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역자 서문
[1부] 당신 안에
1장) 자율신경계
세상을 경험하는 렌즈
동결 효과
2장) 신경지: 우리 몸의 감시 시스템
트리거 경고
‘안전’이라는 의미
안전에 대한 추구
적색 신호, 녹색 신호
녹색 시스템: 안전
황색 시스템: 위험
적색 시스템: 생명에 대한 위협
진화의 역행
놀이의 중요성
친밀감
비위 맞추기와 회유
세 가지 회로, 여러 가지 상태
3장) 미주신경
호흡의 힘
호흡으로 돌아가기
신경 브레이크로서 미주신경
미주신경의 어두운 면
차이점 1: 수초화된 덮개
차이점 2: 발생하는 위치
차이점 3: 다른 제어 허브
현대적인 미주신경
안전감을 주는 사람들의 비밀
고대의 미주신경
4장) 다미주 이론의 진화
5장) 연결과 상호 조절: 생물학적 필수 요소
상호 조절 1단계: 대면(얼굴 대 얼굴) 상호 작용
상호 조절 2단계: 친밀감
옥시토신: 독특한 포유류의 분자
6장) 트라우마와 중독
위험 앞에서 항상 도망치지만은 않습니다
회복탄력성에 대하여
사회적 유대와 트라우마
다미주 이론과 중독
다미주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
다미주 이론과 트라우마 치료의 만남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들
치료에서 안전의 중요성
세이프 앤 사운드 프로토콜
[2부] 세상 속에서
7장) 팬데믹의 역설
취약한 신경계
생존자들이 겪는 어려움
8장) 직장에서의 다미주 이론
우리는 감시받고 있습니다
출퇴근
사무실 공간
다미주 이론이 말하는 성과의 비밀
다미주 이론을 활용한 대중 연설
다미주 이론을 활용한 최고의 성과
다미주 이론을 활용한 자세
9장) 교육
학교에서 ‘안전’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학생들이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이 왜 그렇게 중요한가요?
괴롭힘
배고픈 몸은 배울 수 없습니다
학교 디자인
교사들은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학교: 자율신경 훈련의 장
놀이 시간
10장) 수감
위협이 되돌아오는 교도소의 메아리
상호 조절과 부부 접견
독방 감금
교도소에서의 예술과 연극
다미주 이해에 기반한 교도소
에필로그
감사의 말
용어집
참고문헌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