업 활용하기
__19.3.1 AWS 백업을 활용해 EC2 인스턴스 백업 및 복원해보기
__19.3.2 UI로 불러와 EC2 인스턴스 백업 및 복원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20장 인프라 관리 서비스 파악하기
_20.1 인프라 관리 서비스, AWS 시스템 관리자란?
_20.2 인프라 관리 서비스, AWS 시스템 관리자 살펴보기
__20.2.1 애플리케이션 관리, 파라미터 스토어
__20.2.2 변경 관리, 자동화
__20.2.3 노드 관리, 플릿 관리자
__20.2.4 노드 관리, 세션 관리자
__20.2.5 노드 관리, 명령 실행
__20.2.6 노드 관리, 패치 관리자
__20.2.7 공유 리소스, 문서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21장 모니터링 및 로깅 서비스 파악하기
_21.1 모니터링 및 로깅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워치 란?
_21.2 모니터링 및 로깅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워치 살펴보기
__21.2.1 모니터링 및 로깅을 위한 서비스, 메트릭
__21.2.2 모니터링 및 로깅 서비스, 경보
__21.2.3 모니터링 및 로깅 서비스, 로그
__21.2.4 모니터링 및 로깅을 위한 서비스, 메트릭을 취득할 수 있는 서비스
_21.3 아마존 클라우드워치 활용하기
__21.3.1 클라우드워치 경보를 활용해 이메일 통지해보기
__21.3.2 UI로 불러와 클라우드워치 경보를 활용해 이메일 통지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22장 외부 공격을 보호하는 방화벽 서비스 파악하기
_22.1 외부 공격을 보호하는 방화벽 서비스, AWS WAF 란?
_22.2 외부 공격을 보호하는 방화벽 서비스, AWS WAF 살펴보기
__22.2.1 AWS WAF의 주요 5가지 기능
__22.2.2 AWS WAF의 관리형 규칙
__22.2.3 AWS WAF의 커스텀 규칙
_22.3 AWS WAF 활용하기
__22.3.1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에 AWS WAF 도입해보기
__22.3.2 UI로 불러와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에 AWS WAF 도입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23장 네트워크 트래픽 로깅 서비스 파악하기
_23.1 네트워크 트래픽 로깅 서비스, VPC 플로우 로그 란?
_23.2 네트워크 트래픽 로깅 서비스, VPC 플로우 로그 살펴보기
__23.2.1 VPC 플로우 로그 필드
_23.3 VPC 플로우 로그 활용하기
__23.3.1 VPC 플로우 로그를 통해 로그 수집해보기
__23.3.2 UI로 불러와 VPC 플로우 로그를 통해 로그 수집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24장 IP 주소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파악하기
_24.1 IP 주소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형 접두사 목록이 란?
_24.2 IP 주소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형 접두사 목록 살펴보기
__24.2.1 고객 관리형 접두사 목록
__24.2.2 AWS 관리형 접두사 목록
_24.3 관리형 접두사 목록 활용하기
__24.3.1 고객 관리형 접두사 목록을 생성해 보안 그룹에 추가해보기
__24.3.2 UI로 불러와 고객 관리형 접두사 목록을 생성해 보안 그룹에 추가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