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중이 제 머리 못 깎는다 …………………………………… 5
제1부 다시 돌아온 『진주이야기 100선』
기록되지 않는다면 잊히는 역사
이문희(도서출판 곰단지 대표) ………………………………………… 22
잊힐 사연들, 진주이야기가 다시 살아난다
이우기(경상국립대 홍보실장) …………………………………………… 26
“진주좌 아시나요? 숨겨진 ‘진주’ 전해요”
정성희(《투데이서경》 기자) / 김경현(저자) …………………………… 32
진주의 두 인물, 파성과 은초의 민낯
김주완(작가, 전 기자) …………………………………………………… 42
신선한 지역사 읽기의 체험을 가져다줄 것
박광종(《민족사랑》 주간) ………………………………………………… 45
‘책 읽어주는 라디오’, 『김경현의 진주이야기 100선』
임소정(《KBS진주》 아나운서) / 김경현(저자) ………………………… 50
김경현의 ‘백촌 강상호’ 묘비 건립 이야기
성순옥(《재능교육》 교사) ………………………………………………… 59
“에나, 진주를 알아볼까요?”
성수연(《곰단지야》 편집장) / 김경현(저자) …………………………… 62
김경현 작가의 강연 및 신간 소식을 전하다
임소정(《KBS진주》 아나운서) / 도민준(청년문화기획자) …………… 73
『김경현의 진주이야기 100선』 작가 강연 후기
해바락이(블로거) ………………………………………………………… 80
『김경현의 진주이야기 100선』과 『진주 죽이기』를 말하다
제2부 ‘진주 살리기’ 위한 『진주 죽이기』
“나, 진주사람 김경현이오!”
조세열(민족문제연구소 상임이사) ……………………………………… 84
그는 탁월한 이야기꾼이며 문장가였다
김주완(작가, 전 기자) …………………………………………………… 87
진주만의 고유한 정신을 찾는 과정
도서출판 곰단지(출판사) ………………………………………………… 90
죽어야만 살아나는 ‘진짜 진주이야기’
서성룡(《단디뉴스》 편집장) ……………………………………………… 93
‘진주정신’을 되살리다
도서출판 곰단지(출판사) ………………………………………………… 99
『진주 죽이기』는 꽤 논쟁적인 이야기
김주완(작가, 전 기자) …………………………………………………… 103
‘전라도 사투리 쓰는 진주사람’ 김경현
최재성(역사학자) ………………………………………………………… 106
『진주 죽이기』라 했지만 오히려 더 살려냈다
윤성효(《오마이뉴스》 기자) ……………………………………………… 109
『진주 죽이기』 북토크에서 언급된 『진주이야기 100선』
김경현(저자) ……………………………………………………………… 115
“진주의 숨은 이야기 계속 캐낼 터”
박보현(《단디뉴스》 기자) ………………………………………………… 118
〈당신의 저녁〉 방송에서 『진주 죽이기』를 말하다
남두용(《MBC경남》 아나운서) / 이문희(곰단지 대표) ……………… 121
‘책 읽어주는 라디오’, 『진주 죽이기』
이서윤(《KBS진주》 방송작가) / 김경현(저자) ………………………… 128
진주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논개 살리기
박광종(《민족사랑》 주간) ………………………………………………… 137
역사의 실로 꿰어낸 진주 문화 비평
장원석(근현대사기념관 학예실장) ……………………………………… 141
광장에서 만나는 ‘진주정신’
김승은(식민지역사박물관 학예실장) …………………………………… 145
제3부 두 책에 관한 쓴소리와 뒷이야기
『진주이야기 100선』에 대한 직격
Dog君(블로거) …………………………………………………………… 150
『진주이야기 100선』의 비판에 대한 해명
김경현(저자) ……………………………………………………………… 154
『진주 죽이기』의 친일문제를 지적하다
해밀리(애독자) …………………………………………………………… 167
『진주 죽이기』의 친일논란에 대해 답하다
김경현(저자) ……………………………………………………………… 170
『진주 죽이기』에 담긴 기생에 대한 논란
김주완-김경현(카톡) …………………………………………………… 190
이렇게 자세히 쓴 지역사는 드물다
김용재(행정안전부 사무관) ……………………………………………… 194
『진주 죽이기』의 역설, 진주의 문화와 역사 살리기
이용창(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 ……………………………………… 200
진주정신의 역사사회학 : 두 책의 발간에 부쳐
김명희(경상국립대 교수) ………………………………………………… 206
더 많은 김경현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
정대훈(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 212
새롭게 만난 논개와 형평운동
주중식(농부, 전 교장) …………………………………………………… 218
김경현의 ‘진주사람 되기’
김경현(저자) ……………………………………………………………… 232
에필로그 : 중이 제 머리도 깎는다 ………………………………………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