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전환의 지도, 통합의 경로: 동유럽에서 통일한국을 바라보다
1장 루마니아의 체제전환과 유럽통합 전환이 한반도 상황에 주는 시사점
1절 루마니아 대전환의 의미
2절 체제전환의 요인, 과정, 결과
3절 통합전환의 과정과 결과
4절 한반도 상황에 주는 시사점
2장 슬로베니아의 체제전환과 국가 정체성 재구성: 통일한국에 대한 함의
1절 슬로베니아의 독립과 민주주의 전환
2절 가치 전환과 인식의 재구축
3절 발칸에서 유럽으로
4절 국가 정체성과 문화적 재구성
5절 홉스테드 문화 차원을 통해 본 슬로베니아
6절 통일한국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고찰
3장 유럽통합의 과정: 전쟁의 화염 속 새로운 우크라이나 정체성의 형성
1절 서론
2절 이론적 배경
3절 2014년 이전의 정체성
4절 2014년 이후의 정체성
5절 결론
4장 독립 이후 크로아티아의 문화적 진화: 전통과 현대성의 상호작용
1절 독립과 체제전환의 ‘문화정치’의 함의
2절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체제하의 문화적 유산
3절 ‘역사적 단절과 연속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한 크로아티아의 문화 정체성 형성
4절 크로아티아 문화적 정체성의 기반
5절 탈사회주의 전환과 문화정치의 재구성
6절 표현 자유의 재편: 문화·예술의 자유와 규율 사이
7절 문화 기억의 장으로서의 예술 실천
8절 크로아티아의 문화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정책과 과제
5장 체제전환 이후 폴란드의 국가 정체성 인식의 변화와 통일한국을 위한 시사점
1절 폴란드 국가 정체성의 특성과 요소
2절 폴란드 국가 정체성의 형성
3절 체제전환 이후 폴란드 국가 정체성의 변화
4절 폴란드 사회의 인식 기준 변화
5절 유럽인으로서의 정체성
6절 통일한국을 위한 시사점
6장 헝가리 대전환과 통일한국: 문화의 충돌과 조화
1절 전환기 문화 충돌의 이론과 문제 제기
2절 헝가리 체제전환과 문화지체 경험
3절 통일한국의 문화통합을 위한 도전과 과제
4절 조화를 위한 선택: 통합의 국제 비교와 미래 설계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