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01 옛날 옛적, 그림은 돌멩이에 있었대! (역사)
1장. 글자가 없던 시절, 왜 기록을 남겨야 했을까?
2장. 동굴벽화와 암각화, 무엇이 다를까 (한국에 동굴벽화가 드문 이유)
3장. 우리나라 최초의 암각화 발견 이야기 (크리스마스의 기적)
PART 02 바위 그림은 왜 아직도 남아 있을까? (특징)
1장. 수천 년 비바람을 견딘 바위의 비밀 (암석의 종류와 특징)
2장. 그림을 그리기 좋은 명당자리 (신성하고 은밀한 장소, 비를 피하는 구조)
3장. 암각화는 지금도 바위 속에서 숨 쉬고 있대!
PART 03 고래 잡고, 해를 부르고! 암각화에 담긴 소원 (생활 속 쓰임)
1장. 바다의 왕, 고래를 잡는 법 (울산 대곡리 암각화 속 포경 대서사시)
2장. “농사가 잘되게 해주세요!” (태양, 물과 관련된 기하학 무늬)
3장. 호랑이야 물러가라! (두려움을 이기려는 마음)
PART 04 선사시대 화가들의 캔버스, 바위 (예술)
1장. 사진처럼 생생하게! 사실적인 동물 그림 (대곡리 암각화)
2장. 수수께끼 같은 동그라미와 네모 (천전리, 장기리 암각화의 기하학 무늬)
3장. 사람일까? 신일까? 방패 모양 그림의 비밀 (검파형 암각화)
PART 05 돌멩이 탐정이 알려주는 암각화의 나이 (과학)
1장. 암각화는 몇 살일까? (신석기 vs 청동기 논쟁)
2장. “물고문”을 이겨낸 반구대 암각화 (사연댐과 보존 과학 이야기)
3장. 암각화 주변엔 공룡 발자국도 있대! (지질학 이야기)
PART 06 세계가 인정한 보물, 유네스코 암각화 (세계)
1장.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뭐예요?
2장.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 최고인 이유 (인간의 창의성, 사라진 문명의 증거)
3장. 세계의 다른 친구 암각화들 (이탈리아 발카모니카, 호주 울루루 등)
PART 07 잠자던 바위 그림, 디지털 세상에서 깨어나다! (현대적 활용)
1장. “안녕? 나는 암각화야!” (AI 도슨트와 대화하기)
2장. 스마트폰으로 비추면 그림이 살아나요! (AR 복원 기술)
3장. 암각화로 게임도 만들고, 애니메이션도 만들고!
PART 08 암각화는 어떻게 만들었을까? (제작 과정)
1장. 선사인들의 그림 도구 (돌 vs 금속)
2장. 쪼고, 갈고, 그리고! (쪼아파기, 갈아파기, 그어파기 기법)
3장. 별자리와 윷판은 왜 새겼을까? (한국 암각화만의 특징)
PART 09 암각화를 지키는 사람들 (사람)
1장. 암각화를 처음 발견한 고고학자들
2장. ‘물고문’을 멈추기 위해 싸운 과학자와 시민들
3장. 암각화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문화해설사
4장. 암각화를 배우는 우리, ‘어린이 수호자’!
PART 10 바위가 너에게 거는 말, 우리의 미래 (미래)
1장. 암각화는 왜 소중한 보물일까?
2장. 너도 ‘나만의 암각화’를 그려볼래?
3장. 암각화에 보내는 답장 편지 쓰기
PART 11 살아있는 문화유산 교육 - AI와 함께하는 STEAM+AI 수업 디자인
1장. 문화유산은 지금도 살아 있어요! - 미래의 우리를 위한 보물
2장. 반구대 암각화로 떠나는 신나는 STEAM+AI 수업 여행!
3장. 어떤 수업이 가장 재미있을까?
4장. 암각화랑 과학이 친구라고?
5장. 나도 도슨트가 될 수 있어!
6장. 고래 노래, 바위 이야기
7장. 바위가 말을 걸어요!
8장. 내가 만든 전시회!
9장. 문화유산과 AI의 미래 수업을 설계하다
에필로그 : 바위 그림 찾아 떠나는 여행
부록
하나. 나만의 암각화 만들기 : 3가지 기법으로 배우는 교실 체험 프로그램
둘. 암각화 AI 톡허브 : 깊이 있는 대화를 위한 100가지 성찰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