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4
서문: Web 3.0 시대 장자를 꿈꾸며 16
책을 읽기 전에... 18
-장자에 대해… 19
ㆍ 장자(莊子) - 고대 철학자가 디지털 시대에 말을 걸다 19
ㆍ 『장자』의 구성 - 내편, 외편, 잡편 20
ㆍ 소요유(逍遙遊) 21
ㆍ 제물론(齊物論) 호접몽(胡蝶夢) 21
ㆍ 제물론(齊物論) 오상아(吾喪我) 22
ㆍ 양생주(養生主) 23
ㆍ 대종사(大宗師) 24
ㆍ 응제왕(應帝王) 25
ㆍ 추수(秋水) 편 황하백(黃河伯) 이야기 26
-블록체인과 이더리움에 대해… 28
ㆍ 블록체인 28
ㆍ 이더리움 29
1부| 철학은 돌아왔고, 기술은 그것을 기다리고 있었다 기술의 전환기, 장자를 다시 묻다 33
1장 탈물결 시대의 도래 36
2장 Web 3.0, 기술을 넘는 철학적 전환_ 블록체인의 기원과 이더리움의 탄생 43
-비트코인과 채굴의 원리 45
-블록체인 관계 기반의 이해 - 블록체인 응용 기술의기초 인프라,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51
-사라진 배달 앱(P2P의 실현) 53
-Web 2.0과의 차이 - 플랫폼의 종말? 53
-스마트 계약 기반 작동 기술들 54
ㆍ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탈중앙 앱 54
ㆍ NFT(디지털 고유 자산 소유권) 56
ㆍ DeFi(탈중앙화 금융) 56
ㆍ RWA(Real World Asset, 실물 자산 토큰화) 57
ㆍ DAO(탈중앙화 자율 조직) 57
ㆍ 게임Fi(Game + Finance) 58
ㆍ 토큰(Token) 58
3장 Web 3.0 시대 철학은 왜 다시 필요한가 60
4장 장자와 DeFi, 무위의 세계 75
-억지로 하지 않음,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을까? 75
-노동과 근로의 개념 변화 79
-메타버스의 기술과 적용 효과 83
2부|전환기, 다시 장자를 소환하다 93
5장 기득권 종교와 기존의 중앙화 질서에서 Web 3.0 자유인 장자로 96
6장 블록체인의 탈중앙과 장자의 무위 101
-중앙이 사라진 세상, 무위가 작동한다 101
ㆍ 무위의 실현 기술,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102
ㆍ 무위의 실현 조직 DAO(탈중앙화 자율조직) 104
ㆍ DAO의 시작, 이더리움의 The DAO 107
ㆍ 무위의 기술적 확장(이더리움 생태계) 114
ㆍ 기술이 철학을 담는 시대 123
7장 흑사병 이후, 르네상스의 탄생, 디지털 르네상스의 전조 126
8장 새로운 세상 디지털 르네상스 137
-세상이 디지털로 다시 태어나다: 탈중앙과 탈물질의 콜라보 139
-실물자산을 가상세계로 편입시키는 RWA(Real World Asset)와DePIN(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 141
-물리 세상 인프라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연결하는 디핀(DePIN,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 142
-DePIN 관련 주요 블록체인 및 토큰 현황 146
-블록체인과 메타버스의 금융 메타파이 그리고 아바타 147
3부| 존재, 일, 가치의 재정의 디지털 시대의 삶을 다시 구성하는 철학의 방식 157
9장 인간을 다시 중심으로(P2P와 P2E) 160
-Web 3.0 시대를 촉진한 코로나 팬데믹 162
-P2P 공유 시스템 IPFS와 파일코인 163
-P2P 거래 시스템 마켓플레이스인 ‘OpenBazaar’ 165
-P2P 금융 168
10장 일의 철학: 일하지 않음과 존재하기(탈기업, 탈고용, 탈노동) 175
-일하지 않음의 일의 수익모델 178
ㆍ 스테이킹(Staking): 머물러 있음의 보상 178
ㆍ 유동성 마이닝(Liquidity Mining): 자산을 시장에 노출하여 얻는 수익 179
ㆍ 리워드 파밍(Reward Farming): 복합 전략을 통한 자동화 수익 181
ㆍ NFT 기반 창작자 보상: ‘존재의 수익’ 모델 182
ㆍ 레퍼럴 수익 구조: 무형 자산 유통의 전환 186
