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중세 무용의 특성에 관한 연구 4
2장 프랑스 궁정발레에 내재한 정치적 목적에 관한 연구 18
3장 19세기 낭만발레 시대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성향 연구 36
4장 탈리오니가문을 통해 본 당대 무용계 특징 연구 56
-마리 탈리오니와 필립포 탈리오니를 중심으로
5장 발레에서 낭만주의 이후 고전주의가 등장한 이유에 대한 고찰 76
6장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발레뤼스에 나타난 종합예술적 특질 94
-「세헤라자데」를 중심으로
7장 마사 그레이엄의 「미궁으로의 사자」에 대한 분석 110
8장 〈뉴욕 타임즈〉의 무용평론가 존 마틴의 비평적 성향에 관한 연구 126
9장 포스트모던댄스의 예술적 특질에 관한 연구 144
-현대무용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10장 프랑스 누벨바그와 초기 컨템포러리댄스인 누벨당스의 상관성 연구 156
11장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예술적 특질에 관한 연구 172
-컨템포러리댄스에서 활용된 장소특정적 요소를 중심으로
12장 윌리엄 포사이드의 「헤테로토피아」에 나타난 194
이머시브적 요소에 관한 비평적 접근
[부록 1] 이 시대 춤 실행의 다변화 현상에 관한 고찰 214
[부록 2] 동시대 창작의 주요 소재로서 인류세와 포스트휴먼 담론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