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니코마코스 윤리학』(신득렬 역, 주)
| 제1권 | [인생의 목적]
제 1 장 [인생의 목적과 선]
제 2 장 [최고선과 정치학]
제 3 장 [윤리학과 정치학의 연구방법]
제 4 장 [행복과 선에 관한 일반적인 신념들]
제 5 장 [선한 생활의 여러 관점: 세 종류의 삶]
제 6 장 [플라톤의 선 이데아]
제 7 장 [인간적 선과 행복의 고찰]
제 8 장 [선 고찰에 대한 변호]
제 9 장 [어떻게 행복을 얻을 수 있는가]
제10장 [살아있는 동안에 우리는 행복할 수 있는가]
제11장 [행복은 사후에 영향을 미치는가]
제12장 [행복에 따른 칭찬과 명예]
제13장 [탁월성에 대한 이해]
|제2권 | [인격적 탁월성들]
제1장 [인격적 탁월성은 어떻게 획득되는가]
제2장 [인격특성에 대한 고찰]
제3장 [쾌락과 고통의 중요성]
제4장 [탁월성과 탁월한 행동의 관계]
제5장 [인격적 탁월성 일반]
제6장 [인격적 탁월성들: 종류]
제7장 [개별적인 인격적 탁월성들]
제8장 [중용과 두 극단들의 관계]
제9장 [중용에 이르는 방법]
| 제3권 | [탁월성의 전제조건, 용기와 절제]
제 1 장 [자발적 행동과 비자발적 행동]
제 2 장 [결정의 정의]
제 3 장 [숙고의 정의]
제 4 장 [소망의 정의]
제 5 장 [탁월성과 악덕은 우리의 능력 안에 있다]
제 6 장 [용기; 범위]
제 7 장 [용기의 특징]
제 8 장 [용기와 유사한 성향들]
제 9 장 [용기, 쾌락, 그리고 고통의 관계]
제10장 [절제, 절제의 범위]
제11장 [절제; 그 전망]
제12장 [무절제]
| 제4권 | [다른 인격적 탁월성들]
제 1 장 [관후]
제 2 장 [호탕]
제 3장 [긍지]
제 4 장 [작은 명예와 관련된 탁월성]
제 5 장 [온화]
제 6 장 [친절]
제 7 장 [진실성]
제 8 장 [재치]
제 9 장 [수치심]
| 제5권 | [정의]
제 1장 [정의의 종류]
제 2 장 [일반적 정의와 특수한 정의]
제 3 장 [분배적 정의]
제 4 장 [시정적 정의]
제 5 장 [교환적 정의]
제 6 장 [정치적 정의]
제 7 장 [자연적 정의와 법적 정의]
제 8 장 [개인적 책임의 정도]
제 9 장 [자발성과 정의로운 행동의 관계에 대한 부가적인 논의]
제10장 [융평]
제11장 [인간은 자신에 대해 부정할 수 있는가]
| 제6권 | [지적 탁월성들]
제 1장 [이성과 지적 탁월성]
제 2 장 [지성과 선택]
제 3 장 [다섯 가지 사유양식: 학문적 지식]
제 4 장 [기술]
제 5 장 [실천적 지혜]
제 6 장 [지성 또는 직관]
제 7 장 [철학적 지혜]
제 8 장 [실천적 지혜와 정치]
제 9 장 [좋은 숙고]
제10장 [실천적 지혜와 이해력]
제11장 [판단력과 분별력]
제12장 [철학적 그리고 실천적 지혜의 관계]
제13장 [실천적 지혜와 인격적 탁월성]
| 제7권 | [자제력 없음과 쾌락]
제 1장 [절제, 자제력, 인내에 관한 통념]
제 2 장 [자제력 없음에 관한 계속된 논의]
제 3 장 [자제력 없음과 무지]
제 4 장 [단순한 자제력 없음]
제 5 장 [야수성과 질병]
제 6 장 [자제력 없음의 종류]
제 7 장 [자제력 없음, 무절제, 그리고 유약]
제 8 장 [무절제가 자제력 없음보다 왜 더 나쁜가]
제 9 장 [자제력]
제10장 [무절제에 관한 더 많은 논의]
제11장 [쾌락의 문제]
제12장 [쾌락과 선]
제13장 [쾌락과 행복]
제14장 [육체적 쾌락]
| 제8권 | [친애]
제 1장 [친애의 통념과 문제들]
제 2 장 [사랑의 대상]
제 3 장 [친애의 세 형태]
제 4 장 [친애의 종류 간의 비교]
제 5 장 [상태, 활동, 감정으로서의 친애]
제 6 장 [친애의 형태에 따른 활동들]
제 7 장 [불평등한 관계의 친애]
제 8 장 [친애의 교환]
제 9 장 [친애와 공동체]
제10장 [다양한 정치체제]
제11장 [정치체제에서의 친애]
제12장 [가족들의 친애]
제13장 [평등한 사람들 간의 친애 갈등]
제14장 [불평등한 사람들 간의 친애 갈등]
| 제9권 | [친애의 근거]
제 1장 [상이한 목적을 가진 친구]
제 2 장 [친애 형태들의 갈등]
제 3 장 [친애의 해소]
제 4 장 [자기애와 친애]
제 5 장 [선의와 친애]
제 6 장 [친애와 화합]
제 7 장 [시혜자가 왜 더 사랑받는가]
제 8 장 [자기애의 정당화]
제 9 장 [행복에 친구가 필요한가]
제10장 [친구의 수]
제11장 [선한 친구와 불운]
제12장 [친애의 가치]
| 제10권 | [쾌락과 행복한 삶]
제 1장 [상충하는 쾌락관]
제 2장 [에우독소스의 견해]
제3 장 [쾌락은 하나의 선이다]
제4 장 [쾌락은 활동이다]
제5 장 [쾌락의 종류]
제6 장 [행복: 더 많은 논의]
제7 장 [행복과 탐구]
제8 장 [탐구생활의 이점]
제9 장 [윤리학에서 정치학으로]
Ⅱ.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연구
1. 서언
2.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
3.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
4.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등장하는 중요 개념들
제1권에 등장하는 중요 개념들
제2권에 등장하는 중요 개념들
제3권에 등장하는 중요 개념들
제4권에 등장하는 중요 개념들
제5권에 등장하는 중요 개념들
제6권에 등장하는 중요 개념들
제7권에 등장하는 중요 개념들
제8권에 등장하는 중요 개념들
제9권에 등장하는 중요 개념들
제10권에 등장하는 중요 개념들
5.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영향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