ㆍ 탈중앙 콘텐츠 발행 수익 구조: 창작의 권리 회복 187
11장 수익의 전환 - 근로소득에서 미래 가치 소득으로 190
-미래 가치 소득의 개념 191
-스테이킹과 리워드 시스템의 변화 191
-새로운 수익 모델이 던지는 질문 192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와 팬 기반 가치 193
-무위(無爲)의 수익 모델: 존재 그 자체의 보상 193
-무위의 신뢰, 블록체인과 Web 3.0 환경에서의 개인 신용 개념 변화 195
12장 존재의 의미 - 나로 존재하는 것의 가치 200
13장 업(業)의 철학 - 사라지는 경계, 새로운 연결 209
14장 기술은 도구, 철학은 방향이다 214
15장 디지털 소요유의 실현 219
4부| 소요유, 철학이 구현된 도시무위의 철학이 도시로 구현되는 공간의 상상 227
16장 Web 3.0 시대의 핵심 기술과 미래의 변화(무위의 세상) 230
-자율주행 전기차(개념의 전환) - 거피취차(去彼取此) 230
-Web 3.0 시대의 탈물질을 선도하는 메타버스(Metaverse) 235
-블록체인과 AI 지식을 대체한다 - 앎을 버리고 나를 좇는다 237
-블록체인 연결망 위성 인터넷 시스템(Low Earth Orbit Satellite Internet) - 지구촌 정보의 공유 239
-스마트팜(Smart Farm) - 무위자연의 실현 240
-시대를 선도하는 모든 기술의 기반 블록체인(Blockchain) 242
17장 소요유 City(Web 3.0 도시) - 무위의 기술적 실현 246
18장 소요유 시티(Web 3.0 시티)에서 일어나는 블록체인의 경제 249
-게임과 NFT 중심의 콘텐츠 생태계 이더리움 249
-WEB 3.0 기반 소요유 시티의 자산 체계 RWA 253
-WEB 3. 0기반 소요유 시티의 금융 리플과 스텔라루벤 256
-WEB 3.0 기반 소요유 시티의 신용과 신뢰 - DID와 스마트 계약 261
-대표적인 기술의 전체 연결 - Web 3.0 지도 시나리오 263
19장 WEB 3.0 디지털 르네상스 선언 266
-W-eb 3.0 시대 디지털 르네상스 선언문 267
-결론: 디지털 장자의 귀환 270
부록 273
1. Web 3.0 수익 참여에 필요한 기본 세팅 277
-지갑 생성부터 보안까지 277
-메타마스크 지갑 만들기 - 첫걸음은 여기서부터! 277
ㆍ 1단계: 메타마스크 설치하기 277
ㆍ 2단계: 지갑 생성 및 시드 문구 백업하기(가입 절차) 277
ㆍ 3단계: 다양한 네트워크 추가하기 278
ㆍ 4단계: 모바일 연동하기(선택 사항) 278
-시드 문구 없이도 가능한 지갑 - OAuth 기반 간편 지갑 280
ㆍ Web3Auth(https://web3auth.io) 280
ㆍ Magic.link(https://magic.link) 280
ㆍ Torus 280
2. 참여 기반 수익 모델 281
-DAO 참여 방법 282
-DAO의 기술적 작동 방식 284
3. 디파이(DeFi) 기반 수익 구조 286
4. P2E(Play to Earn) 기반 게임 모델들 288
-어스 2(가상 부동산 투자 기반 소득 모델) 289
ㆍ 어스 2(Earth 2): 가상의 지구에서 새로운 현실을 사는 사람들 289
ㆍ 어스 2(Earth 2) 수익 구조와 실제 사례 289
ㆍ 디지털 부동산 거래 차익 290
ㆍ 자원 채굴과 토큰화 수익 290
ㆍ 상업 공간 개발과 커뮤니티 운영 수익 291
ㆍ 2차 창작물과 NFT 콘텐츠 판매 291
ㆍ Web 3.0 기술과의 연결 292
-또 하나의 세상 로블록스(Roblox) 293
ㆍ 게임 내 경제 생태계 사례 294
ㆍ Web 3.0과 로블록스의 구조적 연결 295
ㆍ 로블록스, 디지털 소요유 296
-내가 세상을 창조한다,The Sandbox 297
ㆍ P2E의 진화, 창작이 곧 자산이 되는 메타버스 경제의 대표 사례 297
ㆍ 사용자 참여형 창작 플랫폼의 특징 297
ㆍ 콘텐츠 제작 도구: 누구나 창작자가 될 수 있는 시스템 298
ㆍ 브랜드 협업과 상업적 확장 298
ㆍ 경제적 의미와 미래 가치 299
ㆍ 경제 모델과 실제 수익 활동 사례 299
ㆍ LAND 소유 및 임대 수익 300
ㆍ NFT 콘텐츠 제작 및 판매 300
ㆍ 게임 콘텐츠 제작과 수익화 300
ㆍ 브랜드 협업과 광고 수익 301
ㆍ DAO 기반 커뮤니티 운영 수익 301
ㆍ Web 3.0과의 연결 구조 302
