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삶과 철학 사이의 작은 산책을 시작하며 / 5
제1장 칸트와 함께 걷다 - ‘보이는 것 너머’ - / 17
1. 순수이성의 문을 열다 / 17
2.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 인식의 중심을 전복하다 / 19
3. 감성과 지성 - 시간과 공간, 범주의 형식 안에서 세계를 맞이하다 / 20
4. 공간 - 외부 세계를 구성하는 틀 / 21
5. 시간 - 내면을 관통하는 감각의 형식 / 23
6. 감성의 작용 - 직관을 가능하게 하다 / 25
7. 지성(오성) - 범주의 질서로 세계를 구성하다 / 25
8. 현상계(現象界)와 물자체(物自體) - 인식의 한계 선언 / 28
9. 이성 - 이율배반과 자유의 길목에서 / 32
제2장 자유의 두 얼굴 - 밀, 에리히 프롬의 사유를 통해 본 현대 진단 - / 37
1. 서론 / 37
2. 자유의 개념 - 에리히 프롬 / 39
3. 자유의 개념 - 존스튜어트 밀 / 43
4. 에릭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 메커니즘 / 50
5. 현대 사회에서의 자유의 구조와 도피 메커니즘 / 51
6. 결론 - 해결 방법 / 58
제3장 하버마스의 체계이론에 대하여 / 63
1. 작동상의 폐쇄(Operational Closure) / 63
2. 다공적 시스템(Porous System) / 65
3. 생활세계와 체계의 구분 / 67
4.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Communicative Rationality) / 70
5. 하버마스와 비판이론 / 70
6. 결론 / 72
제4장 정치철학,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 권력, 정당, 그리고 자본의 역학 - / 73
1. 민주주의의 시작과 철학적 기반 / 73
2.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형성 - 동학과 3・1운동 / 74
3. 광주 민주화운동 - 생명의 윤리와 저항의 정치 / 75
4. 정당과 권력의 분산 - 대의정치의 심장과 민주주의의 미래 / 77
5. 법치주의(juristocracy)와 민주주의(democracy) 권력의 심판자 혹은 위협자? / 84
제5장 중용의 성(性) 개념과 칸트의 순수이성 개념에 대한 선험적 관점 비교 연구 / 87
1. 서론 / 87
2. 중용(中庸)의 성(性) 개념 / 88
3. 칸트 철학에서의 순수이성의 선험성(a priori) / 94
4. 성(性)과 이성: 인간 본성과 보편성의 문제 / 104
5. 선험적 조건으로서의 성과 이성의 비교 / 106
6. 결론 / 107
후기 / 111
부록: 철학 용어 해설 / 113
참고문헌 / 117