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이종찬(광복회장) 11
유경현(헌정회 원로회의 의장·전 헌정회장) 14머리말 19
제1장 위대한 혁명가 탄생 27
명문거족 문화 유씨 29
‘公論’의 상징 유상운·유봉휘 33
실학자 유수원을 배출한 ‘모산촌 문화 류씨’ 36
인물의 고장·유혁의 고향, 모산촌 39
백룡의 정기를 이은 위대한 혁명가 탄생 45
제2장 유학과 양명학의 결합 63
분비재 강학과 모산촌 65
이광사의 처가·이긍익의 외가 모산촌 69
소론 학맥 정인보와 유혁 73
제3장 일본 유학과 민족의식 확대 79
의병 전쟁과 민족의식 형성 81
일본 유학과 민족의식 확대 84
제4장 민족 단결을 내세운 진화론 93
민족운동세력 결집과 3·1운동 95
식민 통치기구, ‘중추원’ 공개 비판 98
진화론에 입각한 민족운동 모색과 사회주의 104
민족 단결을 강조한 진화론 표방 111
제5장 민족 역량 결집과 진화론 117
교육을 통한 민족의 역량 축적 119
청년회 활동과 청년연맹 결성 132
민중의 역량을 결집한 민족운동 168
소년운동과 소년동맹 결성 175
제6장 사회주의 사상 유입과 독립운동 방략 191
사회주의 사상 유입과 운동 세력 분열 193
사상단체의 결성과 서울회계 사회주의 200
조선공산당 가입과 야체이카 활동 224
신간회 창립과 민족협동전선 구축 231
제7장 유민유허와 민중 243
일본 자본의 토지 약탈과 농민조합 결성 245
전남 노농연맹 결성 255
혁명적 농민조합과 영보농민운동 271
제8장 건국동맹 참여와 독립국의 꿈 299
금광 채굴사업과 독립자금 조달 301
여운형의 건국동맹과 유혁 308
김용기의 농군학교와 농민동맹 313
제9장 통일국가 수립과 좌절 321
전남건국준비위원회 결성과 유혁 323
인민위원회와 인민공화국, 그리고 유혁 338
박헌영의 등장과 공산당 파벌 투쟁 342
민주주의민족전선(민전) 결성과 유혁 351
전국농민조합총연맹 결성과 유혁 361
독립촉성중앙협의회 가입과 탈퇴 374
제10장 한국전쟁과 강제 납북된 유혁 383
북로당의 통일전선 전략과 유혁의 자진 입북설 385
민족정신선양회 활동과 유혁 400
한국전쟁과 납북 403
리조실록 번역 사업 참여 414
제11장 청사를 빛내는 가문 421
유혁의 가계 423
한국전쟁과 가문의 수난 427
유혁의 이름을 빛낸 후손들 430
결론 435
독립운동가·민족주의자 유혁 437
부록 443
연보 444
증언 449
김남식·박병엽 자필 증언 수기 노트 456
유혁 매일신보 기고 458
유혁 관련 판결문 459
정인보 아천정기 460
장손 유수택의 편지 “할아버님 영전에” 463
참고문헌 473
감사의 글 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