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서문
제1장 | 들어가며
1. 어떻게 연구가 이루어졌나
2.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제2장 | 『통전』 「변방문」 동이목의 구성과 서문 분석
1. 두우의 생애와 『통전』 저술 배경
2. 『통전』의 서술 체계와 「변방문」의 구성
3. 「변방문」 서 분석
4. 동이목 서략 분석
제3장 | 동이목 각국 기사의 전거 자료와 내용 분석
1. 조선절
2. 마한·진한·변진절
3. 백제절
4. 신라절
5. 부여절
6. 고구려절
제4장 | 동이목의 한국고대사 인식과 ‘동이지지’의 의미
1. 『통전』의 한국고대사 인식과 두우의 중화사상
2. 『통전』 이전의 기자조선과 고구려 인식
3. 『통전』에 기재된 ‘동이지지’ 의미 분석
제5장 | 『통전』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미친 영향
1. 『삼국사기』에 인용된 『통전』 기록 분석
2. 『삼국유사』에 인용된 『통전』 기록 분석
3. 고려시대의 『통전』 활용과 인식
제6장 | 『통전』이 후대에 미친 영향과 한국고대사 인식
1. 『당회요』에 미친 영향과 한국고대사 인식
2. 『통지』·『문헌통고』에 미친 영향과 한국고대사 인식
제7장 | 나가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