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선무예의 창안 의의
제1장. 선무예(仙武藝)의 이해
1. 선무예의 정의
2. 선무예의 역사적 고찰
1) 단군조선
2) 부도지(苻都誌)
3. 한국의 선(仙)과 선도(仙道)의 의미
4. 한국의 선도와 중국의 신선 사상(神仙思想)
5. 한국 선도의 특성적 고찰
1) 복본(復本)과 다물(多勿) 사상
2) 홍익(弘益) 사상
3) 풍류(風流) 사상
6. 고대의 실천적 선무예
1) 고대 국가의 제천의식
2) 신라의 화랑도(花郞徒)
3) 고구려의 조의선인(皂衣仙人)
제2장. 선무예(仙武藝)의 이론적 배경
1.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1) 음양론(陰陽論)
2) 오행론(五行論)
2. 정기신(精氣神)론
1) 정(精)과 신(神)
2) 신(神)과 기(氣)
3. 경락론(經絡論)
1) 경락도
2) 12정경
3) 기경8맥(寄經八脈, 奇經八脈)
제3장. 수련 방법론
1. 수련 요소
1) 조신(調身)
2) 조식(調息)
3) 조심(調心)
2. 수련 방법
1) 도인(導引)의 특성
2) 도인의 원칙
3) 화후(火侯)론
4) 운기(運氣)론
5) 호흡론(呼吸論)
제4장. 수련의 필요조건
1.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해야 한다
2. 생사관(生死觀)에 투철해야 한다
3. 칠정육욕(七情六欲)을 조절해야 한다
4. 이완법을 숙달해야 한다
5. 의식을 집중해야 한다
6. 호흡을 조절해야 한다
7. 동정결합(動靜結合) 수련을 한다
제5장. 선술(仙術) 공법
1. 풍류도인법(風流導引法)
1) 풍류도인법의 특성
2) 동작별 행법(行法)
3) 풍류도인법의 효과
2. 환단법(還丹法)
1) 환단법의 특성
2) 공법의 특징 및 수련 주의 사항
3) 공법 시 구호와 순서
제6장. 선무예(仙武藝) 실제
1. 선무예의 3대 특성
1) 무술성의 특성
2) 보건성의 특성
3) 예술성의 특성
2. 선무예의 특징과 의의
1) 선무예는 기(氣)의 원운동이다
2) 선무예 공법은 경락을 자극한다
3) 선무예는 심신(心身)을 동시에 수련한다
4) 선무예 동작은 자연스러워야 한다
5) 선무예에는 5가지 원리가 있다
6) 선무예의 필수적 수련법
3. 선무예의 공법 분류
제7장. 양생풍류장(養生風流掌)의 기본 장법과 공법
1. 기본 구성
1) 수형태
2) 시선법
3) 신형태
4) 신행법
5) 보형세와 행보법
6) 행보법
2. 양생풍류장의 기본 장법과 공법
1) 기본 장법
2) 양생풍류장 명칭
3) 양생풍류장의 공법
제8장. 양생풍류검(養生風流劍)의 기본 검법과 공법
1. 양생풍류검의 기본 검법
2. 양생풍류검의 공법
제9장. 양생풍류봉(養生風流棒)의 기본 봉법과 공법
1. 양생풍류봉의 기본 봉법
2. 양생풍류봉의 공법
제10장. 양생풍류선(養生風流扇)의 기본 선법과 공법
1. 양생풍류선의 기본 선법
2. 양생풍류선의 공법
제11장. 양생풍류곤(養生風流棍, 또는 우산)의 기본 곤법과 공법
1. 양생풍류곤의 기본 곤법
2. 양생풍류곤의 공법
지나온 발자취를 돌아보며
부록 - 선무예(仙武藝)로 고대선도(仙道)문화를 부활시킨다
참고문헌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