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거인의 어깨 너머, 디지털 불멸의 지혜를 향하여
머리말│해체와 충돌의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거인의 어깨’
일러두기
제0장 사회의 탄생: 인간은 왜 어떻게 함께 살게 되었는가?
01 토마셀로│인간은 왜 사회를 이루는가?
02 헨릭│인류는 어떻게 사회를 만들 수 있었는가?
03 보엠│권력에 대한 억제는 어떻게 생겼는가?
04 하라리│허구는 어떻게 집단을 탄생시키는가?
제1장 권좌: 권력은 어떻게 태어나고, 어떻게 사라지는가?
05 맹자│항산이 없으면 항심도 없는가?
06 한비자│법, 세, 술로 세상을 다스릴 수 있는가?
07 키케로│자연법은 어떻게 공익을 실현하는가?
08 아우렐리우스│스토아적 덕은 시민과 황제에게 어떻게 구현되는가?
제2장 권좌: 어떻게 태어나고, 어떻게 사라지는가?
09 마키아벨리│권력은 어떻게 획득되고 유지되는가?
10 홉스│리바이어던은 사회적 폭력을 어떻게 억제하는가?
11 로크│권력의 정당성은 어떻게 확보되는가?
12 몽테스키외│권력 분립은 자유를 어떻게 보장하는가?
13 토크빌│민주주의는 왜 평등과 동시에 위험을 내포하는가?
제3장 유토피아: 자유와 평등
14 모어│유토피아는 어떻게 가능한가?
15 루소│일반의지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16 밀│자유는 어떻게 사회를 발전시키는가?
제4장 국가와 사회: 어떻게 구성되고, 어떻게 변화하는가?
17 엥겔스│국가의 본질과 역할은 무엇인가?
18 뒤르켐│사회적 사실은 개인을 어떻게 강제하는가?
19 베버│합리화는 강철우리를 만들어내는가?
20 알튀세르│국가는 어떻게 재생산되는가?
제5장 시장과 국가: 정보와 가격과 혁신
21 스미스│시장은 자유와 평등을 어떻게 실현하는가?
22 하이에크│자유와 시장은 문명을 확대하는가?
23 프리드먼│경제적 자유는 정치적 자유와 어떤 관계인가?
24 폴라니│경제는 사회에서 독립적일 수 있는가?
25 마추카토│시장과 국가! 누가 혁신을 이끄는가?
제6장 세계 : 어떻게 움직이는가?
26 모겐소│국제 관계에서 국가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27 월러스틴│중심-주변은 구조인가?
28 헌팅턴│문명의 충돌은 피할 수 있는가?
29 네그리&하트│제국과 다중의 싸움은?
30 스티글리츠│정보비대칭은 시장을 어떻게 무너뜨리는가? ㆍ
제7장 이데올로기와 공론장: 대화는 가능한가?
31 듀이│공중의 형성을 위한 교육은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가?
32 아렌트│공적 영역에서 행위와 담론과 사유의 역할은?
33 하버마스│공론장의 부활은 어떻게 가능한가?
제8장 지식과 미디어: 생각의 지배자들
34 그람시│문화적 헤게모니는 어떻게 대체되는가?
35 호르크하이머&아도르노│ 계몽과 이성이 어떻게 억압을 만들어내는가?
36 맥루한│미디어는 개인을 어떻게 규정하고 변화시키는가?
37 보드리야르│시뮬라크르와 투명성의 지옥에서 살아내는가?
제9장 통제와 배제 : 현대의 재생산
38 푸코│규율과 담론은 사회를 어떻게 통제하는가?
39 부르디외│아비투스는 계층을 어떻게 재생산하는가?
40 바우만│액체 현대에서 연대는 어떻게 가능한가?
41 지젝│이데올로기는 어떻게 숭고해지는가?
제10장 정의: 영원한 꿈
42 벌린│적극적 자유란 무엇인가?
43 롤스│무지의 베일은 어떻게 정의를 설계하는가?
44 노직│최소국가는 자유를 어떻게 극대화하는가?
45 누수바움│정의는 역량과 관계없이 균등하게 적용되는가?
46 샌델│공정함이란 무엇인가?
제11장 인정과 정체성: 누구이며, 어떻게 받아들여지는가?
47 호네트│인간은 인정을 통해 자신을 실현하는가?
48 스피박│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49 크렌쇼│인종, 젠더, 계급이 교차할 때에는?
50 버틀러│젠더는 타고 나는가?
51 킴리카│소수 집단은 어떻게 인정받을 수 있는가?
52 프레이저│인정을 넘어서는 반-헤게모니 구축은?
제12장 연결: 새로운 행위자와 힘의 등장
53 라투르│인간과 비인간은 분리된 적이 있는가?
54 카스텔│권력은 네트워크 속에 존재하는가?
55 주보프│감시 자본주의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제13장 민주주의: 위기와 극복
56 후쿠야마│역사의 종말은 어떻게 끝났는가?
57 스나이더│폭정에 맞서 우리를 보호하는 방법은?
58 하조니│민족국가는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제14장 민주주의 너머: 새로운 대안을 찾아서
59 무페│급진적 민주주의는 실현 가능한가?
60 피케티│자본주의는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가?
61 왕후이│중국 모델이 대안으로 되는가?
62 드닌│자유주의 이후의 대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