ㆍ 무위의 공간, 샌드박스(디지털 무위자연, 억지 없는 창조의 세계) 303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 놀이가 노동이 되는 디지털 생태계의 선구자 304
ㆍ 엑시 인피니티의 게임 구조와 수익 창출 305
ㆍ 엑시(Axie) 수집 및 팀 구성 305
ㆍ 전투(PvP/PvE)를 통한 토큰 수익 305
ㆍ 수익 모델 307
ㆍ 엑시 인피니티의 실제 수익 사례(놀이가 생계가 된 순간,디지털 노동의 실현) 307
ㆍ Web 3.0 기술과 엑시 생태계의 연결 구조 309
ㆍ NFT 소유권 기반 309
ㆍ SLP·AXS 토큰 이코노미 309
ㆍ 스마트 계약 기반 자동화 310
ㆍ DAO 참여 구조 310
ㆍ DeFi와의 연계 확장성 310
ㆍ 소요의 경제, 엑시 인피니티(놀이가 곧 수익이 되는 디지털 무위의 실험) 312
ㆍ 엑시 인피니트의 교훈 313
-메타페스티스트(METAFESTEST) -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구현 경마 게임 317
ㆍ 게임 구조와 참여 방식 318
ㆍ NFT 기반 경주마와 수익 시스템 318
ㆍ 디지털 노동과 자산화의 새로운 실험 320
ㆍ 기술과 상상력의 융합: 메타페스티스트의 구조적 진화 320
-제페토(ZEPETO), 비블록체인 메타버스 무위의 세계를 구현하다 322
ㆍ 나를 표현하는 공간, 존재 자체가 창조가 되는 메타버스 324
ㆍ 글로벌 브랜드와 디지털 문화의 융합 324
ㆍ 창작이 곧 수익이 되는 구조 325
ㆍ 존재와 표현이 곧 가치를 만들어 내는 메타버스 325
ㆍ 제페토의 메타버스 구조와 사용 방식(‘디지털 나’로 살아가는 복합적 경험의 세계) 326
ㆍ 존재의 아바타, 제페토(디지털 존재의 자유) 328
-Gala Games - P2E 생태계를 설계하는 탈중앙 게임 스튜디오 330
-디센트럴랜드(Decentraland) - 부동산이 된 가상공간, 수익이 흐르는 메타버스 331
ㆍ 현실적 수익의 흐름 332
ㆍ 브랜드와 기업도 뛰어든 공간 332
ㆍ 사용자 현황과 생태계 안정성 332
ㆍ 디센트럴랜드가 주는 P2E 관점의 인사이트 333
-P2E 기반의 파생수익 335
ㆍ 게임이 아닌 P2E, 존재로 버는 경제(기여도 하나의 놀이가 된다) 335
ㆍ 크리에이티브 기반 P2E - 창작이 수익이 되는 구조 335
ㆍ 커뮤니티 참여형 P2E - 소통도 기여다 335
ㆍ 창작자 이외의 P2E - 음악, 글쓰기, 교육도 수익화된다 336
ㆍ 수익을 얻기 위한 접근 방식 336
ㆍ P2E는 더 이상 게임만의 영역이 아니다 337
-표현이 자산이 되는 시대 - Web 3.0 창작 수익 모델 338
-누구나 디지털 자산을 만들어 수익화할 수 있는 Web 3.0 창작 구조 339
ㆍ 메타마스크 지갑 설치 후 마켓플레이스 연결하기 - Web 3.0의 첫 번째 관문 340
ㆍ 수익 흐름 요약 - 한 번 만들어 계속 수익을 얻는다 342
ㆍ NFT 담보 대출 - 실제 금융의 일부가 된 디지털 자산(https://NFTfi.com) 342
ㆍ NFT 공동 소유 - 조각 투자와 집단 자산화(https://Fractional.art) 342
5. Web 3.0 시대를 움직이는 메인넷과 네이티브 코인 344
코인과 토큰, 기술과 존재의 본질 344
ㆍ 코인: 메인넷 위에서 작동하는 독립적 원장 344
ㆍ 토큰: 메인넷 위에서 실행되는 ‘기능의 화폐’ 345
ㆍ 투자 수단에서 네트워크 기능으로 345
-Web 3.0 주요 코인 탐구 - 기능, 합의 메커니즘, 철학, 그리고 진화의 이야기 347
ㆍ 솔라나(Solana) 347
ㆍ XRP(리플) 349
ㆍ 이더리움(Ethereum) 350
ㆍ 아발란체(Avalanche) 351
ㆍ 폴리곤(Polygon) 352
ㆍ 카르다노(Cardano) 353
ㆍ 테조스(Tezos) 354
ㆍ 코스모스(Cosmos) 355
ㆍ 폴카닷(Polkadot) 356
ㆍ 스텔라(Stellar) 357
ㆍ 센트리퓨지(Centrifuge) 358
ㆍ 폴리매쓰(Polymath) 359
ㆍ 리퀴파이(Liquefy) 359
ㆍ RealT 360
ㆍ AAVE 361
ㆍ GMX 361
ㆍ Aragon / Gnosis 362
ㆍ 밈코인 363
마침말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