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총론
제1부 소개민들
제1장 거제도 포로수용소와 소개민
1. 지역 소개
2. 거제도 포로수용소
3. 주민 강제 소개
4. 소개민 생활
5. 집과 마을 복구
제2장 저구리 포로수용소와 소개민
1. 지역 소개
2. 저구리 포로수용소
3. 소개민 생활
4. 소개민과 양공
5. 집과 마을 복구
제3장 용초도 포로수용소와 소개민
1. 지역 소개
2. 용초도 포로수용소
3. 소개민 생활
4. 집과 마을 복구
5. 인근 마을 사람들
제4장 봉암도 포로수용소와 소개민
1. 지역 소개
2. 봉암도 포로수용소
3. 소개민 생활
4. 집과 마을 복구
5. 인근 마을 사람들
제2부 이방인들
제5장 거제도의 이북 피난민
1. 거제도의 피난민
2. 이북 피난민이 마주했던 거제도
3. 지역민이 마주했던 피난민들
4. 피난민들의 삶터, 양키 시장
5. 전시의 교육 공간, 피난민 학교
제6장 포로수용소 주변의 양공주
1. 미군과 양공주
2. 거제도 포로수용소 인근의 양공주
3. 저구리 포로수용소 인근의 양공주
4. 용초도ㆍ봉암도 포로수용소 인근의 양공주
5. 떠나야만 했던 이방인
제7장 섬사람들이 조우했던 미군들
1. 색다른 이방인
2. LST를 타고 온 미군
3. 여자를 탐하는 미군
4. 물자가 풍족했던 미군
5. 점령군이었던 미군
제3부 포로들
제8장 거제도 포로수용소 이전(以前): 포로 관리와 포로들의 신체
1. 포로 경험자들의 이야기
2. 포로 ‘수집’에서 ‘수용’으로
3. 수용소에 구획된 포로들
4. 통제되었던 포로들의 신체
5. 철조망 안의 지배자들
6. 거제도로 이송
제9장 거제도 포로수용소 시기: 포로 교화와 이념투쟁
1. 대립의 공간
2. 포로 재교육 프로그램
3. 포로수용소 내 기독교 선교
4. 전범조사단과 반공청년단
5. 폭력의 일상화
6. 포로 분산
제10장 거제도 포로수용소 이후(以後): 포로의 정치적 도구화
1. 정치와 포로
2. 송환거부포로 분산 수용
3. 민간인 억류자 석방
4. 반공포로 석방
5. 또 다른 대결의 장, 판문점
6. 침묵과 기억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